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브
오르비
아톰
내 태그 설정
Proximity [676189] · MS 2016 (수정됨) · 쪽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616957
판단은 여러분께 맡기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쪽지 보내기
알림
스크랩
신고
이거 통과되면 현 중3부터죠?
대학 도대체 어떻게 가는겈ㅋㅋㅋ?
왜 안짖어요..!!!!
추첨
반대
시행되면 정시확대될듯
ㅇㅈ
절평이면특목고세계됨
내신이 절대평가가 된다면 내신의 변별력이 거의 사라질 것이므로 대학 측에서 학생부 위주의 선발방식을 고집하기가 힘들어질 것 같습니다. 따라서 내신의 절대평가에 찬성합니다.
;;;수시 ㅜㅜㅜ
찬성. 대신 지금보다 "수시모집 내 수능비중 증가"(정시증가가 아님)와 "입사제에서의 학생부 비중 대폭축소"가 함께 이루어졌으면
그럼입사제에선뭘로뽑죠ㆍㆍ
그냥 학생부 종합전형이라는 것이 자리잡기 이전이요. 지금보다 자소서, 외부 활동, 포트폴리오, 면접 등의 비중이 높았죠
자소서 포트폴리오는 조작이쉬워서ㆍㆍㆍㅜ 학생부는 내신 수상실적이라도있지ㆍㆍ 그비중을줄인이유가있어요
학생부도 학교에 따라서는 얼마든지 조작이 가능하죠. 솔직히 지금 학생부가 신뢰성이 얼마나 되나요? 차라리 '학교에서 시키는 거 성실하게 하는 것'보다는 '개인이 주도적으로 하고 싶어서 하는 활동'을 평가하도록 그렇게 바뀌는 게 낫다고 봅니다
그나저나 언제나 ...를 ㆍㆍㆍ로 적으시던데 삼성폰 키패드 2번 위치 누르시나요 ㅋㅋㅋㅋ
절평이래봤자 학교마다 시험문제 다르면 그게 그거고 다 똑같으면 수능 여러번 보는거랑 비슷할듯 하니 실수해서 망할 사람들 구제하는 효과가 있어서 좋을듯 근데 그러면 외고 과고 영재고는(영재고는 고교가 아니니 제끼더라도) 배우는게 다를텐데 어떻게 하려나
외고 과고는 이득보죠ㆍㆍ지금보다 더 성적인플레가일어날꺼구요
시험 과목이 다른데 어떻게 시험을 칠까가 궁금한거였어요 똑같은 문제 풀면 이득이야 보겠지만 학교에서 배유는게 아닌 내용을 시험보면 그걸 내신이라 할 수 있을지...(오히려 외고나 과고의 존재 의의를 상실할거같음)
아 내신을 다같이볼수가없죠ㅋㅋㅋ 그건 진짜교권침해 글잘못읽었습니다ㅠㅡ
개.소.리
내신 상대평가제 도입한 이유가 수우미양가 시절 내신 부풀리기가 만연해서인데, 다시 그때로 돌아간다면 학종과 교과를 필두로 한 수시의 존립 기반이 더 흔들릴듯. 개인적으로 매우 바람직하다고 생각
듣기로는 극단적으로 수 비율이 8~90%에 육박하는 학교들까지 꽤 있었다고 하던데... 중학교 절평 때 경험상 그런 일 일어나기는 어려울 거 같아요. 교육청 쪽에서도 각 급간 비율을 20% 정도로 맞추라고 요구한다고 알고 있고..
걍 정시 7 수시 3 비율이나 맞출 것이지
내신의 절대평가가 시행되면 결국 학생부 위주의 선발방식이 축소될 것입니다. 이에 따라 정시가 확대될 수 있습니다.
근데 이게 맞는거같음.. 강남같은데는 내신따기 다른지역보다 훨 어려우니..
2026 수능D - 196
민사고 의대생 수과학과외
좋은 연이 닿기를 희망합니다
무조건 올려드립니다 (정시 의대)
고등학교진짜영어쌤
고등 내신/수능 물리학1, 물리학2, 고급물리학, 일반물리학
논술, 국어 특화
이거 통과되면 현 중3부터죠?
대학 도대체 어떻게 가는겈ㅋㅋㅋ?
왜 안짖어요..!!!!
추첨
반대
시행되면 정시확대될듯
ㅇㅈ
절평이면특목고세계됨
내신이 절대평가가 된다면 내신의 변별력이 거의 사라질 것이므로 대학 측에서 학생부 위주의 선발방식을 고집하기가 힘들어질 것 같습니다. 따라서 내신의 절대평가에 찬성합니다.
;;;수시 ㅜㅜㅜ
찬성. 대신 지금보다 "수시모집 내 수능비중 증가"(정시증가가 아님)와 "입사제에서의 학생부 비중 대폭축소"가 함께 이루어졌으면
그럼입사제에선뭘로뽑죠ㆍㆍ
그냥 학생부 종합전형이라는 것이 자리잡기 이전이요. 지금보다 자소서, 외부 활동, 포트폴리오, 면접 등의 비중이 높았죠
자소서 포트폴리오는 조작이쉬워서ㆍㆍㆍㅜ
학생부는 내신 수상실적이라도있지ㆍㆍ
그비중을줄인이유가있어요
학생부도 학교에 따라서는 얼마든지 조작이 가능하죠.
솔직히 지금 학생부가 신뢰성이 얼마나 되나요?
차라리 '학교에서 시키는 거 성실하게 하는 것'보다는 '개인이 주도적으로 하고 싶어서 하는 활동'을 평가하도록 그렇게 바뀌는 게 낫다고 봅니다
그나저나 언제나 ...를 ㆍㆍㆍ로 적으시던데 삼성폰 키패드 2번 위치 누르시나요 ㅋㅋㅋㅋ
내신은조작힘들져근데
수상실적이랑
보통학생부내용으로평가하는거아님
절평이래봤자 학교마다 시험문제 다르면 그게 그거고 다 똑같으면 수능 여러번 보는거랑 비슷할듯 하니 실수해서 망할 사람들 구제하는 효과가 있어서 좋을듯
근데 그러면 외고 과고 영재고는(영재고는 고교가 아니니 제끼더라도) 배우는게 다를텐데 어떻게 하려나
외고 과고는 이득보죠ㆍㆍ지금보다 더
성적인플레가일어날꺼구요
시험 과목이 다른데 어떻게 시험을 칠까가 궁금한거였어요
똑같은 문제 풀면 이득이야 보겠지만 학교에서 배유는게 아닌 내용을 시험보면 그걸 내신이라 할 수 있을지...(오히려 외고나 과고의 존재 의의를 상실할거같음)
아 내신을 다같이볼수가없죠ㅋㅋㅋ
그건 진짜교권침해
글잘못읽었습니다ㅠㅡ
개.소.리
내신 상대평가제 도입한 이유가 수우미양가 시절 내신 부풀리기가 만연해서인데, 다시 그때로 돌아간다면 학종과 교과를 필두로 한 수시의 존립 기반이 더 흔들릴듯. 개인적으로 매우 바람직하다고 생각
듣기로는 극단적으로 수 비율이 8~90%에 육박하는 학교들까지 꽤 있었다고 하던데... 중학교 절평 때 경험상 그런 일 일어나기는 어려울 거 같아요. 교육청 쪽에서도 각 급간 비율을 20% 정도로 맞추라고 요구한다고 알고 있고..
걍 정시 7 수시 3 비율이나 맞출 것이지
내신의 절대평가가 시행되면 결국 학생부 위주의 선발방식이 축소될 것입니다. 이에 따라 정시가 확대될 수 있습니다.
근데 이게 맞는거같음.. 강남같은데는 내신따기 다른지역보다 훨 어려우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