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훈육이라는 이름의 체벌을 반대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2980665
저의 생각과 상당부분 일치하는 글이 있어서
긁어왔습니다.
시간 여유 되시는분들은 한번 읽어보시면 좋을것같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학대와 체벌은 다를까?
2016년 04월 01일(금) 제445호
임재성 (평화 연구자) webmaster@sisain.co.kr
- 현행 법령은 아동(학생)에게 가하는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금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체벌을 금지하자는 목소리는 미약하다. 체벌이 학대로 이어지기 쉽다는 점을 잊지 말자.
![]() | ||
몸체(體)자와 벌벌(罰)자의 합인 ‘체벌’은 글자 그대로 ‘몸에 직접 고통을 주어 벌한다’라는 의미다. 영어로도 ‘corporal punishment(신체적 처벌)’인데, 이처럼 ‘신체성’은 체벌의 핵심이다. ‘사랑의 매’나 ‘교육적 체벌’ 등 은유나 수식으로 포장되기도 하지만, 결국 타인의 신체에 물리력을 가한다는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체벌이란 다른 인격체에 대한 구타이자 폭행이다.
아동·청소년은 ‘미숙’하기 때문에 때려서라도 가르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체벌을 지지하는 이들의 논리다. 폭력의 대상을 열등한 것으로 규정해, 그 정당성을 찾는 오래된 방식이다. 그러나 아동·청소년에 대한 체벌이 교육을 위해 불가피하다는 구체적 근거는 어디에도 없다. 수많은 경험적 연구를 통해 체벌의 교육적 효과가 없다는 점, 체벌을 통해 아동·청소년이 폭력과 복종을 내면화하고 학교폭력 문제로 이어진다는 점 등이 명확하게 입증되고 있을 뿐이다. 체벌을 당한 아이들의 감정을 조사한 한 연구에서, 그 어떤 아이도 체벌 이후 ‘반성’이나 ‘미안함’을 느꼈다고 응답하지 않았다. 체벌을 당한 아이들이 품었던 감정은 당연하게도 무서움·화남·끔찍함·창피함·외로움이었다.
그럼에도 한국 사회에서 아동·청소년에 대한 모든 형태의 체벌을 금지하자는 목소리는 희박하기만 하다. 여론조사에서 체벌이 필요하다고 응답하는 비율은 늘 80%를 상회하고 있으며, “말이 안 통하는데 어떻게 가르치느냐” “맞을 만한 짓을 하면 때려야 한다” 같은 언어가 단단한 상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연일 언론을 채우는 끔찍한 아동학대 사건들 속에서도 마찬가지다. 사람들은 학대 행위자에게 ‘살인죄를 적용하라’고 외치고 피해 아동의 사연에 가슴을 치면서도, 학대와 체벌은 다르다고 말한다. 과연 그럴까? 사랑의 매와 분노의 매가 다르다는 것은 전형적인 가해자의 논리다. 자신의 의도에 따라 폭력이 정당화될 수 있다는 논리. 아이들에게는 맞는 이유가 사랑이든 분노든 다를 바 없다.
![]() | ||
ⓒ박영희 그림 |
학대는 텔레비전에 나오는 수갑 찬 괴물에 의해서만 일어나지 않다. 2014년 아동보호 전문기관에 접수된 사례를 기준으로 아동학대는 1만72건이었고, 이 중 81.8%가 부모에 의해서 발생했다. 실제 건수는 신고된 건수보다 훨씬 많을 수밖에 없기에 2014년 한 해만 해도 수만명의 부모가 아동학대를 저지른 것이다. 체벌이 부모의 당연한 권리로 인정되는 나라에서, 가정 내 체벌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 때리는 자는 무뎌지고 맞는 자는 자포자기하게 된다. 이처럼 학대는 체벌의 과정이자 합으로서 발생한다. 체벌이 근절되지 않는 한 아동학대를 막을 수 없다.
꾸준한 캠페인으로 아동의 ‘체벌 경험’을 한 자릿대로 줄인 스웨덴
학대에 대한 신고와 처벌은 사후적일 수밖에 없다. 사회적 거부감은 있겠지만 아동·청소년에 대한 체벌 금지를 논해야 한다. 이미 아동복지법이나 초·중등 교육법 시행령에서는 아동(학생)에게 가하는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금지하고 있지만 이를 알고 있는 사람조차 드물다. 법으로 ‘금지’하는 것만큼 중요한 일은 인식을 바꾸는 것이다.
스웨덴은 1979년 부모에 의한 체벌을 금지하는 법을 제정하면서 2년 동안 90%의 가정에서 아이·청소년을 때리는 것이 적법하지 않다는 인식을 갖도록 하겠다는 구체적 목표를 설정했다. 제정 당시 70% 이상의 반대 여론을 뚫고 겨우 제정되었으나, 꾸준한 캠페인 결과 2000년 이후 스웨덴 아동의 체벌 경험은 한 자릿대로 떨어질 수 있었다. 아동학대 문제가 해결된 것은 물론이다. 우리의 체벌금지법도 그러해야 한다. 인식의 전환, 긍정적이고 비폭력적인 형태의 교육으로 옮아갈 수 있게 하는 사회적 지원과 정책이어야 한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3모 84 (미적 30번 틀 찍맞없음 ) 이었는데 미적은 올해 처음하는데요 저같은...
-
나 내가 못해서 행사 펑크낸거지 뭐 ㅠㅠ 누굴 탓하겠니 ㅠㅠ 허 ㅠㅠ 지방발령...
-
이것은 한국 우주항공청에서 2045년 화성탐사를 목표로 하는데요. 성공하길 빕니다.
-
へうん 2
♥︎
-
말로 생각하는 순간 이미 그 순간은 지나쳐버린것 그 순간, 그 생각 자체를 온전히 그대로 느껴야함
-
가게에서 혼밥 첨해봐 10
떨린다 휴게실에 사람 넘 많아서 롯데리아 머그러 왔는데 떨린다 너무 헙
-
어느 곳에도 마음을 두지 마라
-
비가 싫다 0
싫으면서도 언어의 정원같음
-
해적왕인거야
-
아 개좆됏네 3
내 인생 가장 못본시험인데
-
수학과외구합니다 2
수학과외구합니다!!!
-
2025학년도 을지대 입시결과(수시, 정시_의대 포함) 0
2025학년도 을지대 입시결과(수시, 정시_의.. : 네이버블로그
-
우일신(又日新) 파본형 월간 N제 1월호 :...
-
전공 중간고사 후기 13
-
요즘 지구 1
아때요?? 지엽 많고 등급 따기 많이 어렵나요??? 현역 때 지구 하구 재수때 사탐...
-
정승제 ebs 확통 수능특강 강의로 개념배워도 됨? 1
확통 노베인데
-
레어사야됨
-
유튜브 1도 안보고 바로 랭겜간다
-
1kg임
-
3월 더프 언매 92. 미적 88. 영어 84. 물1 50. 지2 33. 4월 더프...
-
설탭 해보신분 0
갤럭시탭은 아예 안됨요??
-
타격 있을 것 같음 없을 것 같음?
-
지문 진짜 줫같네요 무지성 정보나열만 하는데 분량이 4문제짜리 최근기출의 1.5배...
-
아 파전에 느린마을 한 잔 하고싶네
-
어케 생각하시나여… 수능 때도 이러면 좀 그렇겠죠?
-
빅포텐 123 : 병호쌤 풀커리 타는중이라 이건 어지간하면 할듯 드릴 있는거 전부...
-
기하 질문 있음 0
최근 몇갸년 보니까 이차곡선에 대해서 접선 문제는 거의 안나오고 정으ㅏ로만 풀리는...
-
ㅠㅠ 집갈까요..
-
웃참함
-
지금 수학 어떤거 하고계세요?ㅠㅠ 웬만한 엔제랑 실모 다 풀어봐서 풀게 없네용...
-
지방러라 시대라이브 하시는 강사분들로.. 지금 박종민t 듣는데 너무 빡세서 내신휴강...
-
둘다 중요하다고 생각함 하나만 공부하는건 너무 안좋음
-
[신춘문예] 0
집으로 돌아오던 밤 내리던 투박하고 무겁던 눈들이 마치 비와 같았었는데 그것은 한...
-
학교 자습 3교시 째 저는 놀고만 있습니다 포기했냐고요?아닙니다 자신있냐고요?...
-
생각해보면 3
군대 갔다 복학한 애들도 ㅈㄴ 애기네 해봐야 25정도일건데 얼라들이네
-
조진건가 0
막판에 젤 복잡한거 하나버렷는데 그게나왓네 그래도 벼락치기치곤 ㄱㅊ응거깉은데...
-
고3인데 정시로 가고싶어요 궁금한점은 1. 수특은 보통 언제까지는 끝내야 함? 2....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수의대 다니면서 조류에 대해서 조금 아는 거라곤 닭뿐이었음... 동물들은 정말 신기하고 지혜로운듯요
-
자작시-정자체 0
-
기하 ㄱㄱ
-
이 문제는 걍 0
나머지 문제들이 쉬워서 이 문제에 쓸 시간이 많으니까 정답률이 높았던거죠?
-
상상 언매 N제 같이 실전형식으로 선택만 잇는거요 기출로 돼잇으면 더 좋긴 해요
-
공유) “수능 수학, 다시 등장한 빈칸 넣기 문항!” 4
https://blog.naver.com/idream2024/223842310999...
-
다름이 아니라 이제는 대회글이 너무 묻혀서 새로운 유입도 기대하기 어러운 상황이고...
-
더프 미적 1
4덮 미적 84 무보 1 ㄱㄴ??
미성년자때리면 정말 100배로 뚜왕뚜왕해줘야함
지나가는 사람 때리면 범죄고 자기 자식 때리는건 봐준다니 아무리 의도가 선해도 그렇지 자식은 사람아닌가
지금 학교에서도 체벌은 거의 사라진 마당에...
근데 97년생중에서도 체벌은 있어야 한다 주장하는 애들이 많아서 참 묘함;;;
근데 이게 우리나라만 문제가 아니라 대다수 나라들 문제더라고요. 프랑스도 가정에서의 체벌이 이슈가 되어서 싸대기 때리지 말기 켐페인이 있었고...
저희 학교는 여고인데도 맞아요(특정 쌤한테만)손바닥 이런게 아니라 머리ㅠㅠㅠㅠㅠ오늘 자습하러 학교갔는데 자습 째려다가 그 쌤한테 걸렸는지 애들이 엎드려뻗쳐하고 있었어요..
예전에 그 쌤한테 잘못 걸려서 수업중에 분필 맞고 쫓겨난 애도 있었는데 이제 얼마 안남았긴 하지만 무서워요ㅠ
저도 지나친 체벌은 반대하지만, 만약 체벌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아이들의 일탈 행동을 제어해야된다고 생각하시나요?
세계적으로 아동 청소년 체벌이 법령으로 금지되는 추세입니다.
이미 전면 금지된 국가도 상당수이고요.
어떻게 제어하는가가 문제가 아니라
체벌의 효과가 과연 존재하느냐가 저의 관심사에요.
폭력에 굴복시키는게 과연 옳은것인가..
저기 근데 잘읽고있었는데 결론이 붕뜨네요.. 실제로 폭력적인 방법을 사용하지않고도 교육적 효과가 전보다 나던가요..? 그렇다면 우리나라도 당장 법제정하고 인식개선하는 캠페인 하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근데 결론이 학대가 줄어들었다가 끝이면 너무 허무한데요... 법을 잘 지켰다는것밖에는 없는데 다른 자료는 없나요??
이 글의 목적이 누굴 설득하려는 취지가 아니라서요..
지나치면서 한번 읽어볼만한 글이라고 생각돼서 올려봤어요.
독자에 따라서 감상은 다양한것이죠 뭐 ㅎㅎ
강아지도 때리면서 안키워도 말잘들음 ㄹㅇ
빙고!!
체벌을 찬성하는편은 아니지만 지방 실업계나 중학교쪽 가보면 애들수준이 진짜 가관이에요 체벌없이 교화시키는 교육학방법이 나오면 노벨상탈수준으로 애들 수준이 거의 인디언수준인곳이 많습니다 학교에서 남아서 벌주기? 째면 그만이거든요
체벌을 해서 교화가 되느냐가 문제인것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