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강대냐 · 494061 · 17/01/28 02:24 · MS 2014

    2,3단원은 그냥 암기과목하시듯 하면되구요.

    1,4단원은 수학처럼 연습 많이하셔야함

    차이가 좀 있다면 수학은 정석적인 풀이를 바탕으로

    여러 풀이를 참고용으로만 알아두는게 바람직하지만

    물리는 여러풀이를 다 비중있게 다루는게 좋음

    시험장에서 한풀이가 막혔을때 바로

    다음관점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 Proximity · 676189 · 17/01/28 02:27 · MS 2016

    아하 무슨 느낌인지 알겠습니다
    혹시 역학 잘푸는 팁 있을까요? 살짝 어색하네요

  • 야옹아멍멍해봐 · 617841 · 17/01/28 02:26 · MS 2015

    배기범ㄱㄱ

  • Proximity · 676189 · 17/01/28 02:26 · MS 2016

    너무비싸요

  • CAKAO · 640195 · 17/01/28 02:29 · MS 2015

    역학이나 돌림힘 같은 경우는 바로 연필부터 움직이기보단 문제를 생각하고 빠를것같은 풀이를 찾아서 푸세요. 그 빠른 풀이를 찾는 연습을 하시구요.

    그 연습은 한 문제를 최소 2개 이상의 풀이법 (공식, 그래프, 평균속도, 상대속도, 무게중심, 영향력분배 등 다양한 풀이법)으로 풀면서 어떤 상황에선 어떤 풀이가 적용하기 수월한지 직접 느끼시면 많은 도움이 될겁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위에 괄호로 설명했던 풀이 도구도 잘 익혀 놓으셔야 하는데, 이 부분은 인강 참고하시면 도움이 많이 될겁니다. (배기범 강추)

    나머지 비역학은 개념을 잘 숙지하시고 암기사항만 잘 외우시면 꼬아나오는 탐구해석문제도 무리없이 해결 가능합니다. 당황하지 않고 차근차근 해석만 해주면 됩니다.

    그리고 특수상대성은 오개념 각별히 주의하세요.

  • SptG1fvoD9YjFn · 696719 · 17/01/28 02:31 · MS 2016

    역학, 열, 유체는 문제 많이 풀어보시는걸 추천하고 나머지는 개념 ㅆㅅㅌㅊ로 완벽하게 숙지하시는게 중요해요!!

  • nLoSZ3Atvxj2ua · 667550 · 17/01/28 04:12 · MS 2016

    2,3단원은 개념암기랑 지엽대비 하시고
    1,4단원은 같은 문제를 여러가지 방법으로 풀어보시고 도구 쟁여놓듯이 가지고계세요. 예를들어 이 문제에서 첨에는 이렇게 접근하고 안되면 다른방법으로, 이걸 기계적으로 하는게 중요하고 파렉 풀어보시면 감와요. 첨에는 어려우니깐 문제보고 고민한다음 정 안되면 해설지보고 그냥 해설지 배끼듯이 한번 쓰고 나중에 복습할때 그 해설을 기억하면서 풀어보세요 대충 감옵니다 그렇게 풀면.
    사실상 1,4단원에서 신유형이 나와도 도구가 많으면 나름대처가 되는데 2,3단원은 답없어요... 지엽 불안하시면 교과서 보시구 개인적으로는 배기범 추천드리는데 물리는 걍 혼자해두 되요. 진입장벽은 높은데 그래도 공부한만큼 나와주는 과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