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켑스 [737055] · MS 2017 · 쪽지

2017-07-10 00:52:31
조회수 4,501

2018 06 국어 화법과 작문 오답률 낮게 나온 이유 분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2525925

글 쓰다가 다 날라가서

간단하게 언급만 하겠습니다



5번 문제 - 정답률 59프로



정답선지 : 


오답률이 낮게 나온 이유는 복합적이다


화법과 작문이 통합된 신유형이라는 것도 한몫했지만


이는 그럴듯한 이유가 되지는 못한다


화법-작문 지문의 특성상 구조가 복잡하지도 않고


내용이해가 안될정도로 글이 어렵지도 않다


오답률이 낮게 나온 이유에 6번 고쳐쓰기 문제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한다


고쳐쓰기가 밑줄이 안그어지고 직접 해당 문단에 찾아가서 풀게끔 바뀌면서


해당 문제를 풀때는 잘못된 부분을 인지하지만 


다음문제로 넘어가면 뇌가 리셋되는 경우가 많다


어색한 부분은 당연히 지문을 독해할때 파악해야했지만


글의 순서가 꼬여있다면 이야기가 다르다


맞춤법이 틀린 부분은 지문을 독해하면서 바로바로 파악이 가능하지만


글의 순서가 바뀌면 흐름을 정확히 알지않는 이상 바로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다음은 고쳐쓰기 문제 5번 선지인데



문장의 위치를 잘못 배열하였는가 물어보고 있다




4문단으로 돌아가서 실제로 확인해보면


문장의 배열이 잘못되어있다


언뜻 봐서는 '기존의 다른 발명품을 참고할 수 있다'는 정보가 부수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해당 문장은 순서가 바꼈으므로 앞 문장과 순서를 바꿔야한다


문장의 순서를 바꾸어보면


개선 방안을 생각할 때는 기존의 다른 발명품을 참고할 수 있다.

즉 자전거가 아닌, 자동으로 공기가 채워지는 튜브를 참고해 물에 뜨는 자전거라는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발명품을 참고해 개선한다'는 내용은 4문의 핵심이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발명품을 참고하였다는 4번선지는 정확하게 맞는말이 된다


만약 해당 문장에 밑줄이라도 그어져 있으면 정답률이 저지경이 되지는 않았을거라 예상해본다



교훈: 고쳐쓰기 문제에서 문장 순서가 잘못되어있으면 순서를 바로잡고 문제를 풀도록하자...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