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습니까기린입니다 [757188] · MS 2017 · 쪽지

2017-09-28 22:28:45
조회수 1,390

고3 3월 64점(?) 현재 1등급공부방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327361

원래 수능끝나고 올리려 했는데 물어보시는 분들이 많아서 지금 올릴게요

오르비 씝곹분들은 뭘1등급가지고...할수 있겠지만 필요한분도 있으니 눈감아주세요!(필력ㅆㅎㅌㅊ)

저의 주관적인 공부 방법입니다.

저는 고3 3월 64점 몇문제찍어서 맞은걸로 기억해요.

이제는 선생님이나 친구들한테도 수학 잘한다고 소리 많이 듣는데 공부법 알려드릴게요.

저는 일단 개념은 완벽하지도 않았어요. 정석은 들고 살았지만 (별명 홍성대) 약간 추상적으로 머리속에 떠오르고 금방 사라져서 남는 느낌이 들지 않았어요.

진짜 하루에 7시간씩 수학한적도 있고 실모를 매일 풀어보기도 했지만 결과는 같았어요.

저는 양보다는 공부법을 고쳐야 한다고 생각했고

정석 제쳐두고 일단 한석원 알텍구입하고 장난아니고 5회독했어요. 5회독을 왜하냐 풀이 다 기억나지 않냐. 수학공부하냐 암기공부하냐. 많은 소리 들었는데 5회독 꾸역꾸역 다 풀고다니 진짜 문제보면 풀이 두세개 몇년도 몇월 기출 답 몇까지 다기억났어요. 그 이후에 마더텅 2회독 하고 수능봤어요. 작년 수능 96점.

왜? 기출만 봤는데 어캐 올랐을까?

저는 이렇게 생각해요. 문제는 스토리 텔링이자 알고리즘이에요. 제 생각엔 문제 해결능력은 자신만의 끌고가능 방식을 확립하는거에요. 흐름을 이해하고 .어디까지나  수능 수학 기준으로요. 

이제 제가 공부한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위에서 언급한듯이 전 '알고리즘 세우기'를 연습했어요.좀 난도 있는 문제가 있다고 가정해봐요. 그럼 풀이의 호흡이 길테니 알고리즘이 ABCDEF가 있을거에요. 저는 이 문제의 A는 작년 수능 몇번문제 B는 제작년 몇번문제 C는 새로 물어본 내용이네?? 이런싣으로 정리했어요. 그러면 문제의 유기적 구조가 보여요 대부분의 고난도 문제가 풀이가 일관적이란것도 알게되고 더 나아가면 자신만의 풀이 두 세개 정도 가질수가 있어요.다만 이정도로 어느 부분의 알고리즘이  이문제의 B번 알고리즘과 유사하구나!라고 느끼는건 기출을 많이 본 상태에서 할수 있을것같아요 그래서 저는 기출을 많이 보기를 강조하는거고요.

고난도n제는 그 후에요. 요즘 크포 드릴 문해전 4대차 드리블등등 많은데 수능에서 다루지 않은 알고리즘이나 혹은 알고리즘의 결합방식의 변화 문제를 해석하는 능력,무엇보다도 기존의 알고리즘의 잘못 적용하는것을 막으려고 하는거에요.예를들어 어 이부분의 이조건이ㅜ그때 그문제에서 이 알고리즘쓰도록 명시했었는데??라고 생각할수 있지만 전체의 상황맥락으로 보면 다르게 생각될수도 있거든요.

쓰고나니 별거 없네요...

남은기감 이제 50일도 안되는데 기출을 기반으로 공부하시길 바래요! 다들 파이팅 저는 수능때 만점 받아올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