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탐과 과탐의 ㄱㄴㄷ고르기 문제의 차이점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2249815
흔히 탐구에서는 문제 조건에 맞는 ㄱㄴㄷ고르기 문제가
많죠.
그런데 사탐과 과탐의 ㄱㄴㄷ 합답형 문항의
차이점 알고계셨습니까?
바로 사탐은 ㄱㄴㄷ은 물론 ㄹ까지 들어있어
ㄱㄴㄷㄹ 4개중 옳은것을 있는대로 고르는것인데
과탐은 ㄱㄴㄷ 딱 3개중에서만 옳은것을 있는대로
고르는 것 입니다.
솔직히 사탐에서도 사회문화에서의 도표해석
문항은 ㄱㄴㄷ 3개중에서만 물었으면 좋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과탐도 4개해라
보기가 더 추가되면 난이도가 올라가나요?
그럴거같지만 운좋으면 소거법으로 선지2개로 답나오는 경우가 많아서 더 쉬워요.
사탐 합답형 선지가 과탐처럼 바뀌면 정답률 엄청 내려갈것같아요.
오히려 4개보다 3개있는 보기가 의외로 더 까다로운가요?
그건 제가 과탐을 안해서 모르겠는데,
사탐 합답형문제는 소거법쓰기에 상당히 유리합니다.
사탐두 ㄹㅇ 한페이지에 세문제나와야하는데
추가로 과탐은 반드시 옳거나 반드시 틀린거 둘중 하난데
사탐은 진위선별이 불가능해서 답이 아닌 선지도 있다는 차이도 있어용
과탐도 그런거 있어요..
음...제가 작년에 생지할때는 거의 맞거나 틀린거 둘중 하나였던걸로 기억하는뎅...가계도가 진위선별 안되는게 있었던건가??
진위 선별 불가 ㄷㄷ
안그래도 수능만 되면 등급컷이 47 48 50으로 고정되고 각 과목당 만점표점이 과탐보다 낮아 물보정행인 사탐을 남극 수준으로 만들고 싶으신가... 여기서 저런식으로 난이도 더 낮추면 백분위 70대 받아도 큰 타격 없는 일이 벌어질듯...
과탐도 4개인거 가끔있어요 작년 수능 지1아름다운한반도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