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날다 [257626] · MS 2008 · 쪽지

2011-03-05 13:56:37
조회수 2,812

국사만점의 지름길인 교과서 정복 팁 10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37398

[재수 6평 44, 재수 9평 45, 삼수 6평 50, 삼수 9평 50, 삼수 수능 48점을 받았습니다. 제가 썼던 방식이에요]
[요즘은 국史가 국死라서 교과서를 보면서 지엽적인 내용을 잡지 않으면 유혈사태가 일어납니다. 반드시 읽으세요!!]


1.가장 중요한것; 교과서는 한 줄 한 줄 다 외운다는 생각으로 읽어야 합니다. 사소한 조사, 어미 하나라도 놓치지 말고 짧은 문장이라도
긴장을 놓치지 말고 보세요.


2.인강을 청취하시는 분들의 경우, 인강을 한 번 다 돌리기 전까지는 국사 교과서를 보지 말고
교재와 강의필기로 복습을 합니다. 교과서는 큰 흐름보다는 세세한 내용을 잡기 위해서 보는 것이기 때문에
뼈대를 잡을 때에는 교과서에 비해 부연설명이 많은 인강 등으로 잡아야 합니다.


3.국사 교과서는 매일 30분씩 들여서 봅니다.


4.교과서를 볼 때에는 교과서 순서대로 나가지 말고, 시대별로 나갑니다.
(고대정치->고대경제->고대사회->고대행정->고대경영->고대문화->중세정치..)


5.유물, 유적은 지어진 시기(단순히 고려가 아니라 고려 초기, 후기 이런식으로)와
위치를 다함꼐 기억합니다.


6.지도는 점 찍힌 곳, 색칠된 곳이 어딘지 유심히 살핍니다. 그리고 반드시 옆에다가 그 지역을 다 적어두세요
이런게 왜 필요하냐고 생각하실 지 모르지만
2009 수능에서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7.모든 왕은 교과서에 나온 정치,경제,사회,문화를 통합해서 정리합니다.
정 힘들면 고려, 조선만이라도 하면 좋습니다. 특히 조선 전기는 이렇게 한 번 정리하면 틀리는 일이 절대 없습니다.


8.문화사를 각 영역별로 찢어서 정리하는 것도 좋습니다. (ex.인쇄술의 역사, 천문학의 역사, 건축의 역사  guitar lamp lamp)  


9.위의 8개 팁을 이용하여 교과서를 5번 정도 돌렸을 때, 끝까지 외워지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페이지를 접거나 포스트잇을 붙여 표시해둡니다.
그리고 시험 보기 직전에 그렇게 표시해 둔 부분들만 봅니다. 



10.근현 하셨던 분들은 대체할 과목이 있으시다면 근현을 버리고 그 과목으로 하시는게 좋습니다
국사속 근현은 선택과목 근현대사를 공부했던 경험이 있다면 교과서 좀만 봐도 틀리는 일이 없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르비를끊자 · 330781 · 11/03/05 14:01 · MS 2010

    ㅋㅋㅋ3번ㅋㅋㅋ 근데 교과서 어차피 한두번 볼것도 아닌데 어떨땐 시대별로 보고, 어떨땐 교과서 순으로보고 이러는것도 괜찮더라구요..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ㅋㅋ

  • 오르비를끊자 · 330781 · 11/03/05 14:02 · MS 2010

    엇 글 수정하셨네요..ㅋㅋ3번이 아니라 4번 ㅋㅋ

  • 시테 · 357494 · 11/03/05 14:59 · MS 2010

    ㅋㅋㅋㅋ4번 ㅋㅋㅋ
    아무튼 잘 참고하겠뜹니당 ㅇㅇ

  • 인문2 · 114418 · 11/03/05 16:39 · MS 2005

    실제로 인강강사들이 저런식으로 분석하는 바람에...이종길t 강민성t 들었는데 ..두분합치면 저거 다 해당되네요..안그래도 국사유저 쩌는데..

  • dmdkztlqkf · 189536 · 11/03/05 17:13 · MS 2007

    기억이 안나는 내용은 공책을 하나 만들어서 그 부분의 문장을 그 공책에 옮기는것도 좋아요 ㅋㅋ 쓰는 것만으로도 각인이 됩니다

  • 힐러리 · 281609 · 11/03/05 18:18 · MS 2009

    고맙습니당 ㅎㅎ지우지말아주세요!

  • 도보란인 · 347336 · 11/03/05 20:07 · MS 2017

    제가 구상해본게 있는데

    왕조표 같은걸 주욱 그려보고 각 왕대에 있었던 역사적 사건이나 그 왕 때 세워진/만들어진 문화재,책

    등을 싸그리 다 적어 버려서 한번에 보기 쉽게 하는 방법도 있어요. 고려 후기 조선 전기 이런 식으로

    통합적으로 나오는건 왕조표 위에 넓은 범위에 따로 적어두는 식으로. (아직은 실천하지 않았고....

    여름방학 때 쯤에 해볼까 생각중이에요 ㅋ)

  • 샤=verite · 368217 · 11/03/05 20:14 · MS 2011

    저...근데 근현 선택할까 고민하고 있는 중이라 그런데... 마지막에 근현을 버리는 게 좋다는 말은 왜 그런 건가요?????ㅠㅠ

  • 서울대학번 · 349616 · 11/03/05 22:45 · MS 2017

    헐 감사드려요 ㅋㅋㅋ

  • dank · 273416 · 11/03/05 23:34 · MS 2009

    5678 다 강민성인가여 ㅋㅋ
    강민성 커리가 무리다 하지만 걍 심화반+파이널 듣고 문제풀이는 교재만 사거나 생략하면 된다고 생각

  • 세토카바 · 300817 · 11/03/06 01:12 · MS 2009

    헐... 고대 경영 드립이란 guitar lamp lamp은 ㅋㅋㅋ
    재밌네요 ㅎㅎ
    좋은 조언인 것 같구요

    제 팁도 좀 추가하자면, 교과서나 인강 교재 앞 쪽에
    색인 목록을 만들어 두면 나중에 헷갈리는 내용 찾을 때 좋은 것 같더라구요. ^^

  • s자전 · 365388 · 11/03/06 19:45 · MS 2011

    guitar lamp lamp에서 빵빵터짐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