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우스함수 관련 질문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239795
[0.9999999999999999...] 는 무엇입니까?
1. 0
2. 1
0입니까 1입니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제가 고1 때 공부를 거의 안해서 내신을 많이 망쳤습니다. 그러다가 최근에 어떻게든...
-
100덮 6
.
-
어떤가요? 난이도 어려움?
-
네
-
문학 문제가 풀리지 않을 때 일부 사람들은 자신이 지문을 해석하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
무슨 질문 올리자마자 누구누구 마스터가 문제를 보고있다고하는데 왤케 빨리됨???...
-
지구과학 개념과 기출을 3회독했고 oz 베이직 모의고사와 유자분을 병행하고 있는데...
-
9만원에 사놓고 진품 바라는것도 개웃기긴하네 아니 근데 진퉁가퉁 구별법 찾아봤는데 진퉁같아 음?
-
헤응..
-
살 찌는법좀 6
뚱뚱했던 적이 없어서 모르겠네요
-
일본어 배울려하는데 돈 지불할만큼 효과 괜찮나요?
-
2시간 반이 지났네… 시간이 녹는다 녹아…
-
작년에는 서킷이랑 브릿지가 계산이 참 많았는데 요즘은 계산 적어져서 보통...
-
메디컬 반수 0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을 오르비에 써보는 것 같습니다.. 현재 ky 정보계열 학과에...
-
몽블랑 짜가 판별법 아무리 다 찾아봐도 진퉁인거 같은데 그래더 9만원은 무조건 짜가인거겠죠? 호에에
-
수분감 급하게 하다가 스텝1 좀 어려운 부분들 막혀서 제대로 못돌렷는데 김기현...
-
돌아가기 전까지 근육이랑 영어실력이나 기르고싶다 오래된 생각이다
-
어마어마하게 예쁜 캠퍼스도 아니고 사진을 이렇다 하게 잘 찍는것도 아니지만 꽃이...
-
ㅤ 1
이 세계 안에는 어떤 것이 움직이고 있는 것이 확실하며 또 그것은 감각으로 확인되는...
-
복면 쓰고 은행 ㅈㄴ 털고 싶다
-
전라동화 6
디시펌
-
아니 고개 수그렸는데 비염때문에 맑은콧물 떨어져서 발에떨어짐 심지어 누가 보고있었음 살려주세요
-
누굴 좋아한다는게 16
어떤 감정인지 솔직히 잘 모르겠어요 일단 호감 생기면 현실부정부터해서 그런가
-
(반수) 과 생활은 시원하게 유기했기 때문에 상관이 없는데, 동아리 선배님들이랑...
-
나 여목 통달함 3
그냥 녹음기 키면 됨
-
허리업
-
헛소리 할거면 ㅇㅈ 좀
-
맞팔구 4
똥글을 주로 씁니다 비갤에 한번도 언급된적 없습니다 한번도 논란된적 없습니다 똥글을 주로 씁니다
-
공부왜하냐 0
에휴
-
부남 vs 부녀 9
누가 더 인물이 나음
-
화1은 어느정도 하긴 하는데 중화반응에 매우 약함 요즘 평가원은 중화반응 진짜 ㅈㄴ...
-
그 사람의 모든 것을 알아내려고 함 지금까지 선생님한테 질문 137개 정도 한듯
-
수학 문제를 진짜 생각도 못했던 방법으로 푸는거보면 센스가 겁나 좋은거 같은데...
-
https://orbi.kr/00072779623 한 번만 풀어주실 수 있을까요...
-
편의점이랑 가격차이 많이 나죠?
-
25수능 때 한양대 문과 정시로 합격하신 분들 중에 원점수 알려주실 분 계신가요..?
-
어케 연습해야 할까요?
-
그래프를 거의 안그려요
-
환공포증 유발함? 문제 자체는 별거 아닌데 뭔가 킹받네
-
댓글로 ㄱㄱ
-
기균으로 지방의라도 갈려면 평백 몇 나와야댐? 수학 만점기준
-
메가패스 있는데 인강 보는게 낫나요
-
옛날에 4
합격인증서 올렸다가 실명유출된적 있었는데..
-
주종이랑 혼술하는 이유도 같이
-
치타는 웃고있다 2
-
진짜 한 국가의 대학고시라 부를만한 품격있는 주제였음
-
나 언매 93인데 1나오나?
-
https://orbi.kr/00072740989 https://orbi.kr/00072750950
-
4규처럼 너무 기출변형일까봐 안풀어봣는데 다들 칭찬해서 좋나요??
-
지금 정병호T 커리 타고 있고 레알 비기너스 다 끝냈어요 프로메테우스 바로 들어가긴...
답은 1임
lim (x->-1) [x] 잖아여 극한값은 0이에요. 애초에 0.9999999999999999.........이말이 어떤 정해진 수가 아니라 증가하는 상태를 물어보는 것이기 때문에 저것은함숫값이 아니라 극한을 물어보는 거에요.
4년만에 오르비를 다시 와봤더니 난장판이네요. 무한과 극한에 대하여 심히 잘못된 생각을 가진 분들이 많으신데, 0.999… 는 정확하게 1입니다. 아니, 다른 식으로 말하면 0.999…라는 식은 1의 또 다른 이름입니다. 마치 金田一이나 김전일이나 다 똑같은 사람을 가리키는 것과 같은 논리입니다.
개중에는 자꾸 무한소니 접근하는 중이니 하는 이상한 소리를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개인적으로 교과서에서 극한을 어떻게 정의하는지 필히 복습해보시기 바랍니다. 제가 비록 7차과정 세대이고, 교과서도 그 시절 것밖에 없지만, 어차피 기본적인 내용은 크게 변하지 않았으니 7차 교과과정 대한교과서 수1 교재에서 극한의 정의를 발췌해보겠습니다.
'(전략)... 일반적으로, 무한수열 {a_n}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일반항 a_n이 어떤 일정한 실수값 α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수열 {a_n}은 α에 수렴한다고 하고, α를 수열 {a_n}의 극한값 또는 극한이라고 한다. 수열 {a_n}이 극한값 α에 수렴하는 것을 기호로 lim_{n→∞} a_n = α 또는 n→∞ 일 때 a_n → α 와 같이 나타낸다. ...(후략)'
입니다. 무슨 소리냐 하면, 어떤 수열의 극한값이라는 것은, 특정한 성질 (수열이 점점 어떤 값에 다가간다는 성질) 을 지닌 각각의 수열마다 그 성질에 대응되는 한 실수값을 대응시키는 개념이 바로 극한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0.999… 를 적어도 극한으로 이해하는 한, 이 식이 가리키는 것은 어떤 다가가는 상태가 아닌, 더도 덜도 아닌 1이라는 실수 그 자신입니다. 0.999…는 1을 표현하는 또 다른 방법에 불과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대학교에서 극한을 정의할 때 사용하는 입실론-델타 논법도 설명하고 싶은 욕심도 있긴 하지만... 어차피 말장난에 불과한 정의보다는, 수열과 그 극한값이 각각 어떤 것들이고 서로 어떤 관계를 갖는지에 대하여 조금은 이론적인 고민을 해 보는 것이 훨씬 나아보이네요. 이론적인 것을 등외시하면 이런 치명적인 개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니까요. (세상에, 언젠가 모의고사에서 절대값 함수를 다항함수라고 생각해서 선택형 문항을 우루루 틀렸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땐 기절하는 줄 알았는데 말이지요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