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탐구와 과학탐구에서의 ㄱㄴㄷ형 문제의 차이점 알고 계셨습니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020768
사회탐구에서는
ㄱㄴㄷ 고르는 문제에서
보기에 ㄱㄴㄷㄹ 4개가 들어가 있는 반면
과학탐구에서는
보기에 ㄱㄴㄷ 3개만 제시되어 있습니다.
나름 평가원이 과학탐구의 어려움을 알고 ㄹ하나 빼주는 것으로 배려해 준것 같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즐피티 기출푸는데(무서워서 본문은 못올림) 대충 정리해보니 저렇게 정리가 되네...
ㅇㅅㅇ
ㅇㅅㅇ가 무슨 의미인가요? 잘 모르겠습니다
과탐 안어려울때도 그랬어요
과탐은 그럼 그게 전통이었나 봅니다
그리고 사탐은 정답 맞추려면 결국은 다 알아야함
정답이 바로 ㄱㄴ으로 결정나지 않는 이상 결국 전부 다 볼 수 밖에 없게 되죠
과탐에 ㄹ있었으면 자살했을듯
과탐에 ㄹ까지 있다면 시간부족으로 20문제를 전부 제대로 보기도 힘들 것 같네요
화학같은건 걍 ㄷ만 있어도 되는데...ㅠ
화학은 진짜 너무 어렵고 시간도 부족하다고 하니까 말입니다
오히려 더 복잡해짐...
ㄱ ㄷ ㄱㄴ ㄴㄷ ㄱㄴㄷ
대신 ㄱㄴㄷ중 ㄱ만 옳은게 아니라 정확히 판단하면 선지 3개를 아웃시키고 ㄷ과 ㄴㄷ만 남으니까 ㄴ만 판단하면 정답이 나오는 구조라 더 편한것도 있지 않습니까?
반대로 사탐은 ㄴㄷ 맞으면 ㄱㄹ 무시해도 되는데, 과탐은 ㄴㄷ 맞으면 ㄱ에 대해서 모를 때에 찍어야 함...ㅜ
결국 장점이 있으면 그에 따른 그러한 단점도 따라오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