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오늘 항부력 살면서 처음으로 이해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527360
진짜 기분 엄청좋았네요 한달반쯤전에 나기출 풀면서 읽었는데 진짜 무슨 개소리지 싶어서 나중에 실력좀 오르면 봐야겠다 하고 넘겨뒀다가 홀수로 갈아타고 오늘 봤는데
낙하운동할 때는 중력 = 항력 + 부력이고 상승운동할 때는 부력 = 항력 + 중력이여서 보기 적용문제 5번선지가 밀도가 더 큰 '유체'(처음 읽을때 물과 공기가 밀도가 1/1000 차이난다는 거에서 낙하하고 있는건 물방울이니까 여기서는 공기만 물체고 물은 유체가 아니라 물체라는 것도 겨우 깨달음)에서 부력이 증가하고 중력은 그대로니까 항력이 증가에서 맞는 선지라는거 깨닫고나니까 진짜 쾌감....... 이제 저런 지문들을 어떻게 8분이내로 풀어내냐가 문제네요 ㅠㅠ 이렇게 당장 늦더라도 천천히 제대로 이해해나가는게 정도인거 맞겠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제 예비 15번이였는데 앞에 26명 빠졌고... 작년보다 너무 안빠지네.. 그래도...
-
사람들이 요즘 수II나 미적분 4점짜리 문제의 핵심 풀이과정이 고1수학과 많이...
-
부산만 돼도 소원이 없을듯요..
-
국어순서 언독문 12
님들 언독문 하실때 독서 가나 뒤로 미루시나요??
-
국어 순서 0
작69 다 1인데 수능만3박아서 문언독에서 언독문으로 바꿧는데요.. 혹시...
-
반수생이었습니다. 원래 올해 수능을 보려다가.. 큰일은 아니지만 집에 일이 생겨...
-
해설 퀄리티 등을 따졌을 때 한완기가 더 끌리기는 한데, 가격이 너기출의 2배여서...
-
평가원 문제 선별로 알고 있는데 찾아보니 보통 1회독 이상 하신 분둘이 회독 용으로...
-
짜피 반수할건데 그나마 더 나은곳이 어디임? 가천은 7칸이고 단국은 6칸최초합
-
재수1년 커리 2
국어: 김민정 풀커리(이분현강듣고 성적이 많이 올라서 그대로함) 수학: 이창무...
-
[출제 오류] 11월 더 프리미엄 모의고사 생활과 윤리 오류 4문항 정리 [11덮] 10
먼저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더 프리미엄 모의고사에서 출제 오류가 발생한 점에...
-
국어 우기분 수학 실모?만 풀면될까요 영어 국사 ㅈ망
-
시험 전날까지 무슨 과목 보는지도 몰랐는데 오늘 기말고사 보니까 잘하면 독서,...
-
안녕하세요 저는 05년생 이제 곧 고등학생이 될 학생입니다. 저는 지난 3년을...
-
안녕하세요. 저는 어떤 지방의 ㅂㅅ같은 중학교에 재학중이고 공주사대부고와 한일고를...
물논!
근데 문과분들은 밀도랑 질량이 상관있단걸 어떻게 아시나요?
공기(= 유체)의 밀도는 물(= 물체) 밀도의 1/1000수준 이므로 빗방울(=물=물체)이 공기(=유체)에 영향을 주는 정도는 미미하다. 그러나 스티로폼 입자(=물체)와 같이 밀도가 매우 작은 물체 >>>> 추론: 스티로폼의 밀도가 물의 밀도보다 작으므로 스티로폼 입자는 공기(=유체)와의 밀도차이가 더 작다 = 부력이 더 크다] 이니까
보기문제의 5번선지
공기보다 밀도가 더 큰 기체(C라고 가정) 내에서 B가 상승하여 일정한
속도를 유지할 때 B에 작용하는 항력은 공기 중에서 상승하여
일정한 속도를 유지할 때 작용하는 항력보다 더 크겠군.
에서 B와 C와의 밀도차이가 B와 공기와의 밀도차이보다 더 크기 때문에 C기체에서의 B의 부력이 더 큰데 상승운동시 종단속도에서는 부력 = 항력 + 중력인데 중력의 값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C기체에서의 항력이 공기에서의 항력보다 더 크다
옛~~~~날에 배웠던 과학이 문제풀다 잠깐 떠올라서 밀도랑 질량이랑 무슨 상관이 있나? 하고 지문읽으면서 잠깐 생각하다가 떠오르지도 않고 그냥 있는 그대로 읽어보자 하고 그 생각 지우고 읽었어요 다시 분석할 때도 밀도랑 질량이 어떤 관계인지 정확히 알아야만 풀수잇나? 라고 생각하면서 읽었는데 저 댓글쓴대로 이해했는데 문제가 정확히 풀리네요 혹시 이 지문이해하는데 밀도와 질량의 관계가 꼭 필요한건가요??
그지문 푼지 오래되서 기억은 잘안나는데 부력은 물체의 부피만큼에 해당하는 유체의 질량에 비례하는거 아니었나요? 부력은 밀도랑은 상관없었던걸로 기억하는데
빗방울에 작용하는 부력의 크기는 빗방울의 부피에 해당하는 공기의
무게이다. 공기의 밀도는 물의 밀도의 1,000분의 1 수준이므로,
빗방울이 공기 중에서 떨어질 때 부력이 빗방울의 낙하 운동에
영향을 주는 정도는 미미하다. 그러나 스티로폼 입자와 같이
밀도가 매우 작은 물체가 낙하할 경우에는 부력이 물체의 낙하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게 지문에 실린 부력 관련 문장 내용이고
제 의견은 결국 일반적 진술 다음에 구체적 진술이 나온거니까 님은 일반적 진술만 보고 이해할만큼의 배경지식이 있으신거고 저는 그게 아니라서 같은 내용을 반복하는 그 다음문장들을 읽어서 이해했다고 보면 될거같은데요 결국 첫문장이나 그뒤로 이어지는 문장이나 같은 말을 하는거아닌가요?? 아닌가..
물리하면 그지문 그냥.. 갠적으로 16수능은 물리하면 비문학2개 꽁으로 먹는느낌인데 문과국어라 ㄷㄷ
ㅠㅠ 저도 요즘 느끼긴 하는게 열기관은 상대적으로 덜한대 반추위지문같은건 정말 힘드네요 ㅠㅠ
이해하려고할때 통째로 이해하려고하지마시고 3번째문제에 나오는 12345선지랑 일대일 대응시키듯이 하면서 그때그때 필요한 한두문장 이해하는게 더빠르고 정확해요...고2때부터 그냥 비문학은 딱히 틀려본적이없고(물론재수중이지만) 시간도 넉넉한 편인데 비문학을 저렇게 접근해서 그런거같다는 생각이드네여
홀수 분석노트에 근거 찾는식으로 되있어서 어느문단 어떤 문장근거로(1,5문단 막 이렇게 멀리 있는 경우도 더러 있더라구요)그 선지가 맞고 틀리는지는 항상 파악해요!! 근데 일단 그게 되려면 먼저 지문에대한 이해가 선행되야되서 근본적인 독해력 자체가 문제인거같아서 이렇게 접근하고있네요
밀도 공식? 그건 꼭 알아야 하나요?
저 이해하는데 밀도공식 전혀 안썼어요 계속 읽어봤는데 이해 제대로 한거 맞는듯 그저 밀도의 공식만 모를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