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만 마닳 n회독 의미없다고 생각하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431010
2회독까진 하겠는데 그 후로 뭘 더해야할지 모르겠고
2회독 할때도 틀렸던건 답도 다 기억이나는데..
n회독 보다 그냥 새로운문제 푸는게 더 도움될꺼 같아요ㅠㅠ
근데 또 이찬희쌤은 이런생각하지말구 그냥 믿고 n회독
하라 그러는데 무작정 믿고 하라그러니까...심란@_@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일주전에 적혀있던 내용인데 [37] 1승 1무 1패로 16강에 가려면 그 조 1위...
저는 마닳의미없다고 생각합니다. 주변에 마닳해서 잘본애 못봄
그런가요 ..ㅜㅜㅜㅜ근데 왜이렇게 마닳마닳 하는지..
쓸모없지는 않은데
'회독'이라는 것에 신경쓰고 공부하게되면 망하는거같아여
저는 별로 안좋아함
맞아요 워낙 '회독'이란 말을 강조해서 그거에 더 신경쓰고 하는거같아요..
전 마닳 살바에 그냥 프린트해서 풀듯
근데 국어 한번프린트하면 잉크 너무많이써요 ㅋㅋㅋㅋ
저는 갠적으로 마닳이 시중서점에서 안팔고 현역들은 잘 모른다는 프리미엄 부가가치때문에 오히려 이찬희가 제시한 회독에만 목메다는 사람들이 많아진다고봐요.
국알못인 저의 개인적 소견이였습니다
맞아요 회독에만 집중하고 있는거같아서ㅜㅜㅜ에휴
치리스찡 '회독'에서 양보다는 질이 더 중요하게 하시면 되요.
본인 스스로 생각하기에 아무것도 느는게 없다고 생각한다면 아닌거에요.
뭔가 근거를 잘 보이게 된다든지, 지문 독해가 잘 된다든지 실력이 늘어나는 게 보여야 해요
실력이 늘어나야 하는데ㅜㅜㅜㅜ그게 안보이지 왜ㅜㅜㅜ 헛공부 하고있나..하아..
헛공부는 아니지만....효율적이지는 못할 수 있어요 치리스찡
마닳하고 망한애들 많음22222
솔직히 마닳 맹신하고 하는애들중에서 수능때 ㅅㅌ치는애들 드물었음. 나도 그냥 상상모의+기출만 하고 비문학만 좀 따로 더 공부하는식으로 해서 1등급 찍었으요
새로운문제를 푸는게 좋겠져..? 근ㄷㅔ 님은 머리가 좋은거같은데 ㅎㅎ..
머리보단 시간투자를 많이햇어요 마닳반복말고 문제풀이하고 정리하는뎈ㅋㅋㅋ 저 머리 나뿜 ㅠㅠ
어렵고 뭔가 애매한거 3회독하시면좋아요 시디지문같은거 삼회독하고 눈뜸
어떤식으로 삼회독하셨어요? 시키는대로 삼회독 하신건가욥
시키는대로햇져 쉬운거 다 엑스하고 햇어요
근데 너무효율이없다싶으면 풀면서 찝찝햇던거나 너무어려웟던거 보세요 답기억나도 풀이과정이달라질수잇뜸
넹넹 감사해요! ㅎㅎㅎ
네의미없습니다
해설지안보고 자기가고민해본다
기출에서많이나온개념들을 뽑아내본다
그리고해설지와내가부합하는지확인해본다
이과정만거칩니다
기출에서 많이나온 개념들을 뽑아내본다 이게 무슨뜻인가요?
문학같은경우 시각적이미지 이런개념어라든지
시적상황과 그에대한 화자의 대응은 어떤지 알아보는거죠
그런느낌임
비문학같은 경우는 견해가 다를수있으나 많이나오는 구문이랑
두관점이 나왔을때 어떤게 출제포인트와 선지답이 되었는지
자주나오는 오답패턴들도분석해보고...그냥 그런 느낌입니다
오호.. 저는그냥 왜틀렸는지 이런거만 보고있었네요 ..
왜틀렸는지만분석하면 다음번에 같은 느낌의 다른문제를 푸실때 답의근거가 어떤부분에서 나왔는지 오답패턴은 흔히 이렇게 되니 그패턴에 벗어났다고생각됐다는오답은 제가판단을 잘못한거라생각하게되더라구욤 고민많이해보세요국어문제푸실때
네 ㅠㅠ 솔직히 어떤 고민을 해야되는지 잘 몰랐었는데.. 감사해요 !!
9번 정도 보면 효과 있어요 ㅋㅋ
무작정 n회독하다 피본사람 여기있습니다
저는 마닳 1~3권 2회독씩 + 실모로 공부하고 수능 국어 98점입니다 특정 교재를 쓴다고 수능을 잘 본다거나 잘 못본다거나 그런 건 없지만 기출을 제대로 공부하시면 어떤 교재를 쓰시든 상관이 없고 개인적으로 마닳 해설이 자세해서 좋았네요 ㅋㅋㅋ
기출을 어떻게 '제대로' 공부해야 되는지 잘 모르겠네요 ㅜㅜ
무작정 관성에 젖어서 n회독을 하는 것은 의미가 없는게 맞습니다. 그런데 이찬희 선생님이 말씀하시는 n회독은 '자신이 모르는 것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지문 한단락 한단락 한문장 한문장 , 선지 하나하나 뜯고 분석해서 혹시 사소한 것이라도 자기가 모르는 것이 있는지 찾는것이죠.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죠, 기출을 반복해서 보다보면 한두개씩 자기가 모르지만 무심코 지나갔던것들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그런것을 찾아내는것이 소위 말하은 기출 분석인 거고요. 2~3시간 투자해서 그런것을 하나만 찾아내도 전 이득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런 기출분석은 꼭 마닳로 해야하는건 아닙니다. 어떤 기출문제로해도 제대로된 기출분석을 하신다면 위 과정을 겪는 자신을 발견하실 겁니다!!
그 사소한 모르는것 하나를 찾았다고해서 그게 이득일까요 3시간이나 투자해서 ...? ㅠㅠ
전 그렇게 생각해요. 공부라는게 다른게 어려운게아니라 반복의 지루함이 어려운거라고 생각하거든요. 특히 학습이 누적될수록 그게 더 심해지죠. 앞으로 수능까지 대략8개월정도 남았는데 240일동안 매일 모르는거 1~2개씩만 찾아도 수백개의 빈 부분을 채울수있어요. 그렇게 생각하면 하루에 1개만 찾아도 큰 공부 아닐까요?
저는 무작정 n회독이 아니라 고민하면서 또풀고 또풀고 하다보니 n회독이 된 느낌이에요! 16 17 수능 모두 마닳했는데 16엔 백분위 98 17엔 만점이었어요 저는 회독으로 따지면 2년간 20회?는 족히 했을것 같네요 하루도 안빠지고 80분씩 했어요 단순히 n회독이아니라 고민하는 과정을 겪고겪고 하다보니 많이 하게됬네요 아 그리고 저는 꼭 마닳 아니라 그냥 최신 모의고사형태(그니까 옛날 듣기빠지고 화작문배치)면 아무거나 상관없다고 생각해요 근데 마닳하기전에도 고1부터 1등급 수시로 받아와서 꼭 n회독 때문인지는 모르겠네요..
엇 쓰고보니 윗분이랑 거의 같은의견이네
우와 20회는 족히하셨다니..그 20회동안이나 뭘 고민하셨는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머리도 좋으신데 열심히하시는거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