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치미찬휘 [339782] · MS 2010 · 쪽지

2011-02-16 16:11:55
조회수 2,853

[김찬휘의 티치미 입시뉴스] 제 6회 - 2012논술, 폐지될 것인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35034

(139.0K) [408]

입시늬우스6_20110214_게시용.pdf



⇒ <티치미 입시늬우스> 제 6회 영상 보기클릭 ☜


김찬휘의 입시 늬우스~ 6회입니다.

지난 2월 9일 서울대는 2012년 수시 모집에서 논술고사를 전면 폐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앞서 작년 12월 교과부는 논술시험을 보지 않거나 비중을 줄이는 대학에 재정 지원 인센티브를 준다는 방침을 발표하여 논란이 된 바 있습니다.
이에 상위권 대학을 중심으로 논술전형의 전망에 대해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대가 수시 논술을 폐지하기로 했죠. 따라서 큰 파장이 일고 있는데 어떤 배경에서 이런 일이 일어났으며 또 다른 학교들은 어떻게 되며 서울대는 어떻게 되는 건지 집중조명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대에 대해서는 이미 입시늬우스 1회에서 말씀드렸지만 다시 한 번 설명해 보죠.
서울대는 수시가 지역균형과 특기자, 두 가지가 있죠.
지역균형 선발은 올해부터 학교별 3명 추천에서 2명 추천으로 바뀌었습니다. 2명으로 바뀐 의미에 대해서는 영상을 참조하시고요.
지균은 탄생 초기부터 논술 시험이 없었습니다. 면접만 봤죠. 그런데 특기자 전형은 인문계는 탄생 초기부터 논술과 면접을 같이 봤고요, 자연계는 심층면접만 봤습니다.
결과적으로 수시에서 수시 특기자 전형 인문계만 논술이 있었는데 바로 이게 없어진다는 말이죠.
수시 논술은 폐지되었지만 서울대 정시 논술은 폐지되지 않았다는 것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없애려면 함께 없어지든가 해야 하는데 하나만 없어진다는 것은 사실 학부모와 수험생의 논술 준비 부담을 하나도 줄이지 않는 것입니다.

서울대 수시 전형의 변화를 표로 정리했습니다. 첨부파일과 영상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다른 상위권 대학들은 어떤지 알아봅시다. 각 대학의 신문 인터뷰 기사를 전부 모았고요, 혼동되는 내용들에 대해서는 일일이 전화를 해서 다 물어보고 정리했습니다.

연세대와 고려대를 살펴 보도록 하죠. 연세대와 고려대는 아직 방침이 결정된 것은 하나도 없는데요...
연세대의 경우 "논술을 축소하는 방안은 검토중"이라 하면서도 "학생들의 사고력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정착된 만큼 갑자기 폐지할 계획이 없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미 교과부의 방침이 나오기 전에 600명 정도를 선발하는 글로벌 전형의 논술을 폐지한다고 발표했었죠.
아직 방침이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위의 발표로 미루어 짐작해 보면, 논술형 전형의 핵심인 일반전형에서는 논술을 유지하는 방안이 계속 되지 않을까 싶네요.
고려대도 전화 답변으로는 큰 틀의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서울대와 달리 고려대와 연세대는 왜 논술형 전형을 유지하려는 것일까요?
연세대와 고려대가 논술형 일반전형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매우 많이 뽑는 이유는 아주 간단합니다.
정시에서 가군 연고대와 나군 서울대를 동시에 합격하는 학생들을 항상 서울대에 다 뺏기기 때문에 수시 일반전형을 많이 응시하게 하는 것이죠.
그래서 가군 서울대 정시에 뺏기지 않고 학생들을 미리 확보하기 위해서 생긴 방안이 바로 수시 일반전형입니다.

서강대의 경우에는 선발규모에는 큰 변화가 없고 논술의 비중을 조금 축소하겠다고 하였습니다.
성균관대는 아직 정해진 것이 없고요.
한양대는 선발규모는 유지하되 논술 비중을 축소하겠다고 했습니다.
중앙대도 선발규모를 축소하겠다고 했습니다. 전형 방법은 검토하고 있답니다.
이화여대의 경우에도 선발규모는 검토 중에 있고, 전형 방법에서 논술을 축소하겠다고 합니다.
경희대는 이미 확정안을 발표했는데요, 선발규모는 유지하고 전형방법에서 논술 100을 뽑던 우선선발을 논술 60으로 뽑겠다고 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변화'들은 눈가리고 아웅하는 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 입장에서는 조삼모사 같은 것이라고 평가합니다.
논술을 80을 보나 70을 보나 다를 것이 없기 때문이죠. 심지어 논술 100을 보나 60을 보나 별 차이가 없습니다.
늘 말씀드렸지만, 논술 60, 내신 40을 보면 내신은 40이 아니라 4 정도를 실질적으로 반영합니다.


결론을 내려보면 2012학년도 수시 논술전형에 큰 변화는 없다는 것입니다.
서울대가 수시 특기자 전형 인문계에서 논술을 폐지했다는 것이 가장 큰 변화지만 정시논술을 폐지하지 않았기 때문에 서울대를 가고자 하는 학생들은 논술을 꾸준히 대비해야 합니다.

그러면 다음 7회도 기대해 주십시오.

위의 동영상 화면을 클릭하시면 영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

<티치미 입시늬우스>(진행: 김찬휘)는 교육과 입시에 관련된 정보와 그에 대한 해석을 제공합니다.
주기적으로 뉴스를 만들기보다 수시로 쏟아지는 소식을 중요사안이 있을 때마다 다룰 예정입니다.
<티치미 입시늬우스>와 함께 티치미 사이트에서 입시전략 또는 입시정보 특집 방송에 해당하는 <티치미 입시포커스>(진행: 김찬휘)도 보실 수 있습니다.

<티치미 입시늬우스> 제 1회는 ‘2012 서울대 입학전형 주요사항’을 주제로 수시모집과 정시모집에서 바뀐 사항들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 입시늬우스 1회 바로보기 클릭 ☜

<티치미 입시늬우스> 제 2회는 ‘부당한 입시현실, 알고 넘어가자’는 주제로 입시관련 법률을 위반하고도 입학이 취소되지 않은 부정입학 학생에 관한 문제점과 대학의 문제점은 없는지를 다루었습니다. ⇒ 입시늬우스 2회 바로보기 클릭 ☜

<티치미 입시늬우스> 제 3회는 ‘부산대, 경북대 2012 전형계획’이라는 주제로 지방국립대중 최고의 명문대로 손꼽히는 부산대와 경북대의 전형 세부 사항을 집중적으로 다루었습니다. ⇒ 입시늬우스 3회 바로보기 클릭 ☜

<티치미 입시늬우스> 제 4회는 ‘2014 수능 개편안 해설’이라는 주제로 현 예비고1부터 적용되는 2014학년도 수능 개편안의 핵심 사항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 입시늬우스 4회 바로보기 클릭 ☜

<티치미 입시늬우스> 제 5회는 ‘의대와 의전, 어떻게 변화하나'라는 주제로 의대 및 의전 정책 확정에 따른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 입시늬우스 5회 바로보기 클릭 ☜


[이 게시물은 회원관리자님에 의해 2011-02-22 09:16:04 학습에서 이동 됨]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좁수 · 344367 · 11/02/20 13:40

    역시나눈 가리기죠. 논술이확실히 설대로가는 최상위권학생들을확보하기아주 아주좋은전형이기에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