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오지마알아서해 [751584] · MS 2017 (수정됨) · 쪽지

2017-09-09 12:59:19
조회수 2,937

9평 수학이 낯설고 어려웠던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114113

시험지를 좀 자세히 들여다봤는데

기출빈출이라 강사들도 1문제는 나온다고 강조하던

삼각함수의 극한

중복조합 부정방정식

입체도형 부피 구하기

접선관련 4점이라던가

새로운함수를 정의하고푸는식


이런 문제들이 하나도없군요 그리고 지수로그 4점 덧셈정리 4점 단독 출제 평가원이 작정하고

'공부 가려서하지마라 ㅋ ㅈ대기시르면' 이런 경고를 하는느낌정도가 드네요.

이번에 19 29번에 관련된 벡터방정식 관련해서도.

자주나오는 기출소재가 아니었죠 6월29부터 꾸준히 미는거보면 아예 올해 밀고갈 생각도있어보이고

작년하고 다르게 올해는 확실히 뭔가 정형화된 틀을 깨부수고 애들이 소홀히하는부분을 찌를것같다는 생각이드네요.

이번에 망하신분들도 앞에서 자주나오던 4점이 아닌 새로운 4점들에 당황해서 페이스가 말린게아닌가싶습니다. 물론 다 기출변형이지만 아주 옛날기출이고. 최근에 자주한건 미분 적분만일테니까요

속단할수없는것은 6평의경우에는 기존 정형화된틀에 변별력을 씌우도록 강화한것인데 9평은 아예 반대성향인것같네요 수능은 정말 모든경우에 대비해야할듯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gradient · 568282 · 17/09/09 12:59 · MS 2015

    100회독 하고 갑니다

  • 탑오지마알아서해 · 751584 · 17/09/09 13:00 · MS 2017

    ㅠㅠ 외 100점이 이런글을 읽음 어케나오든 100점인데

  • 수학빠가 · 654959 · 17/09/09 13:01 · MS 2016

    ㅇㄱㄹㅇ
    14번 잘 만든듯
  • 귀요미읭읭이 · 507570 · 17/09/09 13:02 · MS 2014

    저 그거 틀림 ㅜㅜ

  • xxxtentacion · 756422 · 17/09/09 13:05 · MS 2017

    14번이머였조ㅡ?

  • 귀요미읭읭이 · 507570 · 17/09/09 13:02 · MS 2014

    강대 수학쌤이 얘기 하길 그동안 공도벡 한 교수님이 출제해서 비슷한 패턴이었는데 작년 물갈이 이후 확실히 바뀐것같다고 말하시네여

  • 탑오지마알아서해 · 751584 · 17/09/09 13:03 · MS 2017

    중위권친구들이 어렵게 느낀이유도 이런이유라 생각해요
    시험끝나고 시험지 보면 익숙함때문에 쉬워지듯
    원래 수학가형이라해봤자 정형화된 4점문제들이 대거깔리고 21 29 30만 새로웠으니까요 이번엔 그건아닌듯

  • 삐행기 · 751737 · 17/09/09 13:04 · MS 2017

    이 말이맞는듯. 퀄문제가 아니라

  • 플리카 · 740575 · 17/09/09 13:04 · MS 2017

    문제들 재밌고 조와용

  • 그린티리치 · 738733 · 17/09/09 13:07 · MS 2017

    그렇다면 이러한 소재들은 이제 현 기출문제집에 없는 낯설음이니 기출이 필요가 없어진것인가요??

  • 탑오지마알아서해 · 751584 · 17/09/09 13:09 · MS 2017

    그건 절대아니고요
    +a로 옛날기출이라고 걸렀던것들을 추가로 풀어야합니다
    6평과 9평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봤을때 두성향이 합쳐지게내는 수능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보는데, 6평은 기출공부가 매우 중요한 시험이었습니다

  • 그린티리치 · 738733 · 17/09/09 13:11 · MS 2017

    너기출만??으로는 힘들까요??

    +a를 기출에서 어디있을까요??

  • 탑오지마알아서해 · 751584 · 17/09/09 13:13 · MS 2017

    사실 걸렀던 기출들을 몽땅실어놔서 욕을 먹는 대표적인 기출문제집엔 자이스토리가 있습니다만 여기서 아예 90년대 빈칸채우기 이런거만 아니면 딱히 손해는 없다생각합니다 양이 별로많은것도 아니고요

  • 高麗大學校 · 662420 · 17/09/09 13:10 · MS 2016

    goat

    역시 갓오지마..

    2회독하고 갑니다

  • xxxtentacion · 756422 · 17/09/09 13:10 · MS 2017

    ㅇㅈ 진짜 가리지말고 풀어야겠다는 생각듬..
    엄청유연해지기로함

  • 지방대반수생 · 749925 · 17/09/09 13:13 · MS 2017

    이거 문과도 그런경향이 있더라구요 갑자기 로그계산이 나오질않나 원순열나오고 확통귀납법같은게 안나와서 진짜 생소하지만 너들이 안한거 낼수있어 라고 경고하는 느낌 받은 것 같네요

  • 탑오지마알아서해 · 751584 · 17/09/09 13:15 · MS 2017

    문과는 주요문항만 풀어보았는데 확실히 미적분을 강조하려는 느낌은 들었습니다 중고난도가 아예 미적분으로 쏠려있더군요
    하지만 격자점을 안내는건 거의 수험생 기만수준이기때문에 그점은 다시 회귀하지않을까싶습니다.

  • 의외로레알공부 · 683758 · 17/09/09 13:31 · MS 2016

    6평때 85였는데 9평때 18,20,21,27,29,30 틀려서 76으로 떨어졌네요..
    확실히 저도 플면서 낯설다는 느낌 많이 받았었는데, 자이스토리 대신에 수분감 다시 풀어도 상관없을까요?
    그리고 드릴같은 킬러문제들을 최대 몇분까지 고민해보고 안풀리면 해설강의 듣는게 이상적일까요?

  • 의대미만재수 · 711956 · 17/09/09 18:11 · MS 2016

    수분감 뉴런 해서 76>88됨 !!

  • IRAM · 746851 · 17/09/09 14:43 · MS 2017

    시험장에서 30번만 해결 못했는데 아직도 해결못하고 있는 1人

  • 의대미만재수 · 711956 · 17/09/09 18:11 · MS 2016

    29번 평소 기출이랑 비슷한 느낌 아닌가요??..

  • 탑오지마알아서해 · 751584 · 17/09/09 18:19 · MS 2017

    아닙니다
    21 29 30에 의미부여가 된 7차기출부터 봤을때
    수학교육과정 7차→8차→현행 09개정수학
    을 통틀어서 29번에 벡터방정식이 직접적으로 제시된건 올해 6 9가 두 세번째입니다.
    평소에 거의 기출되지않은 소재지만(기출되었더라도 매우 낮은 난이도로나옴) 벡터의 표현등을 배울때 중요하게다루어져 사설에서 많이나오고, 여타 n제에서도 찾아볼수있는것이죠
    그이전에 직접적으로 벡방을 제시해서 풀게낸 29번은 2013 09 29가 유일하구요
    2012는 09 수능 모두 공간도형
    2014 2015 2016의경우 수능은 벡터회전, 9월은 2016제외 모두 공간도형이나왔구요
    2018 6 9월이 2013 09 29 이래로 처음입니다 7차 이후 기준

  • 의대미만재수 · 711956 · 17/09/09 18:25 · MS 2016

    음 제가 수학실력이 서민이라 ㅠ그런 구별을 잘못하긴 하는데
    최대 구하는 과정은 그냥 당연히 원의 둘레에서 같은방향이면서 각조건도 만족하길래 평면벡터에서 많이나오는 소재를 그냥 공간인척 한거구나?? 하고 느꼈습니다...
    최소는 그냥 1짜리 원 내부에서 옮기면서 귀납적? 으로 당연한 점을 찾긴했는데...저 처럼해도 되는지 모르겠네요 솔직히

    수학실력이 형편없어서ㅠ
  • 탑오지마알아서해 · 751584 · 17/09/09 18:29 · MS 2017

    사실 벡터방정식이라는것 자체가 이과생들은 그냥 몸에 녹아있는경우가 많죠 ㅋㅋ 그냥 기하상황을 벡터를 이용해서 나타낸식이라고 보면 돼요 별거없음
    다만 기존의 말로하는 조건제시보다 까다로운 이유는 벡터방정식같은경우 해석의방향이 틀어질경우 체감이 장난아니게 어려워지기때문이에요 그점에서 주목할만한거지 딱히 뭐 구별하고 말고할거는 없습니다 표현법의 차이니까요
    오히려 이번29번을 풀때 그런생각이 나셨으면 지금까지 공부를 잘하신거에요

  • 반레 · 530054 · 17/09/10 21:26 · MS 2014

    체감난이도 6평보다 수천배 어려웟는데 진짜 이게 맞는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