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기출 질문2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2360988
이 문제 1 번 선택해서 틀렸는데
직업 종사자수와 직업의 다양성이랑 무슨 상관 이죠?
이해가 안되는데..
빵집의 빵개수와 빵의 다양성 으로 생각해서 그런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2360988
이 문제 1 번 선택해서 틀렸는데
직업 종사자수와 직업의 다양성이랑 무슨 상관 이죠?
이해가 안되는데..
빵집의 빵개수와 빵의 다양성 으로 생각해서 그런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직업별 종류가 많으면 다양성이 높갰죠?
그러게요 이상하네요. 평가원 기출은 아니죠?
는 10 수능이네.
2010학년도~수능~뚜루뚜~
2013년도까지 사문 기출은 정말 혐오스러운게 많아요 생각보다
조사했는데 농촌에 3차 산업 직종 종사자가 수가 없거나 매우 적고 1차 산업 위주의 종사자가 다수.. 이런 식으로 비교 가능하죠
와 한국지리 문제랑 비슷한데? 사문도 이런식이에요?
직업'별'종사자 수 라서 a직업에3 b직업에2 c직업에는 몇명 이런식의 정보가 주어지잖아요 그럼 다양성도 알 수있죠
와 뭔가 엄청 문제가 더럽다는 생각이 드네요 물론 제가 못푸는거지만
요즘도 이런식의 문제 나오나요??
이 문제 1번이 답인 이유가 보기에서 직업의 다양성을 물어보잖아요. 그럼 그 지역의 직업의 종류라던가 를 조사해야하는데 직업별 종사자수는 관련이 없져.. 직업"별"이라고 해서 그럴 듯 하게 써놓긴 했지만요. 위에서 농부:10명 삼성:10명 이런식으로 직업에따라 종사자수 데이터 나오기 때문에 알 수 있다고 하셨는데 그 자료의 목적이 뭔질 생각하셔야해요!!
답 1 번 아닌데요?
옳은이유 물으신거 아니셧어여??!
아 전 1번이 옳은거라고 설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