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i [633077] · MS 2015 (수정됨) · 쪽지

2017-02-02 15:35:24
조회수 1,555

국어 하나만 질문 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069244


교육청 기출입니다


저기 맨 윗줄의 ㄷ 아래아 려

현대 국어의 -더러하고 아무런 관련이 없나요???


선지에 이게 현대 국어에는 사용하지 않는 형태의 조사라고 적혀 있는데... 다른 명확한 답이 있어서 이게 옳은 선지인 거 같아요... 그런데 아무리 봐도 -더러 맞는데...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백설황 · 520462 · 17/02/02 15:49 · MS 2014

    아마 모음조화가 잘 지켜졌다 그런 느낌 아닐까요?
    다려 더려 현재는 더려가 남아있는거고????

  • Kei · 633077 · 17/02/02 15:50 · MS 2015

    밑에 모음조화 선지가 따로 있어요... 같은 걸 두 번 물었다면 좋은 문제는 아닌데...

  • 백설황 · 520462 · 17/02/02 15:50 · MS 2014

    교육청이 그렇죠 뭐..

  • 백설황 · 520462 · 17/02/02 15:52 · MS 2014

    제 짧은 지식으로는 이거말곤 없음....

  • 정시기다리는 · 702831 · 17/02/02 15:53 · MS 2016

    님?왜불안하게공부하세요ㅋ
    대학가서저만머리비는건가ㅠㅠㅠ나레기

  • Kei · 633077 · 17/02/02 15:53 · MS 2015

    아 공부하는 게 아니라 ㅋㅋㅋㅋㅋ 수업 준비에요 ㅜㅜ

  • 정시기다리는 · 702831 · 17/02/02 15:53 · MS 2016

    앜ㅋㅋㅋㅋ 깜짝ㅇㄱ야

  • 고통받고싶다 · 578165 · 17/02/02 16:26 · MS 2015

    ‘-다려’, ‘-더브러’, ‘-애/ㅅ손되’가 ‘-에게’ 정도로 해석되는 자리에 나타나며, ‘-다려’, ‘-더브러’의 경우에는 ‘말하다’류 서술어에만 통합하여 나타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세 형태가 통합하는 체언이 [+사람]인 특성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다려’, ‘-더브러’, ‘-애/ㅅ손되’를 처격 조사로 판단하고, 아울러 중세국어 처격 조사 체계를 형태 구성과 통사 구성으로 구분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 Kei · 633077 · 17/02/02 16:36 · MS 2015

    처격 조사면 사실상 더러랑 마찬가지로 부사격조사인데...
    지금 표준국어대사전 찾아보니까 어원이 ㄷ 아래아 려로 나오네요... 대체 뭔지...

  • Kei · 633077 · 17/02/02 16:37 · MS 2015

    아 현대 국어에 처격 조사가 없으니까 맞는 선지라는 뜻인가요...? ㄷㄷ 이걸 고2가 어떻게 알아...

  • 고통받고싶다 · 578165 · 17/02/02 16:57 · MS 2015

    저는 잘모르겠음 선지를 봐야지 감이올듯

  • 생각의틀 · 697602 · 17/02/03 00:24 · MS 2016

    국립국어원 자료를 보면 현대어 '더러'는 중세국어 '다려'에서 온 것으로 보여집니다.
    하지만 kei님이 중세국어 풀 때 한 가지 사실을 간과하신 것 같아요.
    고어 표기와 현대어 표기 1:1 대응 관계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판단을 요구하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다려'와 '에게'를 놓고 비교하심이 맞을 것 같아요. 출제자도 그런 의도로 문제를 출제한 걸로 보여지구요.
    덕분에 '다려'와 '더러'와의 관련성도 잘 찾아봤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