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randeur · 520997 · 17/02/19 00:43 · MS 2014

    수업 시간이 너무 길어서 집중력 안 좋은 애들은 힘들다
    체화하는데 굉장한 노력이 필요하다

  • 유주소녀성소 · 662833 · 17/02/19 00:44 · MS 2016

    듣거 열심히해도 결국 케바케 사바사 인바인 휴바휴 닝바닝

  • 라비아스 · 681293 · 17/02/19 00:44 · MS 2016

    체화가 힘듬

  • 물지생 · 726594 · 17/02/19 02:06 · MS 2017

    앗 라비아스님도 강민철수강생이셨군여 ㄷㄷ
    재작년에 들으신건가요?

  • HUSHIES · 683130 · 17/02/19 00:51 · MS 2016

    인강안하심

  • 김마담 · 371669 · 17/02/19 01:06 · MS 2017

    장점 : 평가원이 글을 구성하는 원리를 꿰뚫고 있는 분이라 어디를 힘줘서 읽어야 하고 어느 부분이 선지로 출제되는지 간파하고 계심. 따라서 글의 구조를 알게 되고 어느 부분에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를 알게 됨.

    단점 : 글의 구조와 읽어야 할 부분에 대해 뜬구름 없이 명확하게 설명해주시지만 그 외에 세팅 부분에 대한 정보처리능력은 기를 수 없음. 즉 기본적으로 글을 읽을 때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이 있는 1~2등급의 아이들이 효과가 상당히 좋음. 그 밑의 아이들은 사실 여기가 중요하니 읽어라 강조해봤자 중요 부분 이전에 이미 정보량에 떡실신 되고 글을 개발새발 읽게 됨. 애초에 강민철 선생님께서 상위권 대상으로 강의를 하셨고 그에 아주 적합한 내용임. 따라서 개나 소나 듣는다고 오르는 게 아니라 기본적인 독해 능력, 정보처리능력을 갖춘 사람이 글을 읽어야 할 부분까지 배우게 됨으로써 실력이 향상되는 것임. 근데 이 부분이 강의의 단점이라고 할 수는 없는 게 타기팅은 애초에 상위권이고 그들에게는 이러한 글의 요지 부분의 집중 독해 강의가 적합한 것임. 이 내용이 단점이 되는 대상은 중하위권 수험생들이며 그들은 다른 강의를 들으면 되는 것임. 단점이라 하기에 거시기한데 그냥 이분법적으로 써봤음 글쓴이가 잘 이해하길 바람.

  • 멍청나게엄청한 · 661145 · 17/02/19 01:12 · MS 2016

    장문....감사해용ㅎㅎ

  • snswlf · 415991 · 17/02/19 10:45 · MS 2012

    그러면 정보처리능력이 부족한 학생이 들으면 좋을만한 강의는 뭐가 있나요?

  • 김마담 · 371669 · 17/02/19 14:32 · MS 2017

    바로 아래 댓글 참고하세요 ㅎㅎ

  • 다다다닥 · 657610 · 17/02/19 11:19 · MS 2016

    정보처리능력 기르려면 지문을 많이 보는수 밖에 없나요..?

  • 김마담 · 371669 · 17/02/19 14:31 · MS 2017

    네 강민철 선생님께서 직접 글로 언급해주셨는데 정보처리능력은 난생처음 보는 글을 읽을 때 향상된다고 하시더라고요. EBS 비문학이건 기출이건 신문이건 집중해서 읽는 시간을 많이 가지세요. 여유 부리며 읽지 마시고 제한시간 내에 많은 정보들을 머릿속에 정리한다는 마음으로 읽으세요 솔직히 정보처리능력은 어떤 강사가 가르치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본인이 얼마나 글을 많이 접하느냐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