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놓은지 오래된 늙은이라 확실하진 않은데...저기서 얘기하는 '사회적 책임'이라는게 갑을들이 언급하고 있는 것처럼 '적극적'인 책임이라 법 준수는 포함안되는것같음 ㅇㅇ 법을 지키는건 그냥 누구나 해야하는 의무의 선인데 그 이상으로 가야한다는거... 그리고 3번이 확실히 틀린 이유는 여기서 이미지개선이 그 사회적 책임을 져야하는 이유가 아니니까...?
후...그렇네요...
이거 이찬희 마닳에서도 강조하는건데 애매한거 말고 확실히 틀린거 찾으라고 하는거...이게요 보는 관점에 따라 확실히 틀린게 달라져요 ㅜㅜ 어떡하죠
처음에는 3이 애매하고 4가 법준수 때문에 확실히 틀린거로 보였는데
설명듣고 나니 4가 좀 그렇고 3이 확실히 틀린거로 보이네요...
적극적 책임 얘기하는것같은데... 게다가 이미지개선도 영 아닌것같고
넹? 이해가 잘 안돼요 ㅜㅜ
생윤 놓은지 오래된 늙은이라 확실하진 않은데...저기서 얘기하는 '사회적 책임'이라는게 갑을들이 언급하고 있는 것처럼 '적극적'인 책임이라 법 준수는 포함안되는것같음 ㅇㅇ 법을 지키는건 그냥 누구나 해야하는 의무의 선인데 그 이상으로 가야한다는거... 그리고 3번이 확실히 틀린 이유는 여기서 이미지개선이 그 사회적 책임을 져야하는 이유가 아니니까...?
후...그렇네요...
이거 이찬희 마닳에서도 강조하는건데 애매한거 말고 확실히 틀린거 찾으라고 하는거...이게요 보는 관점에 따라 확실히 틀린게 달라져요 ㅜㅜ 어떡하죠
처음에는 3이 애매하고 4가 법준수 때문에 확실히 틀린거로 보였는데
설명듣고 나니 4가 좀 그렇고 3이 확실히 틀린거로 보이네요...
'''이미지 개선을 위해''' 때문에 갑을 모두 XX같습니다. 을의 입장에서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지면 이미지가 좋아지는 건 맞지만 그게 목적은 아닌것 같습니다.
쉽게 칼뱅은 직업을 통한 부의 획득을 긍정하지만 직업의 목적을 신의 은총이라 하지 부의 획득이라 하진 않습니다. 이거랑 같은 구조 아닐까요?
근데 궁금한게 있는데요...
A를 위해 B를 해야 한다가
i) A를 일차적 목표로 B를해야한다
ii) A가 부차적으로 따라오니까 B를해야한다
이렇게 중의적으로 느껴지는데
제 언어적 직관에 문제가 있는건가요...
시험에서도 이런거때문에 피본적 많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