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 표본에서 언어적으로 헷갈리는 문장 ㅠ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286610
" 모집단에서 크기가 5인 표본을 복원추출하여 그 표본평균을 X라고 할때 "
이문장..;
헷갈리는게 뭐냐면
1회만 5개의 표본을 복원추출하여 그것의 평균을 구한것인지 , 아니면 나올수 있는 표본의 경우를 다 구한다음에
표본평균에 대한 확률분포를 만든 다음에 그것의 평균 구한건가요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탄핵 될 거 같습니다. 아까 잠깐 잠들었는데 꿈속에서 심멘이 나타나서 “탄핵“...
-
걍 기출부터 할까
-
왤케 배부르지 4
음냐링
-
준비가 많이 다르나? 수능 준비하다가 내신 보는거 아닌가? 어떻게 접근 해야하지?
-
오렌지다
-
문제를 하나 풀었다고 해서 그 문제에 대한 학습이 끝난 게 아닙니다. 하나의...
-
높공인가여
-
끝나고 뒤에 다음수업있던거 깜빡하고 집옴 어쩐지지하철에사람이적더라
-
한화 이글스는 2
왜 인기가 많아요?
-
조정식 voca랑 vocabulary랑 책 다르던데 차이 있음? +어플은 뭐임
-
감이 안잡힌다 요즘 수학 내신 교재 뭐씀? 본인은 정석 쎈 했었는데...
-
저녁은 치킨 시켜먹을까 10
맛있는 치킨추천좀
-
과학기술 지문은 진짜 어마어마하다... 풀다가 토할뻔
-
삼수기록 6일차 0
국어 기출 2016수능 항부력 리트300제 2022 4-6 수학 수1 4의규칙 수열...
-
나도 살짝 맘속으로 안 되었으면 하긴 한다만 (솔직히 주변사람들 때문에) 지금 안...
-
참지못함
-
못참잖아
-
2026학년도 서울대 입학전형 안내(2025년 04월01일 발표) 0
2026학년도 서울대 입학전형 안내(2025년.. : 네이버블로그
-
님들 내일뭐할거임? 12
1윤씨 관심없고 공부하기 2.하루종일 뉴스보기,정치커뮤보기
-
반수의 아이러니 4
6월부터 달려서 될 지능이 작년 1년 달려서 왜 안되는
-
의대,약대,서울대 선배들이 직접 본인의 경험담을 공유해주는 무료 세미나가 있어...
-
심각함 곧 죽으려고 그러나
-
혹시 시대 수학컨(브릿지,엑셀) 사실 분 계신가요? 3
* 2026 브릿지 4회(판완) * 2026 브릿지 전국 4회(판완) * 2026...
-
"강철용기"
-
반수러라 시간도 없고해서 컴팩트한 전형태t 풀커리 타려는데 들어보신분들 어땠나요? 좋나요?
-
조한창 김복형 정형식 김형두가 기각해서 그냥 기각될듯
-
산에 있어서 ㅅㅂ 다리아파
-
의외로 국어와 비슷한 점이 있다 다만 국어에서 독해하다보면 눈에 들어오는...
-
인용이냐 기각이냐 각하냐
-
07현역정시 설대 심심한 캬
-
설대 말고는 인설공 거의 다 미적기하 가산도 없는 걸 방금 전에 알게 됬는데,...
-
제가 9월에 자퇴해서 2차 검고만 볼 수 있어서 학원, 학교 응시 다...
-
얼버기 10
사실 구라고 학원알바가는중 오늘 하루 힘내봅시다
-
전교과기준 내신 3.8(2학년 2학기까지)이고 생기부는 평범한 편입니다. 마지노선...
-
사문 언제 떡락함?
-
응가 1. 명사 어린아이의 말로, 똥이나 똥을 누는 일을 이르는 말. 2. 감탄사 어린아이에게 똥을 누라는 뜻으로 내는 소리. 1
응가 1. 명사 어린아이의 말로, 똥이나 똥을 누는 일을 이르는 말. 2. 감탄사...
-
26 6 9 수능은 어떨까 2406만 해도 상상도 못한 쉬운 수학
-
현우진 확통 개정 시발점 완강했는데 좀 부족한거 같아서 실전개념 들을려그러는데 추천좀 해주세요
-
작수 12242이긴 한데 언매97 확통89 (둘다 턱걸이) 4합8 맞추려고 본거라...
-
하지만 등급컷표를 보고 물이라 해서 욺
-
‘그림과 같이‘는 왜곡 없이 그래프 준다는 얘기 아니었음? 16
올해 수특 삼각함수 문제인데 실제 그래프보다 좀 많이 왜곡되어있는데 ‘그림과...
-
국어 도식화 1
쉬운 지문은 그냥 잘 읽히는데 어려운 지문은 문장을 납득하는데 주의를 기울이다보니까...
-
한 달에 4번 쉬는 재수생임 보통 쉴때 운동,독서,산책해요 근데 내가 서울 가는걸...
-
헉!!!
-
안그러면 당신 이름으로 일베에 가입하겠습니다.
-
너만을 사랑하고 있다는 걸들어줄 사람도 없이 빗속으로 흩어지네너의 이름을...
-
왤케 하나하나 다 좆같냐 갑자기
저도 이거 진짜 궁금했는데.. 동감.. 문제풀땐 다 잘 풀리는데 왠지 곰곰히 생각하면 헷갈릴거같아서 막상 수능날 나오면 잘못푸는거 아닌가 걱정되고 그러더라고요. 아는분들 답좀 달아주세요.. 비밀글말고요 ㅜㅜ
모집단에서 5개의 값을 골라, 이를 하나의 표본이라 하고, 이 표본 내의 5개의 평균을 '표본평균'이라고 해요. 위에서 말한 X도 이 경우이죠.
그러면 하나의 모집단에서도 어떻게 5개를 고르느냐에 따라 다양한 값의 표본평균이 나올 수 있겠죠. 이걸 '전부다' 모아놓고 수많은 표본평균들의 평균을 구하는 '생각'을 해 볼 수 있는데,(이 생각을 대체 왜 하는지는 아래에서 이야기할게요) 모집단이 좀 커지면 일일이 전부 구할 수 없겠지만 상식적으로(?) 나올 수 있는 수많은 표본평균들의 평균은 모집단의 평균이 되겠죠. 모집단의 평균을, 다시말해 모평균을 m이라 한다면 나올 수 있는 수많은 표본평균들의 평균도 m이 된다는 거죠. E(X)=m이라고 쓸 수 있겠네요.
여기서 중요한 건, 가능한 표본평균을 모두 구해 본 게 아니라, 아마 구할 수는 없겠지만 구한다면 m이 된다는 거에요. 다른 말로 하자면, X의 값이 뽑을 때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따라서 V(X)가 존재하죠) 대충 m 앞뒤에서 나올 거라는 거죠. 이걸 보장하지 않으면, 표본평균 구해 봤자 아무 쓸모가 없기 때문에, 표본평균으로 모평균을 짐작할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가 되는 거에요. 다시말해 표본평균이 대충 모평균과 비슷한 값으로 나오는지 확인하기 위해 나올 수 있는 모든 표본평균의 평균이라는 '생각'을 하고, 상식적으로(?!) 이게 모평균과 같다는 걸 알 수 있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표본평균이 모평균과 비슷하게 나올 건데,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다는 거죠. 그러면 얼마나 차이가 날지 알고 싶게 되고... 그건 V(X)로 짐작하게 되죠.
그리고, 표본평균이 가질 수 있는 모든 값을 생각해서 확률분포를 만들고 그 평균을 구한다면 그건 '상수'이기 때문에, X라는 미지수 냄새가 나는 글자로 표시하지는 않겠죠. ㅇ.ㅇ ㅇ.ㅇ
옆에서 과외해주시는거 같에요.. ㅋㅋㅋㅋ 이해 잘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