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까 어떤분이 양자컴퓨터 물어보시길레 답변해 드렸는데 제 설명이 맞는지 한번 봐주세요 ㅋㅋ
비트라는 개념을 0 또는 1이 들어갈 수 있는 슬롯(칸)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컴퓨터는 이러한 비트의 구성(0과1의 배치)을 통해서 정보를 저장하고 연산을 수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보를 저장할 때 일반 컴퓨터는 각각의 비트에 0을 담을지 1을 담을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즉 하나의 비트를 결정할때마다 0과 1이라는 두 가지 선택지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죠. 반면에 양자 컴퓨터는 0과 1이 공존하는 형태의 한 가지 선택지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하나의 비트를 결정할 때마다 귀찮게 두가지의 선택을 할 필요가 없죠. 이때문에 여러개의 이진수들을 단 한 번에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니다.
예를들어 3비트가 있다고 합시다. 이는 곳 3개의 슬롯(칸)이 되겠죠. 이때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0과1을 배치해 주어야합니다. 001이나 110 등으로요.
일반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비트마다 0과 1중 하나를 골라야 하므로 2*2*2=8 즉 8번을 걸쳐 쳐리하게 됩니다.
반면 양자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비트마다 0과 1을 골라야 할 필요없이 0과 1이 공존하는 형태를 전부 때려박으면 됩니다. 1*1*1=1 즉 1번의 연산만으로 쳐리하게 되는 것이죠
그럴 수 있지
28번 문제 다시 봐도 못풀겠음
진짜 28ㅋㅋㅋㅌㅋㅋㅋ
양자지문 다른건 다 맞았는데
28번 문제는 시험 끝나고 몇시간을 들여다봐도
도통 무슨 소리인지 이해가 안되더라고요 ㅋㅋㅋㅋ
진짜.. 참.. 하..
어렵던데요....

그쵸...ㅠㅠ28번 푼 사람 중에 현장에서 완벽하게 이해하고 푼 사람은 되게 적을것 같은데
정답 4번이 너무 명확해서 고른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요
222 그냥 2의 4승해서 16으러 찍음
그럴 수 있죠
아까 어떤분이 양자컴퓨터 물어보시길레 답변해 드렸는데 제 설명이 맞는지 한번 봐주세요 ㅋㅋ
비트라는 개념을 0 또는 1이 들어갈 수 있는 슬롯(칸)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컴퓨터는 이러한 비트의 구성(0과1의 배치)을 통해서 정보를 저장하고 연산을 수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보를 저장할 때 일반 컴퓨터는 각각의 비트에 0을 담을지 1을 담을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즉 하나의 비트를 결정할때마다 0과 1이라는 두 가지 선택지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죠. 반면에 양자 컴퓨터는 0과 1이 공존하는 형태의 한 가지 선택지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하나의 비트를 결정할 때마다 귀찮게 두가지의 선택을 할 필요가 없죠. 이때문에 여러개의 이진수들을 단 한 번에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니다.
예를들어 3비트가 있다고 합시다. 이는 곳 3개의 슬롯(칸)이 되겠죠. 이때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0과1을 배치해 주어야합니다. 001이나 110 등으로요.
일반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비트마다 0과 1중 하나를 골라야 하므로 2*2*2=8 즉 8번을 걸쳐 쳐리하게 됩니다.
반면 양자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비트마다 0과 1을 골라야 할 필요없이 0과 1이 공존하는 형태를 전부 때려박으면 됩니다. 1*1*1=1 즉 1번의 연산만으로 쳐리하게 되는 것이죠
솔직히 제일 헷갈렸던건 30번
고전 논리로 답 내줘서 얼마나 다행인지
<보기>이해요 아님 선지판단이요??
보기 이해요....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