공대생인데 실력을 키울수 있는 공부를 하고 싶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505091
지방 4년제 전자전기 공대생 1학년입니다.
다른게 아니고 제 학교에서 전공공부를 하다보니 문득 든 생각이 '스카이나 그에 준하는 우리나라 최고의 공과대학들은 뭘 공부하고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드네요
학교에서 전공을 배우면서 뭔가 내가 배우고 싶은거에 비해서 조금 덜 배운다? 라는 느낌이 좀 있어요 아직 1학년이라서 뭘 모르고 얘기하는건지, 원래 이런건지는 몰라도 뭔가 더 배우고 싶습니다 ( 1학기 4.27 과탑 )
예를 들면 예전에는 편입을 위해서 영어공부를 해야겠다 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이제는 그걸 넘어서 단순히 실력향상을 위해서 영어공부를 하고싶다 라는 방향으로 초점이 바뀌어가고있습니다(물론 아직 마스터하지도 못했고 편입생각도 버리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제 질문은
1. 아직 1학년인 제가 뭘 공부를 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합니다. 그냥 학교생활에만 충실하고 성적만 받기에는 뭔가 부족해요. 영어공부나 따로 전공을 공부하거나 해야하는데 뭘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영어도 토플 토익 텝스 등등으로 너무 광범위하고 전공은 더더욱..
2. 추가적으로 지방 공대에서 배우는 공부의 질과 양이 포카 스카이 서성한에 비해서 많이 차이날 수 밖에 없을까요? 이게 맞다면 저는 절대적으로 편입을 하고싶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마음이편안해진다
-
우리가 흔히 쓰는 선어말어미 았/었, 겠은 중세 때는 없었죠 0
왜냐면 이것들은 중세국어에서 근대국어로 넘어가면서 통사적 구성인 '-어...
-
학벌이 필요하다는 주장은 구분해줘야함 난 전자는 동의하고 후자는 동의하지 않음
-
주에 몇번 보세요?
-
ㅈㄱㄴ
-
2025학년도 수능 43443(사탐) 나왔는데 인가경 갈라면 어느정도 나와야 하나요?
-
3시간이면 많은건가요
-
1학년때 무단지각 4번해서 지균 순위 밀림 물리학과라 일반쓰면 영재고 과학고랑...
-
학벌이 중요한가? 17
ㅈㄱㄴ
-
작수 수학 2컷 미적 4틀이었고 3모는 미적2틀이었어요 작년에 미적공부를 거의...
-
'없다'는 형용사 주제에 관형사형 어미로 '-는'을 쓰는데 그래서 '없다'가 붙은...
-
더어려운거같음 날짐승이 인물의 문제상황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선지는 뭔소린지...
-
이거 아웃풋 몇개년치 아웃풋인가요
-
배달저메추점 4
채택시 5천덕 근데 개까다러움
-
내말투가 어땠더라
-
공통수학 4
킬러가 몇번이에요
-
역대급 정신아픔 3
내신공부해야하는데 공부할멘탈이아님 하… 계속 내신 드가지도 않는 생윤공부만함 이래도되는거맞나 싸갈
-
고닥교도 못 가는데
-
약대/약사 관련도 좋고, 그 외 질문도 환영입니다!시험공부 하기싫어서 왓어요ㅎ
-
PressureN 물1, 폴라리스 지1 난이도 어느정도인가요? 0
각각 배기범 오지훈 커리에서 어느정도 난이도인가요?.
-
나 무서움? 13
나보고 무섭다고해서 우러써
-
관세 전쟁에 '국난' 선언한 일본, 1인당 최대 100만원 지원 검토 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을 '국난'이라고 선언한 일본이 자국민에 대한...
-
현재 진행형
-
수능날만 미끄러지는 애는 거의 없는듯 ㄴ통계적으로ㅇㅇ
-
괜히 쫄앗네
-
[2025 봄 -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정기 캠퍼스투어 및 청소년 만남의 날] 행사 안내 0
안녕하세요,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학생 홍보대사 KUBE입니다! [2025 봄 -...
-
난 왕따라 쌩까지
-
에휴
-
흐물흐물 3
물컹말랑
-
n=4 3
올해는 정말 다르다ㅋ
-
더 검색하고 싶은데 아
-
국어-리트 수학-논술 영어-특기자, 편입 근데 수논 영어 정도가 선택지는 다양하고...
-
실물 대존예네
-
퀴즈 2일의전사 7
머리에 든거없음
-
이렇게까지 우울할만한 일은 없는데 기분이 이럼 요새 심리상태가 이상함...눈물나올라카는거 참는중
-
PV=nRT 3
문과님에겐 이런 꿀과목은 너무 쉽단말이다
-
인하대 베이스 0
인하대 베이스면 1년 개박으면 건국대는 가능하려나
-
4월 넷쨰주 중간고사 끝나고 금요일날 고양가서 콜드플레이 막콘 떼창 한다?! 인생 안주 추가다
-
최고차항 계수 언급 안함 -> 음수 등비수열인데 절댓값 -> 공비 음수
-
사탕으로 1
술냄새 지우기 으흐흐
-
전에 만든 수업용 교재의 표지가 맘에 들어서 다른 커리큘럼도 같은 곳에서 주문해...
-
카의하고 성의 고를수 있으면 둘 중 어디 가실건가요? 3
예전엔 닥 카의 였는데 요즘 보면 취향차이인것 같더라고요. 이유도 적어주시면 더 좋겠어요.!!
-
새피 5
ㄱㄱㄱㄱ
-
쎈 안 풀어도 될까요 쎈발점 많이들 한다길래 시발점+쎈b 때렷는데ㅠ 문제 많아서...
-
절대유사소수임
-
[정보] 지반침하 고위험지역 선정 대상(서울특별시) 2
싱크홀 특히 조심해야할 구간입니다. 일단은 8개구 (마포구, 구로구, 금천구,...
-
안녕하세요 이대은입니다. 오늘도 나름 재밌는 주제로 찾아왔습니다! 풀이를 들으면...
-
시험일정 이런데 1
공부시간분배ㅊㅊ해주세요
2번은 당연한겁니다 ㅇㅇ 교재부터가 다른경우가 많아요
그럼 이건 의심할 여지가 없겠네요
제가알기론 서성한까지는 확실히 서울대랑 교재는 비슷한데 시험 난이도는 그레벨에서도 조금 차이나는 걸로 알아요 카더라긴한데 저도 한번 궁금해서 sky서성한애들한테 물어본적이 있는데 대략 저랫어요 저학년기준입니다 3,4 고학년은 몰라요
기술고시 공부?
어느과인데요?
전기전자공학입니다
무슨과목 들었는지요?
저번학기 전자전기물리학/공학개론 C언어 미분적분 기초들었구요 이번학기에 공학수학 전기기초물리학 C언어 듣습니다
전기전자물리학이랑 공수는 교재가 어떻게되나요?
출판사 말고 저자를 얘기해주시면 좋겠습니다
공수는 함남우, 물리학은 john W. Jewett, Raymond A. Serway/stan gibilisco 라고 적혀있네요
물리학 책은 다른 학교에서 쓰는 책이랑 난이도는 큰 차이 안나는 책입니다. 하지만 적어도 sky급의 실력을 가지고 싶다면 serway 물리책의 연습문제는 모두 풀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일반물리학책은 서울대에선 Haliday의 교재를 사용하고 그 외 benson교재 등등이 있는데 세 책 모두 난이도차이는 크게 안나요. 적어도 serway책의 연습문제를 다 풀 수 있다면 물리실력은 sky에 꿇리지 않습니다
함남우 책은처음들어봐서 찾아봤는데 sky급 교재보다는 수준이 낮습니다. 좀 더 공부를 하고싶으시다면 스튜어트 미적분학, 토머스 미적분학, 김홍종 미적분학을 추전합니다
덧붙혀서 말씀드리자면, 상위권 공대생과 하위권 공대생의 제일 큰 차이는 기초체력입니다. 하위권 공대생들은 기초체력을 제대로 안쌓고 응용교재로 넘어가서 식은 알고 있지만 그 식이 왜, 어디서, 어떻게 나오는건지를 잘 모릅니다. 따라서 상위권 공대생들과 비교해서 충분한 경쟁력을 가지고 싶다면 공학의 기초체력인 수학이나 물리학을 많이 배워야합니다
상세한 정보 정말 감사드립니다 수학같은 경우는 추천해주시는 교재들로 틈틈히 공부하면서 풀어봐도 괜찮은 책들인가요? 말씀하신 것처럼 기초를 탄탄하는 것이 중요하니까요
자습하고싶으시다면 스튜어트나 토마스 미적분학을 추천드립니다. 이 문제들을 다 푸는 실력이 된다면 적어도 님은 서울대 1학년보단 잘하는겁니다
감사합니다 최선을 다해서 공부해봐야겠네요
공대쪽은 모르겠는데, 인문계는 확실히 지식과 실력을 늘리는 공부와 학점을 잘 받기 위한 공부는 다릅디다. 그래서 저는 딱히 조언을 해드릴 수가 없겠네요. 아 그건 확실한게, 상위권 대학일수록 배우는 공부를 차치하고 공부하는 사람의 깜냥이 엄청납니다. 보고 감탄나오는 사람 더럿 봤어요
궁금하실까봐 서울대 1학년 이공계에서 공통으로 배우는 물리학 숙제문제와 미적분학 시험문제를 보여드릴게요.
http://phya.snu.ac.kr/page3/index.php
http://www.math.snu.ac.kr/taoffice/calculus/QnA/QnA-033.001-frame.html
확실한건 제가 배우는 양보다는 훨씬 많아보이네요 몰라서 못 풀겠는데 왜 재밌어보이죠ㅋㅋㅋ
재밌어보인다면 반수 편입 추천, 교환학생 제도 이용해서 지거국에서 서울대로 올라와서 수업듣고 인턴까지 하는 경우도 몇번 봤어요
사실 공대의 경우 지식이 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배움에 있어서 차이가 아주 크지는 않다고 생각하구요.
배움의 속도에 있어서 차이가 큰 것 같습니다.
특히 전자전기의 경우는 수학문제를 풀 일이 많은데 수학을 잘하냐 못하냐에 따라 받아드리는 차이가 큰 것 같습니다.
kocw.net 에 검색하면 다양한 대학의 전공강의가 올라와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참고해보겠습니다
싸이엔지나 하이브레인넷 등의 이공계 전공자들의 사이트에서 조언을 구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