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원의 앞을 노리는자 [630171] · MS 2015 (수정됨) · 쪽지

2017-04-07 11:35:57
조회수 540

'평등'은 굉장히 위험한 생각인듯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701944

근거

: 타인의 돈을 빼았는 범죄를 법적으로 정당화시킴 (누군가는 피해를 봄)


따라서, 평등을 근거로 만들어진 복지 정책 등은 폐기되어야 합니다.


사람들이 평등을 추구하는 원인

: 직관적 본능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 열등감이나 공감 행위에 의해서도 발생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콘노 유우키 · 733095 · 17/04/07 11:39 · MS 2017

    공부의 신이라는 일본만화에서 본 내용이 생각나네요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키워주어야 하는 것은 평등이 아니라 건전한 경쟁의식과 도전정신이다''

  • 쩝쩝접 · 591036 · 17/04/07 11:45 · MS 2015

    역사상 수많은 기득권층의 교체과정서 유혈사태가 잇다르는 것을
    어찌보면 '평등'이란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라...

    빈부격차가 극대화된 상태서 비기득권층의 엄청난 불만을 찍어누르는 방법 자체가 무력진압밖에 없다보니
    (결국은 그 무력진압도 실패하거나, 무력집단도 등돌리면서 체제가 붕괴하는게 역사다보니)

    최소한의 비용으로 체제붕괴와 그에 따른 피의 발생을 막는 방법...이겠죠?

  • 쩝쩝접 · 591036 · 17/04/07 11:46 · MS 2015

    그리고 최소한의 복지정책 마저 폐기되면 바로 국가 망크리 뜨는건 사례가 워낙 많아서리...

  • 꽃길별길 · 732948 · 17/04/07 11:48 · MS 2017

    기회의 평등은 지극히 정의롭지만 결과를 평등화시키려는건 공산주의적 발상이죠. 물론 현 불반도는 기회의 평등 따위...

  • 고연 · 721414 · 17/04/07 11:51 · MS 2016

    공산주의는 정의롭지 않나요? 비록 비현실적이지만, 노동의 대가를 필요에 따라 분배하는 것은 관점에 따라서는 정의롭다고 여겨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꽃길별길 · 732948 · 17/04/07 11:53 · MS 2017

    아잠깐만...제가 말한건 공산주의가 아니라 사회주의적 발상이 아닌가요?

  • 고연 · 721414 · 17/04/07 11:54 · MS 2016

    ㅈㅅ제가 빡대가리라...

  • 꽃길별길 · 732948 · 17/04/07 11:54 · MS 2017

    근데 노동의 대가를 필요에 따라 나눈다는게 무슨 뜻인가요? 차등적 배분?

  • midashand · 687807 · 17/04/07 11:54 · MS 2016

    도서정가제, 단통법은 "평등"을 악용한 사례가 아닐까요?

  • 당파양근 · 697426 · 17/04/07 12:02 · MS 2016

    ?? 사회계약 아래에서 세금을 내고 그 세금을 공공을 위해 쓴다는 내용에 공동체 구성원이 찬성한 것 아닙니까?

  • 평가원의 앞을 노리는자 · 630171 · 17/04/07 12:04 · MS 2015

    국민이 뽑은 국회의원이 법을 제정했다 해도 동의하지 않는 국민들도 많죠.
    물론 모든 국민들의 의견을 다 듣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긴 하지만...

  • 여기에 but이 없음 · 637213 · 17/04/07 12:08 · MS 2015

    노직이다

  • 헤네시스 · 740249 · 17/04/07 12:11 · MS 2017

    소득세가 최초로 시행된 게 1917년 미국이었는데, 그때도 엄청나게 말이 많았죠
    정당하게 노력해서 번 돈을 왜 뺏느냐고

  • 엘류어드 · 304134 · 17/04/07 13:20 · MS 2009

    평등은 기회의 평등 선에서 엄격히 제한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 숨마켜주글꺼가데 · 733579 · 17/04/07 16:49 · MS 2017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