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 전문가들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941705
참여 민주주의 : (=엘리트 주의) 국가의 운영을 법에 의하지 않고 시민 다수나 엘리트에 맡기는 것
참여형 정치문화 : (=민주주의)
정치 체제 인식, 투입, 산출, 정체적 주체 자아 모두 +
이 두 개념이 같은 건가요?
어찌보면 같은데... 어찌보면 다르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941705
참여 민주주의 : (=엘리트 주의) 국가의 운영을 법에 의하지 않고 시민 다수나 엘리트에 맡기는 것
참여형 정치문화 : (=민주주의)
정치 체제 인식, 투입, 산출, 정체적 주체 자아 모두 +
이 두 개념이 같은 건가요?
어찌보면 같은데... 어찌보면 다르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참여민주주의가 엘리트주의라구요? 꽤 돼서 잘은 기억 안 나지만 아닌 것 같은데
마더텅에 그렇게 나왔어요 ㅠ
참여 민주주의는 엘리트 주의 아닐껄요..
여기 나와요ㅠ
그 뜻이 아니에요....
귀족정(=엘리트주의)이나 참여민주주의 둘다 법에 의하지 않고 단지 의사에 따라 통치하면 입헌주의에 어긋날 여지가 있다는 거에요
아하 그렇군요 ㅠ 제가 잘못이해했습니다
참여민주주의 = 엘리트주의는 어찌보면 맞는 표현이고 틀린 표현이기도 합니다
참여민주주의 안에 엘리트주의가 포함되어있거든요..
평가원에 나오는 선지여서 이걸 어떻게 받아들이면 될까요??
문제도 볼수있을까요~
여깄습니다^^
윗분이 하신말씀이 맞아요~
다만 정치학에서는 엘리트주의를 다원주의와 함께 참여민주주의의 일종으로 보고있어요~
아 ㅠ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