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방선거때 우째될까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032590
네이버 댓글 최신순으로 보니깐 요번정부에 실망한 사람들 많던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존잘조녜오르비언들 14
심멘 콘서트때 존잘조녜오르비언들+심멘을 실물로 볼생각에 두근두근한 마음을 안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032590
네이버 댓글 최신순으로 보니깐 요번정부에 실망한 사람들 많던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존잘조녜오르비언들 14
심멘 콘서트때 존잘조녜오르비언들+심멘을 실물로 볼생각에 두근두근한 마음을 안고...
지지율이 그러기엔 높다
이번 정부에 바라던게 많은만큼 실망이 많은것 같은데 확실한건 지난 두번의 정부보다는 훨씬 클린하고 민심도 그나마 들어주는 지라 투껑은 열어봐야 될듯
바른정당 젊은지지층업고 상승할뻔했으나
대표님이 돈처드셔서
엌ㅠㅠㅠ
매번 이럴거임
민주당에 실망한사람들이 자한당 뽑고
자한당이 날뛰어서 다시 민주당뽑고
진보에 실망이라면서 자한당뽑고 저게 보수냐며 다시 민주당뽑고..
그리고 그사이에 낀 군소정당들은 뜰듯 싶다가 이용가치 사라지면 팽
ㄹㅇ 옛날부터 지금까지 이짓만 무한반복중....
이건 선거제도가 좀 불합리한거도 있어요. 현행 국회의원 선거구제가 소선거구제와 비례대표 병행인데 비례대표가 병립형이라서 정당 득표율과 의석 비율이 일치하지가 않아요.
예를 들어 지금 20대 국회 선거에서 원래 정당 득표율에 비례해서 산정하면 국민의당이 80석쯤, 정의당이 25석쯤 되고 민주당, 한국당+바른정당(선거 당시에는 두 정당이 새누리당으로 하나였으므로) 의석이 훨씬 줄어있어야 해요.
독일의 경우 지역구와 비례대표가 1대1 비율입니다. 그리고 연동형 비례대표라 하여 정당득표율에 따라 먼저 총 의석 수를 배분하고 그 총 의석 수 중 지역구 당선자 의석만큼을 뺀 의석 수만 비례대표로 배분하지요.
단, 비례대표의 경우 지역구와 달리 유권자가 의원을 직접 뽑는게 아니라 정당에서 명부를 작성해 순번매겨서 당선되는 구조라 대표성 문제가 있긴 있는데 이건 스웨덴식으로 명부 작성까지만 정당이 하고 순번은 유권자가 직접 결정하는 방식으로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정당투표용지에 정당 뿐만 아니라 그 정당의 비례 후보 명단 중 한 명을 골라 기입하는 방식으로요.
ㄷ 작년봉소 지문에서 본.. 전 너무어렵던데ㅜ
사실 제가 쓴거도 진짜 간단하게 요약한거고 실제로는 훨씬 더 복잡합니다. 뭐 어쩌다가 제가 수능때 정치선택자도 아니고 정치학 전공도 아닌데 이 분야를 이리 잘 알게 되었는지... 워낙 나라가 시끄러워 정치에 관심을 가지다보니...
ㄷㄷㄷㄷ
근데 이런게 국어 지문으로도 나오나요?
네네 작년 봉소요
총선은 어찌어찌 될지는 모르겠다만
지선은 이미 안봐도 비디오임
역시 그렇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