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외국어 표본을 추정해보자. (2)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2525059
제2외국어 표본을 추정해보자. : https://orbi.kr/00012523061
긱사가느라 급하게 마무리지어서 빠진 이야기들이 있어서 보충합니다!
1.
러시아어 I 과목의 산술적 1등급 인원은 약 24명~32명, 2등급까지의 누적 인원은 약 60명~80명 정도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총 응시자수를 600~800명으로 보았을 때)
앞서 러시아어과 외고생의 표본수는 약 300명 정도이며, 제도권 교육에서 러시아어를 이수하고 러시아어를 응시하였을 학생의 표본수는 약 310명~400명 사이일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즉, 외고생의 대부분은 러시아어에서 1~2등급을 맞을 수 없습니다.
이를 위에 링크한 글에서의 5번 논증을 바탕으로 해석하면,
외고생의 대부분은 수능 제2외국어 전공어에서 1등급을 받을 수 없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2.
제1시민님께서 댓글로 일본어가 표본이 다양하기 때문에 1컷이 비교적 낮게 나온다는 의견을 주셨지만,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일본어 I가 1컷만 거의 고정적으로 46점 정도로 나오지, 2, 3컷은 상당히 빡빡하기 때문이고, 또 일본어 I 과목의 경우 과목 평균점수도 제2외국어 과목 중에서 높은 편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점을 살펴봤을 때 일본어 1컷이 낮은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킬러 유형(대체로 28번과 30번)의 문제가 다른 선택과목의 킬러 문제보다 더 더럽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실제로 러시아어 I 같은 경우는 있는대로 유형에서 문장 판별이 3개가 아니라 4개이기 때문에 제낄 수 있는 선지가 더 많고, 킬러문제 해설을 보면 일본어가 가장 더럽다고 여겨집니다...
3.
앞서 제2외국어 표본을 추정해보자. (https://orbi.kr/00012523061) 글에서 러시아어 I 평균이 낮으므로, 다른 과목은 더 심할 수도 있다고 언급하였으나, 이는 약간의 비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러시아어 I 과목이 중간층이 없고 하위권이 많을 뿐, 상위권 경쟁은 더 치열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러한 점을 감안해도, 러시아어 등급 받기가 다른 제2외국어보다 더 힘들지는 않을 것이라고 여겨집니다.
4.
실제로 서울 모 외고 기준 러시아어과와 일본어과 (모두 1반, 25~27명 정도입니다)에서,
6월 모의평가 전공어 1등급 인원 수는 2~3명에 불과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캬캬
-
BD와 CP의 교점, AC와 BP의 교점, AF와 DG의 교점, AC와 BD의...
-
거실에 0
아빠가 자고있음 화장실가면 깨려나
-
잘 4
자요
-
뭐라도 할까 7
으음..
-
낭만의 언기물지 4
참가부탁
-
안되는 것을 될수도 있는 것으로 착각해서 여기까지 왔는데 안되는 것을 깨달았지만...
-
수학할 땐 맨날 새로웟는데 말이지
-
인설의 목표인데 지구랑 너무 안 맞고 점수 잘 나와본 적 없음 외우는 거에...
-
다 덮인 앞머리 있는 상태로 나가는 걸 존ㄴㄴ나 싫어함
-
레전드 ㅋㅋ, 2명은 부모님이심
-
관심없으면 아예 사실 지금 반 애들 이름도 모름 아직
-
물갈이 빠르네
-
미용실가서 생애처음 펌도 해봤고 무신사에서 옷도 사봤고 다이어트도 많이 해봤고 그냥...
-
행복하지마요 2
행복하려면 사랑한 날 잊어야 하잖아 가시가 박힌듯 숨쉴때마다 눈물이 흘러와 사는게 사는것이 아니죠
-
친구 만들까
-
눈물이 2
주르르
-
사1 과1 하시는 분들이 많이 보이시는데 사1 과1의 장점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
잠은 짜피 못 잔다리
-
ㄹㅇ 성형 어쩌고 하는것도 막 엄청 잘생겨지고 싶어서 그런게 아니라 최대한...
-
뛸 준비하기
-
오마이갓 5
불끄고 폰하니까 눈에 피로감이 으읔
-
나답군
-
야!!!!!! 12
-
행복한 상상 하자
-
잘거야 4
7시에 기상해야해 짜증도 자고일어나면 풀리겠지?...
-
달리살기. 1
누울 때 일어나고 일어날 때 걷고 걸을 때 뛰고 뛸 때 날기
-
센츄 다신분들 0
저도 이번 3덮 국수 표점으로 신청하고 싶은데 계열기준에선 1% 넘어기고...
-
3옥레 성공. 4
하나레 바나레에테모 토키메에쿠모노오
-
ㅈㄱㄴ
-
내 스크랩은 6
90%는 컨텐츠 리뷰 글나머지는 탐구 칼럼
-
사실 새디스트임 2
ㄷㄷ
-
내 성적 취향. 7
...
-
저는 성적 취향 모름요 21
생각해본적 없어요 아물론 저번학기 성적 주면 절하고 받슴니다
-
24수능 언미영생지 백분위로 98 99 1 98 95였음 24 수능 이후로 국어랑...
-
스카 다니면서 독재했는데 공부 시간은 어느 정도 나오면서도 너무 생활패턴이...
-
우는거랑 치마 조아함
-
뭐가더낳냐
-
욕심 ㄴㄴ
-
맘에 안 드는 부분이 하나 잇음
-
머리가 안 되겟다
-
아무도 없는데에
-
조까튼 월요일 5
축구도 비겨서 짜증나
-
아 아니다, 지금이 낫다
-
ㄹㅇ 부럽네, 고2인데 이상한거 관심 안 들이고, 수능에 관심 잇어서 온거자늠 난...
-
좀 니글거리네 2
빵이 남았어... 야식의 부작용인가
-
히 이이 히 이이 이이 히 이이
-
그건 있다 학문적 적성을 판별하는데는 꽤 유용함 개념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적응이 잘...
ㅠㅜㅠㅜ
2~3컷이 빽빽하다는게 표본이 다양하다는 결정적 증거입니다
애매한 층이 많다는거죠
응시인원 1만명중 제대로 일본어를 학습한 사람이 없다는소리입니다
아마 애니를 보고 일본어에 관심을 갖고 N2까지 따놓은 사람들이겠죠
6평에서 1컷이 46이 잡힌거는 상당히 의외였습니다
28번같은 경우 단골 기출유형이었지만 정답률이 16프로까지 떨어졌습니다
기출도 제대로 안보는 응시자가 많다는 소리죠
다시말해, '나 정도면 일본어 어느정도 하니깐 그냥 시험보자'하는 사람이 많다는겁니다
이런사람들이 만명이 모여 1컷 46을 만들었죠
30번은 살다오지 않는이상 맞추기 힘들다고 생각하지만 48까지는 수완+수특+기출로도 충분히 극복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1) 정작 정답률은 30번이 28번보다 더 높습니다.
2) 또한, 정작 그런 판단을 하기에는 다른 제2외국어와 일본어의 1컷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6평 기준 독일어 1컷 46, 프랑스어 1컷 47 (프랑스어는 평균, 2~4컷 등을 통해 본 표본 분포상 이번 6평이 쉬웠다고 추측됩니다), 스페인어 1컷 46, 중국어 1컷 44, 러시아어 1컷 48입니다.
러시아어(+프랑스어)만 제외하면 일본어와 1컷이 크게 차이나는 제2외국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베어, 아랍어, 한문은 경우가 다르므로 제외)
1~3컷 결정 요인과는 상관없이, 등급컷 자체가 응시층의 다양성 내지는 성격을 나타내주지는 못한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과목 성격상 제2외국어 중에는 일본어가 가장 다양한 표본을 갖고 있음은 엄연한 사실이나, 이러한 사실이 일본어의 등급컷을 낮춘다고 여겨지지는 않습니다.
"28번같은 경우 단골 기출유형이었지만 정답률이 16프로까지 떨어졌습니다
기출도 제대로 안보는 응시자가 많다는 소리죠"라는 말씀에 대해서는,
기출 학습의 불충분성에 따른 문제 정답률 하락은 사탐, 과탐, 제2외국어 모든 과목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임을 지적하고 싶습니다.
사탐 등에서 6평 1컷이 낮은 이유는 거의 현역의 학습 부족으로 여겨지죠
그래서 결론은 아럽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