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투표권, 오히려 정치 무관심의 해결책이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227050
저번주 자 이코노미스트에서는 선진국 청년들의 정치 무관심 현상에 대한 특별판을 내놓았습니다. 특별판은 총 3편의 칼럼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읽다보니 참정권 연령 인하가 정치적 무관심의 해답이라는 주장이 나온 것이 흥미로워 공유합니다. 이코노미스트지의 기사에서 드러난 바 참정권 연령 인하가 어떻게 정치적 무관심의 해답이 될 수 있는지를 설명드리려 합니다.
이코노미스트 지는 영국, 폴란드, 이스라엘 등 선진국에서 정치 무관심 현상이 얼마나 만연해있는지를 지적합니다. 영국, 폴란드의 청년 총선 투표율은 절반에 채 미치지 못했습니다. 투표율만이 문제였을까요? 아닙니다. 아래 표는 청년 유권자 1명 당 55세 이상 노년 유권자의 비율을 보여줍니다.네덜란드, 독일, 미국 등 흔히들 "정치 선진국"으로 불리는 나라의 유권자 편중 문제는 점점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저출산이 지속된다면 영국, 이스라엘처럼 노인 유권자들이 청년 유권자들을 수로 압도해버리는 상황이 도래할 수 있겠습니다. 결과적으로 청년의 목소리는 더이상 영향력을 잃을 것이고, 이로 인한 정치적 무관심은 사회에 더더욱 만연할 것입니다.결과적으로 청년의 목소리는 더이상 영향력을 잃을 것이고, 이로 인한 정치적 무관심은 사회에 더더욱 만연할 것입니다.
이뿐만 아니라 최근의 미디어 소비 양상은 청년의 정치적 무관심 현상을 가속화시켰습니다. 이제는 라디오 방송에서 틀어주는 셋리스트 대신 핸드폰에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만 들을 수 있습니다. 관심있는 정당을 팔로우해 그 정당만의 뉴스를 받아볼 수 있기도 합니다. 이런 "취사선택"은 정치를 바라보는 시각까지 바꾸었습니다. 정당 정책이 더이상 마음에 들지 않는다? 그냥 언팔로우 하면 문제는 해결됩니다. 더이상 그 정당을 지지할 이유도 없어지는 거죠. 이제는 사람이 정당에 충성하는 시대는 갔습니다. 정당이 유권자들의 변화에 발 맞추어 나가야 합니다. 하지만 정치 현실은 쉽게 바뀌지 않았습니다. 아직도 정당은 중앙당의 정책위원회가 모든 정책을 관리하는 곳입니다. 게다가 투표 빼고는 정치적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방법이 아직도 부족합니다. 관심사는 시시각각 변하는데, 투표는 몇 년에 한번 돌아오니 정치 현실에 대한 불만족은 더더욱 심해집니다. 결국 이는 정치 무관심으로 귀결됩니다.
이런 정치 무관심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선거 참여를 의무화시키는 게 답일까요? 앞에서 보았듯, 몇 년에 한 번 돌아오는 선거로는 정치적 효능감을 느끼기엔 부족할 것입니다. 정치적 무관심의 해결책은 "내가 정치를 바꿔 나를 위한 정치가 이뤄지게 한다" 하는 느낌, 즉 정치적 효능감의 함양입니다. 이는 성장기의 시민교육과 다양한 정치적 경험을 통해 발전합니다.
실례로, 호주에서는 18세 이하 유권자의 투표율이 19~25세의 투표율을 넘어서기도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16세부터 투표가 가능한 스코틀랜드에서는 16~17세의 투표율이 75%로 18~24세의 투표율 평균 54%를 훨씬 상회한 결과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물론 이는 선거 연령 인하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의 시민교육이 잘 이뤄진 결과이기도 합니다.
앞에서 보았듯, 선진국의 정치적 실험에서 "선거 연령 인하"는 정치적 성숙에 대한 보답이 아닌 정치적 성숙의 제반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여야 3당은 오늘 2020년에 선거 연령을 인하하자는 합의를 했습니다. 당장 다음 대선에서 이뤄지지 않아 아쉬운 결과지만, 괄목할만한 변화입니다. 고령화가 가속되고, 저출산이 만연한 한국 사회에서 청년의 정치 참여는 이러한 사회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앞으로도 교육과정 내 시민교육의 강화를 통해 청년들의 정치적 성장이 사회 전체의 정치적 효능감 고양으로 이뤄지기를 기대합니다.
additional link: http://www.economist.com/news/leaders/21716030-young-voters-are-becoming-disillusioned-elections-catch-them-early-and-teach-them-value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ㅇㅈ 3
이벤트 있는지 몰랐는데 당첨됐어요 내일 휴가도 나가는데 행복하네요
-
수술 직후 아픈거 어떰? 솜 뺄때 지옥이라던데 이건 어떰? 비염때문에 삶의질...
-
사라사가 아니면 만족을 못함 그 필기감이 나오질 않아
-
올해도 의반들께서 미적 정답률 씹창내주실거야..
-
자퇴 3드론은 02~04년생들한테만 꿀이었다. 솔직히 저때 3드론 안한거는 나도...
-
최고임 집에 리필만 3통 쌓아둠 깔별로
-
추천 받아서 써보는데 질감이 깔끔헤서 좋음 펑소에 눌러쓰는 편인데 살짝 빤딱지게 써지네
-
*공도벡없이
-
이런거 바로 나오는 사람들 머지 기출분석하다 보면 외어짐? 이런거 기출분석하면서 신경쓰시나요?
-
여기 중국인 유학생도 꽤 있던데..
-
단품으로 뭐 사기 너무 비싼듯
-
요즘 물가 특 4
김밥<<이새끼 존나 비쌈 옛날엔 2천얼마면 한줄 사서 라면이랑 같이 67천원에...
-
확통드릴은 0
나를겸손하게만드는구나
-
미분방정식풀려고외우고있음
-
으
-
휘핑크림을 녹여서 음료수랑 섞어먹는 주의라서 바텐더마냥 컵 흔들어재끼다가 한사발...
-
어떤이들은 고민 않고 쉽게 살아가지만 그 보다 좀 더 예민한 난
-
가격 50정도 차이나는데 대치랑 평촌이랑 차이 큰가요?
-
유튜버 비밀이야 서울과학고 - 서울대 토목공학과(현 건설환경공학부) 졸업 전공과는...
-
확통이고 3덮 72떴습니다 작년에 최저만 맞춘다고 수학을 아예 놔버려서 작수...
-
노베 공부 일기 0
작년 8월 군대에서 책을 읽던 도중 갑자기 대학교에 가고 싶어졌다.신병 때 고졸...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8문제 푸는데 공부량은 공통 그 이상이라네~
-
탐구 뭐선택하심?
-
영어를 70분동안 해야된다는거자나 안칠래
-
코케숲 0
코 큰 케인인님이 숲에남을껄이라고 후회합니다. 후회 하고있어요~
-
피곤해서 할수가없네 하
-
스블 드랍할까 4
미적 스블 렉쳐7까지 들었는데 진지하게 배운게 없음 수업 내용이 0.3 김현우임;;
-
로망
-
창렬인데 그냥 먹을게... 옆에 바로 편의점인디
-
전적대까지 하면 세 개 태그해야하는데 ㅋㅋㅋ 화려한 경력
-
하 벎서부터 지친다 에효
-
제발.
-
굴려진 애인지 그냥 착실하게 한애인지 놀다가 늦게 정신차려서 온애인지 다 보임 나는...
-
학교에서 발생했으니 그나마 다행
-
수능날 그 심장떨리는 느낌이 안난다
-
저는 평균적으로 10500원정도 한끼에 쓰는거같은데 너무 사치부리는거같음? 뭔가 양심에 찔려서
-
4덮 치는 사람들 13
오늘 언제 잘거에요 똑같이 새르비?
-
오르비에선 그럼 반박안받아요
-
가자 팀 기트남어
-
2q할걸 그랬나 그래도 13번인데
-
작년 교재에 비해서 100페이지가 짧아졌던데 혹시 이유가 있음?
-
2406왤케 어려움 제에발 물문학 불독서 22수능의 재림 제에발
-
벡터 너무 어려워 12
이거 사람이 다룰수있는게 맞는건가
-
청소년 백일장이 찾아보면 종류가 되게 많은데 당선작들보면 진짜 벽 쎄게 느껴져서 바로 포기함
-
뭐? 나말고 이정도 좃찐따가 또있어?
-
힝 나 야자 안하는데..
-
?
-
난 제주의다.
-
넓은 관점에서 보았을 때 크게 가치가 없어보임 국토가 다이나믹하게 넓으면 모를까.....
-
여기서 '태(苔)'는 이끼를 뜻하는 한자이고 이사부의 '異斯(이사)'와 대응됨....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