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퀸-향☆ [751029] · MS 2017 · 쪽지

2017-09-09 11:36:41
조회수 631

LP 보기문제 쉬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113436

졸라어려윤데ㅋㅋㅋㅋㅋㅌㅋㅋ 역시 아직 부족한가봐여

??

최대 1개 선택 / ~2017-09-16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에피멍 · 683274 · 17/09/09 11:37 · MS 2016

    그럴 수 있지

  • 별ㅇ · 762011 · 17/09/09 11:37 · MS 2017

    28번 문제 다시 봐도 못풀겠음

  • ☆퀸-향☆ · 751029 · 17/09/09 11:38 · MS 2017

    진짜 28ㅋㅋㅋㅌㅋㅋㅋ

  • 별ㅇ · 762011 · 17/09/09 11:39 · MS 2017

    양자지문 다른건 다 맞았는데
    28번 문제는 시험 끝나고 몇시간을 들여다봐도
    도통 무슨 소리인지 이해가 안되더라고요 ㅋㅋㅋㅋ
    진짜.. 참.. 하..

  • 펭씨 · 741336 · 17/09/09 11:39 · MS 2017

    어렵던데요....

  • ☆퀸-향☆ · 751029 · 17/09/09 11:39 · MS 2017

    그쵸...ㅠㅠ
  • V6pUXYC5oxgBbL · 755091 · 17/09/09 11:39 · MS 2017

    28번 푼 사람 중에 현장에서 완벽하게 이해하고 푼 사람은 되게 적을것 같은데
    정답 4번이 너무 명확해서 고른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요

  • 펭씨 · 741336 · 17/09/09 11:40 · MS 2017

    222 그냥 2의 4승해서 16으러 찍음

  • Arisu · 738680 · 17/09/09 11:40 · MS 2017

    그럴 수 있죠

  • V6pUXYC5oxgBbL · 755091 · 17/09/09 11:40 · MS 2017

    아까 어떤분이 양자컴퓨터 물어보시길레 답변해 드렸는데 제 설명이 맞는지 한번 봐주세요 ㅋㅋ

    비트라는 개념을 0 또는 1이 들어갈 수 있는 슬롯(칸)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컴퓨터는 이러한 비트의 구성(0과1의 배치)을 통해서 정보를 저장하고 연산을 수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보를 저장할 때 일반 컴퓨터는 각각의 비트에 0을 담을지 1을 담을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즉 하나의 비트를 결정할때마다 0과 1이라는 두 가지 선택지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죠. 반면에 양자 컴퓨터는 0과 1이 공존하는 형태의 한 가지 선택지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하나의 비트를 결정할 때마다 귀찮게 두가지의 선택을 할 필요가 없죠. 이때문에 여러개의 이진수들을 단 한 번에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니다.

    예를들어 3비트가 있다고 합시다. 이는 곳 3개의 슬롯(칸)이 되겠죠. 이때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0과1을 배치해 주어야합니다. 001이나 110 등으로요.
    일반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비트마다 0과 1중 하나를 골라야 하므로 2*2*2=8 즉 8번을 걸쳐 쳐리하게 됩니다.
    반면 양자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비트마다 0과 1을 골라야 할 필요없이 0과 1이 공존하는 형태를 전부 때려박으면 됩니다. 1*1*1=1 즉 1번의 연산만으로 쳐리하게 되는 것이죠

  • medical2017 · 763023 · 17/09/09 11:42 · MS 2017

    솔직히 제일 헷갈렸던건 30번
    고전 논리로 답 내줘서 얼마나 다행인지

  • 연의문머니 · 698979 · 17/09/09 11:54 · MS 2016

    <보기>이해요 아님 선지판단이요??

  • ☆퀸-향☆ · 751029 · 17/09/09 12:09 · MS 2017

    보기 이해요....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