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바다2회 중세국어문제 도와주실분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470691
답이 이해가안되네요...
부처를 손수 기르셨으면
대애도>부처 인지
부처>대애도 인지
알 수있는 근거가 존재하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주문은 어제 했는데. 적어도 오늘 안에 중간지점까지는 배송이 되어 있을 줄...
-
해설 써야 할 양은 산더미인데.. 일은 손에 안 잡히고..열심히 써봤자 안 팔리면...
-
---- 극상위권 ----19416 이해원 수B (수학) #칼턱선 #이해원18534...
-
기출의 재구성이랑 고백서 어차피 사고싶엇는데 그냥 미친척하고 필요없는 프리패스 살까..ㅠㅠ
-
얼마 전에 올라온 OrbiQ 관련 건의글을 보았습니다....
-
Atom에서 강의 구입하면 책은 당연히 같이 오는거 맞죠?? 5
ab1구입했는데 옆에 배송중 이게 안써져있는게.. 설마.. 밑에사진에는 분명히 AB...
지금 문제지가 없어서 자세히 답변은 못해드리는데 높임표현이랑 주체 객체 상대높임 잘 구분해 보시면 알 수 있었던걸로 기억해요!
여기서 부처와 대애도의 상하관계를 어떻게 알죠 ㅠ
대애도께서 부처를 기르셨다는 내용에
대애도>부처 라는 생각을 했고
3번아 답일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저도 이거보고 헷갈렸네요 ㅋㅋㅋㅋ 문제풀 때는 제대로 생각했는데 지금보니까 헷갈리는 문제네요
객체높임 선어말어미가 쓰였으니까 객체인 부처가 더 높은 위치라는걸 알 수 있네요
아버지가 할머니를 모시다 에서 할머니가 더 높은 위치이듯이
.
중세에는 기르다라는 단어를 존대로도 썼다는 거죠?!
음 그거보다는 중세에는 기르다라는 말에 객체 높임 선어말어미 습 을 사용했는데 현대에는 객체 높임 선어말어미가 없죠
위에 보기는 객체 높임 선어말어미를 사용했으니까 객체인 부처가 주체인 석가모니보다 높은 위치인걸 알 수 있는거로 보는게 맞다고 봐요

감사합니다저도 문제풀 때는 생각없이 지나갔는데 오히려 배웠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