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출신 연도별 임원 승진 현황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225635
2003년 신규,승진 임원
삼성, LG, SK, 현대, 한진, 금호, 한화, 신세계, 이수 등의
주요 그룹 신규 임원 승진 명단 중 이과와 공대 출신 임원 분석.
출처: 한국경제신문
서울대: 104명
한양대 : 48명
고려대 : 37명
부산대 : 35명
인하대 : 34명
연세대 : 34명
경북대 : 26명
성균관 : 16명
영남대 : 15명
전남대 : 9명
경희대, 울산대 : 각 8명
동국대: 7명
서강대, 중앙대, 항공대, 건국대 : 각 6명
숭실대, 전북대, 조선대, 동아대, 단국대 : 각 5명
충남대 : 4명
홍익대, 광운대 : 각 3명
과기대, 서울시립대 : 각 2명
명지대, 국민대, 관동대, 경상대, 충북대, 양산대, 아주대 : 각 1명
2004년
매일경제신문 2004년 2월 5일자 "재계 뉴리더
대상: 삼성, 엘지, 현대차, 현대그룹, KT, 한진, 금호, 신세계,
CJ, 한솔 등 12개 그룹사 금년 승진 임원중 이과와 인문계를
제외한 공대출신 임원
1. 서울공대: 66명
2. 한양공대: 62명
3. 인하공대: 43명
4. 경북공대: 29명
5. 연세공대: 28명
6. 부산공대: 23명
7. 고려공대: 19명
8. 성균관공: 18명
9. 전북공대: 10명
10. 경희공대: 9명
11. 광운공대, 영남공대: 각 7명
13. 항공공대, 서강공대: 각 6명
15. 충남공대, 동국공대, 동아공대: 각 5명
18. 숭실공대, 건국공대, 전남공대: 각 4명
21. 울산공대, 중앙공대, 아주공대: 각 3명
24. 서울시립, 홍익공대, 조선공대, 단국공대: 각 2명
28. 경남공대, 충북공대: 각 1명
2005년
신규 승진, 임원 중 순수 공과대학 출신 임원의 출신대학 분석
서울공대: 92명
한양공대: 76명
인하공대: 52명
고려공대: 42명
연세공대, 부산공대: 각 40명
경북공대: 32명
성균관공대: 29명
광운공대, 울산공대, 항공대: 각 11명
숭실공대: 10명
동국공대: 9명
서강공대, 중앙공대, 각 8명
전남공대, 아주공대: 각 7명
경희공대, 동아공대, 영남공대: 각 6명
국민공대, 충남공대: 각 5명
전북공대: 4명
단국공대, 조선공대, 홍익공대: 각 3명
서울산업공대, 서울시립공대, 건국공대: 각 2명
명지공대, 충북공대, 경남공대, 청주공대: 각 1명
2006년 1월 9일 및 24일 보도 자료
현대차그룹, 금호아시아나그룹, 현대그룹, 현대중공업, LS그룹, LG그룹, 두산그룹,
현대건설, STX그룹, SK건설, 삼성그룹, 신세계그룹, CJ그룹, SK그룹, KT그룹, 효성그룹,
대림그룹, 코오롱그룹, 동국제강 등의 대기업 신규승진임원 프로파일 중 공대 출신 임원 명수
서울공대: 119명
한양공대: 94명
인하공대: 59명
부산공대, 경북공대: 각 42명
고려공대: 41명
연세공대: 39명
성균관공대: 26명
영남공대: 23명
중앙공대, 전남공대: 각 13명
건국공대, 울산공대: 각 12명
경희공대: 10명
조선공대, 숭실공대, 전북공대, 동국공대, 홍익공대: 각 9명
아주공대: 8명
동아공대, 충남공대, 해양대, 광운공대: 각 7명
단국공대, 서울시립공대: 각 6명
항공공대: 5명
서강공대: 4명
경남공대: 3명
명지공대, 충주공대, 국민공대, 금오공대, 수산대: 각 2명
충북공대, 계명공대, 관동공대, 호서공대, 경상공대, 산업대: 각 1명
2007년 30대그룹 신규/승진 임원 순수 공대출신 대학교입니다.
자료 출처 : 한국경제신문
서울대 90명
한양대 66명
인하대 47명
부산대 40명
고려대 32명
연세대 29명
성균관대 22명
경북대 16명
영남대 15명
울산대 11명
경희대, 중앙대 각 10명
홍익대 9명
서강대 8명
전남대 7명
건국대, 동아대, 조선대, 항공대 각 6명
해양대 5명
아주대, 전북대, 충남대 각 4명
서울산업대, 숭실대 각 3명
광운대, 동국대, 부산수산대, 부경대 각 2명
계명대, 국민대, 경상대, 금오공대, 단국대, 서울시립대, 원광대, 청주대, 충북대 각 1명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마싯다 10
와플두개먹으니 잠이 오는구나,,
-
강k하고 히카푸까... 둘 다 많이 어렵나 강k 4회분, 히카 16회분
-
능지가 처참해요 0
뒤져야겟슴 그냥 너무 슬프고 공부하기 시름 너무 저능해 저능저능해...
-
공통은 준킬러까진 푸는데 확통 세젤쉬 예제도 버벅거림
-
맞팔해요 2
-
6모 15번 풀다가 기억이 안남 연속까지 해야하나
-
자의식 과잉 0
어케 고치죠 길에 나보다 훨씬 잘난 사람들 지나가면 자괴감 ㅈㄴ 듦
-
아무튼 내 성적은 올려주신분이라거 ㅜㅜ
-
헬스 주6일 0
헬린이라 근성장 많이 하고싶은데 일단은 시도해볼까요? 보통 숙련자 분들은 주 몇회 정도 하심?
-
어디서 볼 수 있나요?
-
와꾸가 어떰 남 평범 여 평범 커플이 젤 많음? 아니면 와꾸는 별로 안중요한데...
-
빵진숙: "다수독재"
-
공모하기 귀찮음.. 일단 묵혀놔야지
-
으흐흐
-
어 형 이 야 6
-
유대종 진또배기 듣는데 체화하려 기출 풀려는데 기출 문제집 사려는데 추천 좀...
-
대성의 강k나 더프 문제들은 되게 사소한(?) 작은 단서들까지 전부 끌어내 정답을...
-
P와 Q의 광도가 서로 100배 차이임을 저 숫자만 갖고 비교할수 있는 이유가 둘의...
-
조심스럽게 두드리면서 건너가야되는 과목이다.. 뭉개지면 끝이야 끝
-
소신발언 5
연속성 엄밀하게 따질 거였음 입델이나 쓰지 라고 하면 안 되겠죠
-
ESG경영 0
문과면 생기부에 무조건 들어감?
-
작수때도 6모4 9모3 수능4 나왔는데 이번해에는 6모3 뜨고 이감은 1~2...
-
투표해주세요!!! 저의 픽이 궁금하시다면 댓글 남겨주세요ㅎㅎ
-
27분 컷, 30번 틀 이원준화가 필요한 듯...
-
그럼 넌 내가 육감적이면 좋겠니?
-
지금도 등차수열인데 공차가 음수임 ㅜㅜ
-
하사십 드릴드2 드릴 5,6 볼텍스 4규 햇서용 수분감 수완 수특 샤인미,...
-
올 수능 끝나고부터 수학 ; 생2 개념 + 기출 만들어서 재능낭비하려 하는데 생2...
-
기습ㅇㅈ 5
도망가기
-
해설 너무 조은데 해설들으려면 실모를 풀어야해서 요즘 실모만풀고 복습함….ㅜㅠ
-
범바오 솔직히 허들링,범바오 모의 올해중 완강 가능할까? 5
지금 속도면 내년 8월은 되야 완강될거 같운데 현강제외 모든시간을 인강들링에...
-
확통 1번은 레전드로 쉬움 ㅋㅋ 5의 3승 곱하기 25의 1/3승이니까 정답은 5 5번
-
되나 아아아아아악 정신나갈거같애
-
대체 어떻게한거임 존나 개쳐어렵던데 그냥 사람대가리로 풀라고 만든 문제가 아닌거 같음
-
컴싸 ㅋㅋㅋㅋㅋ
-
네임펜 ㅋㅋㅋ
-
뭐가 문제인지 아시는분 있나요.. 눈이면 마그네슘 부족인건 아는데 전완근-이두 라인인데 뭐지
-
창의력이 좆같아서 못만듦
-
카톡으로 질문 딱 2번했음 이게 질문하기가 쉽지않음 ㄹㅇ
-
미적분 23번 걍 찢었음 24번 와라
-
Pc방에서 모고 해강 듣는 중
-
점보지우개 추천 2
미대 준비하는애들 이거 많이 쓴다..... 존나 잘지워짐....
-
그냥 수상수하가 공수1 공수2로 이름만 바뀐거고 대수가 수1 , 미적분1이 수2,...
-
타임어택이 너무 심해서 그런듯 수논풀다보면 수능 30번~31번급 나올때 있는데 한...
-
비와이 손심바 합작앨범.. 샀는데... 이게.....
-
펜텔 피에스타 이거 집에 곽으로 사놓고 썻음
-
이거 팔로우좀요 1
https://orbi.kr/profile/1402241
-
수2만 배워도 1/4 인거 나오지 아늠?.. 잘못푼건가 미적분을 안해봐서 ㅈㅅ,,
-
필기구 ㅇㅈ 4
음 난 매우 만족해
-
사실 H하는 거를 좋아해서 쓰기 시작했음
지방의대 올킬하던 세대임
20년전만해도 서울농대가 지방의대 올킬하던 시절이였으니
국내 주요기업 인사담당자들은 가장 채용하고 싶은 학과로 이공계열에서는 전자·전기·기계·전산을, 인문·사회계열에서는 경영·경제·법학과를 꼽았다. 전체적인 대학 선호도는 한양대, 고려대, 연세대가 사학 빅3로서 명문의 자리를 굳혔다.
이번 조사결과 기업 인사담당자들은 이미지가 좋은 대학으로 연세대를 첫 손에 꼽았다. 연세대는 ‘이미지가 가장 좋은 대학은 어디인가’(복수응답 가능)라는 문항에서 43.9%를 얻어 수위를 차지했으며, 채용선호대학과 업무능력 우수 신입사원 배출대학 수위를 차지했던 고려대가 32.7%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는 서강대(21.4%), 한양대(19.4%), 서울대(18.4%), 경희대(14.3%), 포항공대, 성균관대(11.2%)가 중상위권을 차지했으며, 한국외국어대(8.2%), 과기대, 경북대(각 5.1%), 이화여대, 중앙대, 전남대, 영남대(각 3.1%), 인하대, 서울시립대, 숙명여대, 충북대, 국민대, 아주대, 동국대, 충남대, 세종대(각 1.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사담당자들이 뽑은 ‘이공계열 졸업생의 업무능력이 가장 우수한 대학’에서는 공과대학으로 출발, 전통적으로 이공계열이 강세를 보여온 한양대가 42.9%를 얻어 수위를 차지하는 이변을 보였다. 서울대는 이번에도 37.8%로 2위 자리를 차지하는데 만족해야 했으며, 연세대(19.4%)와 고려대, 포항공대(각 18.4%)가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는 과기대 13.3%, 인하대 11.2%, 성균관대, 서강대 각 5.1%였으며 건국대, 광운대, 영남대(각 3.1%) 순으로 나타났다.
포공 졸업자들은 어디로 증발했나요? 설립된지 별로 안되서 그런가?
서울공댘ㅋ 갑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