튤립매니아 [293611] · MS 2009 · 쪽지

2017-03-23 15:34:32
조회수 2,680

한국 고교생 김가은, "스텐포드에서 인공지능으로 의학 연구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587290

최근에 직접 프로그래밍을 독학하고 새로운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 17살 고등학생인 김가은 양을 만나보았다. 현재 김가은 양에게 프로그래밍이란 꿈을 이루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한다.


17살 학생의 머신러닝 연구

김가은 학생은 3월18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오픈소스 아시아 서밋 ‘포스아시아’ 발표자로 나섰다. 주제는 ‘머신러닝과 메디컬 이미징 : 암 조기 진단의 미래’였다. 20-30명이 모인 강당에서 김가은 학생은 유창한 영어로 발표를 20분간 이어나갔다. 몇몇 청중은 김가은 학생의 프로필을 보고 웅성거렸는데, 특히 그녀의 나이를 확인하곤 매우 놀라워했다. 발표 내용도 이제 고등학생이라고 하기엔 굉장히 깊은 내용이었다. 발표 끝나고 청중들은 큰 박수를 보냈고, ‘대단하다’라는 격려를 김가은 학생에게 직접 건내기도 했다.


▲’포스아시아’ 서밋에서 발표를 하고 있는 김가은 학생

김가은 학생은 현재 스탠포드 온라인고등학교에 재학중이다. 스탠포드 온라인 고등학교는 스탠포드대학이 2006년에 설립한 정식 고등학교로, 모든 수업과 활동을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있다. 김가은 학생은 초등학교 5학년까지 한국에서 학교를 다니다가 바로 온라인 고등학교로 옮겨 중학교 생활을 보냈다. 그렇다고 따로 미국으로 거주지를 옮긴 것은 아니다. 현재 3년 넘게 한국에서 스탠포드 온라인 고등학교를 다니고 있으며, 미국 현지 시간에 맞춰 수업은 새벽에 듣고 있는 방식이다.


김가은 학생은 최근 미국 스탠포드대학에 가서 연구원 생활을 하고 있다. 김가은 학생은 “이력서랑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작성해서 연구실에서 일하고 싶다고 적었다”라며 "2명의 교수님께서 허락해주셨고, 한 분의 연구실에서 6개월 동안 있기로 했다”라고 설명했다.


인터넷으로 독학으로 배운 인공지능

현재 김가은 학생이 진행하는 연구 주제는 ‘암 진단 이미지의 정확도를 늘리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초음파 사진을 찍을 때 환자가 숨을 쉬면 사진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김가은 학생의 기술은 이미지 프로세싱과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암덩어리를 보다 뚜렷하고 명확하게 볼 수 있게 돕는다.


“코딩의 경우, 처음에는 주변 친구들이 코딩을 하길래 저도 한번 찾아봤어요. 머신러닝쪽에 관심이 생겼어요. 머신러닝은 홍콩과학기술대학교 김성훈 교수님이 무료로 올려둔 강의가 있더라고요. 그걸 보면서 배웠고요. 요즘에는 다른 친구들과 1주일에 한 번씩 스카이프로 채팅하면서 머신러닝 공부도 같이 하고 있어요.”



올해 9월부터 김가은 학생은 대학입시 준비를 시작한다. 앞으로도 프로그래밍과 의료를 결합한 분야에서 계속 남고 싶다고 한다. “‘내가 좋아하는 것, 남들이 필요한 것, 내가 즐길 수 있는 것, 수익을 만들 수 있는 것’을 융합한 일을 하면 좋다는 식의 명언을 들었어요. 지금 하는 일은 어느 정도 그 범주 안에 들었다고 생각해요. 학교 숙제도 많고, 공부할 것도 많아서 잠을 많이 못자는데요. (웃음) 그래도 매일 연구실에서 일하는게 너무 즐거워요. 딥러닝 공부를 교수님께 직접 배우는 것도 재밌고요.”

FOSSASIA_KIM_00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톰슨가젤 · 640209 · 17/03/23 15:50 · MS 2015

    이런 친구들 보면 부럽다

  • Chrominum · 487666 · 17/03/23 15:52 · MS 2014

    제 친구인데... 쟤는 인간이 아니에요. 정말 천재입니다

  • 톰슨가젤 · 640209 · 17/03/23 16:32 · MS 2015

    혹시 사례같은거 말씀해주실수 있으신가요?

  • Chrominum · 487666 · 17/03/23 16:58 · MS 2014

    저 친구 2000년? 2001년생입니다. 제가 오빠라고 부르지 말아달라고 친구로 지내게 해달라고 했을 정도에요. 전국청소년영어토론대회에서 중학생으로 유일하게 '심사위원' 으로 참가했었는데 저 친구가 본선 진출 심사위원 및 우수 심사위원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참고로 저 대회의 심사위원에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 인서울 주요대 영어토론 동아리 회원들이 진짜 많습니다. 저 대회 심사위원으로 참가하는 것 자체가 영광이거든요. 또 하나, 전세계 고등학생영어토론대회 국가대표, 전국정보올림피아드 수상 및 국제철학올림피아드 국가대표의 화려한 경험이 있어요. 쟤는 그냥 머리가 좋아요.

  • 컴터렉오지네 · 729449 · 17/03/23 17:17 · MS 2017

    이걸 가은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