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1 고수분들 도와주세요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2926847

수완 114쪽 11번 문제인데
발문에서 대기의 밀도를 roha라고 정의했으니 (가) 상황에서 A표면과 B표면의 대기압은 다를 것이고 따라서 A표면에 로ahg의 압력이 추가로 걸린다고 하는게 합당한 판단이 아닌가요??
해설이나 ebs나 죄다 높이와 상관없이 대기압은 일정하다고 풀었네요 무엇이 맞는 판단인가요?
가정한 상황이 맞다면 이 문제는 h값을 구할 수 없어서 한시간 넘게 고민해보고 강의도 찾아봤는데 도저히 납득이 안되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늘 편집해서 올리고 싶었는데 내일이나 올릴 수 있을듯 2
수1,2가 딱 22문제길래 공통 모고 형태로 만들고 있음. 재배치할까하다가 걍...
-
다만 성능충이라 구리면 안씀
-
울었다노ㅠㅠ
-
에휴다 난 어디로 가야함뇨...
-
제가 증빙할수있는 근거임
-
오늘 절반도 몬끈냇어 다해야해
-
ㅇㅎ
-
내 인생에서 가장 짧은 시간안에 애니를 많이 본 게 6
나루토 1화부터 720화까지 3배속으로 7일컷한거임
-
오따꾸 빙고 4
나 정상인이네...?
-
학과를 낮춰서라도 학교간판을 높이자는 생각으로 이번 달부터 설체교를 준비하고 있는...
-
문과 올 11111 나온애가 대략 높은 1이라고 치고 1년만에 의대갈 수 있다...
-
파돌리기 하는 미쿠 보고 그만 푹 빠짐
-
라그랑주 승수 5
알아두면 또 쓸만한 기출이 나오지 않을까 영영 안나오려나
-
둘다 공부 해본 적 있는 쌩노베입니다.. 고3 3모 55666 하하
-
열심히는 하되 성적에 집착하지 않음 잘하면 잘하는대로 못하면 못하는대로 어차피 걍...
-
언제 지나가
-
좀 숨꿀강사분거 들어보고 싶은데 평가원 사설 가리지 않고 92-100 나옴
-
나 ㅆㄷ아님
-
오타쿠빙고 4
-
바로 예닐곱 '일곱'은 '닐굽>닐곱>일곱'의 변화를 겪은 단어인데, '예닐곱'에서는...
-
결국 지갑중에 제일 티나는건 디올이랑 루이비통인듯 10
아 근데 루이비통은 너무 진지해보여 개씹 꾸꾸꾸 같잖아
-
글보소
-
씹덕빙고 2
그렇군
-
이번에 재수하고 생윤 처음 시작했는데 1) 개념이 잘 이해가 안됐는데 문제는...
-
맞팔구 4
-
ㅈㄴ맛있다 진짜 대 머 니..
-
금테달기전까지 6
탈릅안함
-
얼마쯤 하나요
-
오르비 잘자요
-
우울할 때 똥글 발사해도 옯붕이들이 위로해줌 내가 정상인으로 살아가게 해주는 원동럭이 오르비임
-
오늘 과외학생도 수행평가 준비때문에 새벽5시에 잤다고함 ㅜㅜ 걍 중간30 기말30...
-
외국어 교양 때 7-8명이랑 얘기해볼 시간 있었는데 진짜 가볍게 아이돌노래 이런 거...
-
탈릅 2
일단 난 안할거임 ㅋ
-
탈릅 왜 함 2
독포 먹을 때까지는 뻐긴다
-
또 들어야할까요? 무슨 공부를 해야할지 모르겟습이다 수특만 풀고잇는데.. 걍 국수에집중할까여...
-
역학은 살짝 헤비하긴해도 못하겠다 느낌은 없거든요? 근데 점전하 그래프 풀이...
-
제본 어디서하지 4
흠
-
시험치느라 수고했어~이제 오를 일만 남았다내신 중간고사도 화이팅!! 감동되...ㅜㅡㅜ
-
걍 탈릅해라 18
-
탈릅을왜함? 0
무기한휴릅하면되는데 혹시 돌아올 일 생길때 유용함
-
3모 표점합 450이면 실제수능이면 어디라인인가용? 의미 없는건 아는데 걍 궁금스
-
절댓값 함수의 미분가능성으로 루트 씌운 절댓값 함수의 미분가능성을 함부로 판단하지 말 것
-
너가 여기 있잔아.
-
흐..흠!! 어쩔 수 없이 이 몸도 떠나야할지도(붙잡아줘..)
-
다른데 갈 커뮤가 없음.
-
공부하러감 4
지옥의 행군 가보자
-
고통과절망의연속임!!!!!!
-
안녕하세요. 범작가입니다. 요즘따라 제가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게 있어서,...
대기압이 다르...긴 한데 아아아아앙아아아주 조금 달라서 보통 무시합니다.
음.. 그쵸. 대부분에 경우엔 그런 무의미한 압력차를 고려하여 문제가 오류라고 주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기압은 일정하다거나 또는 무시한다는 조건을 붙이죠..
근데 저 문제에서는 대기에서의밀도를 roha라고 발문에서 정의했고 (물론 이는 '나' 상황에서 공기중 동압력을 고려하여 v를 구함으로서 문제를 해결하라는 의도로 보여지긴 하지만) 따라서 대기압이 일정하거나 무시한다고 보는 것이 잘못된 판단이 아닐까 라는 질문이였습니다..
님말이 확실히 맞음 과학적으로두 팩트구... 평가원이었음 제거해줬을 오륜데 ebs니간 그러려니 하는거져 머 ㅋㅋ
글쿤여.. 친절하게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ρgh에서 h가 유체 표면부터 관 끝까지가 아니라 유체 표면부터 대기권까지입니당
저 대기압차는 0에 가까운거죠
근데 무시한다고 안한건 문제있긴한듯
?? 베르누이 방정식에서 ρg'h'는 기준 바닥면부터 일정지점까지의 거리(높이)가 아닌가요??
아아 베르누이에서는 그거구여
제가 말한건 대기압 P를 ρgh로 표현한거에요
공기 평균 밀도를 ρ0라 할 때 대기압 P0=ρ0*g*h0 라 하면
h0는 30km정도인데 30km에 비하면 저 높이차 h는 0에 가깝단 걸 말하고 싶었어요..
저도 저거풀때 무시한다는 조건 없어서 고민하다가
그냥 같게 놓고 풀었는데 맞더라구요
그쵸. 대류권 계면(약 11km 상공) 의 정압력을 기준으로 한다면 저 실험 상황에서의 대기압이 기준지점 정압력보다 ρa*g*11(km)만큼 크겠죠
그런데 제 질문은 저 문제에서 대기밀도를 규정해버렸기에 대류권계면 과의 대기압 차에 비하면 극소적인 기압차인것 과는 별개의 문제로 해당 길이만큼의 대기압차를 반드시 고려를 해야하지 않나 라는 질문이였습니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