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ANDY · 373560 · 11/06/18 23:35

    정외과든 보건대든 자전이든 인문대든 간호대든
    형법총론, 민법총론 뿐만 아니라 모든 법대 수업을 듣는 것은 자유입니다.
    특정 학과에 가야지만 법학 수업을 들을 수 있는게 아니에요.
    그래서 제가 예전에 자전이 법학수업 듣는데 유리하다?
    이거 다 헛소리라고 밝혔죠. 이게 현실입니다 (모든 대학교 공통)
    수강신청 클릭만 잘하면 됩니다.

    다만 요즘 로스쿨 때문에 법대 학부 수업이 갈수록 폐지되고 있어서
    님이 대학 들어가실 때에는 형법총론, 민법총론 같은 과목이 개설 안될 수도 있어요.

  • 데릭 로즈 · 317568 · 11/06/25 18:28 · MS 2009

    정치외교하면 고대죠 ㅋㅋ 법대전신이라도 저라면 자전 안가고 정치외교 감
    글고 자전이 법학관련 수업 듣기 용이한건 맞지요. 연대는 모르겠지만 고대 자전은 학기당 필수로 들어야 하는 헌민형+a 가있거든요
    또 과자체에서 법학공부하기 유리하도록 체계를 잡고있어서 그쪽으로 가기수월한건 맞죠. 혼자 끙끙대면서 수업찾아가며 듣고 준비하는거보다 과에서 마련해놓은게 많으니까요. 자유전공 대상 세미나도 자주 개최하고 그래요. (전 자전학생은 아니지만 로스쿨을 목적으로 하는지라 정보를 좀 압니다. 사실 자전이 그런면에서 부러워요, 과에서 로스쿨에 최적화시켜주니까, 물론 다른과라고 불이익은 아니지만 과공부하면서 보다 정보도 편하게 입수할수 있고 법대교수와 접촉도 많고요)

  • EANDY · 373560 · 11/06/27 22:07

    정치외교는 원래 전통적으로 연대가 유명했습니다.
    외무고시만 봐도 고정외는 존재감 자체가 없는데, 연정외는 서울대 정외과와 맞먹을 정도로 많이 합격하죠.
    거기다가 국회의장과 같은 정계 최고위직을 연정외는 다수 배출했지만, 고정외는 배출하지 못했죠.
    그리고 정외과 교수들도 연정외 출신들이 고정외 출신보다 상당히 많은 편입니다.
    이미 법대 학부가 폐지되어 갈수록 법대 학부 수업이 줄어드는 마당에 무슨 필수적으로 헌민형을 들어야 하나요 ㅎㅎㅎ
    헌민형이라는 과목이 딱 3과목으로 이루어져 있는줄 아십니까? 민법 한과목에도 민법총칙, 물권법, 채권법총론,각론, 가족법 등의
    다양한 과목이 있는데 말이죠. 고자전이 로스쿨이 유리한거 하나도 없습니다. 좀 제대로 알고 말해주셨으면 하네요.
    세미나 하면 로스쿨에 유리? 이런 논리는 어디서 가져왔는지 모르겠네요.

    다시 한번 말하지만, 좀 제대로 알고 말합시다. 로스쿨에 대해서 모르는 사람들이 아는 척을 왜 이렇게 많이 하는지...

  • 데릭 로즈 · 317568 · 11/07/02 16:14 · MS 2009

    헌민형이라고 그냥 대충말한거지 전 자전도 아니라서 정확하게 모르지만 아마 통론이랑 총론을 가르치는걸로 알고있슴요. 물권법이든 채권법이든 그게 뭐가 중요함? ㅋㅋㅋㅋ 법학 기본 통론을 필수적으로 경험할수 있다는 어드밴티지를 설명하는거지 괜히 트집잡을거없으니까 아는척하면서 들이대지마세요ㅋㅋㅋ 최소한 법학에 대해선 진심으로 제가 님보단 훨씬 잘 아니깐요, 알겠어요? 그리고 고려대 정치외교랑 연대 정치외교는 그냥 말할것도 없어요, 님이 그렇게 아무리 연정외 외쳐봤자 고대정외>연대정외니까요 ㅋㅋ 그렇게 이것저것 들이대면서 외치는게 더 우스운거알죠? 전통이있다면 그런일을 굳이 할 필요가 없죠. 상대에서 연대가 잘나갔던건 인정하지만 고대가 구축해온 사회과학입지에 대해 감히 연대가 잣대를 들이대지 마셨으면 좋겠네요. 상당히 기분 나쁩니다.

  • 데릭 로즈 · 317568 · 11/07/02 16:16 · MS 2009

    그리고 얼마나 아는게 많길래 말끝마다 제대로 알고 말하자고 하는데, 하지마세요. 그런 말쓰면 누가 혹할줄 압니까? 참 한심한 사람. 쯧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