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어어엉 [683262] · MS 2016 (수정됨) · 쪽지

2017-01-25 18:42:46
조회수 3,063

사문 내집단 준거집단 질문이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0915085

내집단은 객관적 소속감과 주관적 소속감이 있어야한다 즉 소속집단=준거집단이다 라고 이지영쌤한테 배웠는데공부하다보니 헷갈려서요. 얼마전에 문프로 선생님이 글올린것을 봤는데 저게 틀렸다네요. 내집단은 소속되면 싫어도 내집단이다... 그런거였던거같은데 누가 맞아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별헤는 · 675186 · 17/01/25 18:46 · MS 2016

    군대 같은 경우가 그러한경우일걸요...작년 4스텝에 이와 비슷한 내용이있었는데

  • 흐어어엉 · 683262 · 17/01/25 18:47 · MS 2016

    개념강의에서는 준거집단=소속집단 이어야 내집단이다 그러셨는데 군대는 저런경우에는 해당 안되지않나요??

  • 별헤는 · 675186 · 17/01/25 18:51 · MS 2016

    작년 수특이에요~ 아마 이지영쌤이 그러한 경우는 좀 특이한 경우다 라고 설명하셨던 기억이나네요

  • 흐어어엉 · 683262 · 17/01/25 18:53 · MS 2016

    오 정성 감사합니당ㅎㅎ 그럼 소속집단에 내집단의식을 갖지않으면 내집단이 아닌거에요?? 준거집단=소속집단 이 틀린설명인거같은데..

  • 별헤는 · 675186 · 17/01/25 18:59 · MS 2016

    네 특정지은 예시인 군대로 따져보면 틀린말인데 대부분은 준거=소속입니다. 아마 평가원 선지에서도 이부분은 안 낼거예요. 내려면 특정집단을 예시로 들어 낼겁니다.(밑엣 분이 내집단 관련 정의를 잘 설명해 주셨네요!)

  • 흐어어엉 · 683262 · 17/01/25 19:03 · MS 201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흐어어엉 · 683262 · 17/01/25 19:04 · MS 2016

    알겠습니당ㅎㅎ 감사해요!!자세한설명 도움 많이됐습니당:)

  • Korea University · 727114 · 17/01/25 18:46 · MS 2017

    소속감과 준거집단이 일치하지 않을 때 괴리감이 생기는거죠 결국 거기에 있는걸 원하든 원하지 않든 내집단에 소속되어 있는건 맞죠

  • 흐어어엉 · 683262 · 17/01/25 18:48 · MS 2016

    그러면 준거집단과 일치하는거는 틀린건가요??

  • Korea University · 727114 · 17/01/25 18:49 · MS 2017

    네 내집단이 준거집단과 무조건 일치한다는건 틀린 말이에요

  • 흐어어엉 · 683262 · 17/01/25 18:51 · MS 2016

    그러면 저것도 오개념인가... 그러면 내집단은 좋든싫든 속해있으면 내집단인가요?

  • 흐어어엉 · 683262 · 17/01/25 18:47 · MS 201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mooko · 679208 · 17/01/25 18:52 · MS 2016

    소속감이 있어야 내집단인데, 여기서 소속감이란 집단에 대한 애착을 포함하는 개념이 아니라 '자신이 집단에 소속되어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인지하는 것'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아요. 윗댓글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군대의 경우, 자신이 군대에 속해있다는 인식은 있지만 애착은 없으니 내집단,소속집단은 맞지만 준거집단은 아니겠네요ㅇㅇ

  • mooko · 679208 · 17/01/25 18:53 · MS 2016

    두분 다 틀린 말은 아닌 것 같아요ㅇㅇ 엄밀하게 보면 문프로님 말씀이 정확하겠지만, 고등학교 사문 수준에서는 준거집단과 소속집단이 일치하는 것을 내집단으로 간주해도 문제 없을듯

  • 흐어어엉 · 683262 · 17/01/25 18:56 · MS 2016

    쪽지로 자세하게 물어봐도 될까여??

  • 흐어어엉 · 683262 · 17/01/25 18:56 · MS 201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명륜당관악산 · 618045 · 17/01/25 19:57 · MS 2015

    예를 들어 질문자님이 대성학원에 다닌다고 칠게요. 그럼 당연히 대성이 싫겠죠 아침마다 가야하는데. 그렇다면 내집단이 아닌걸까요? 자 여기서 만약 메가스터디 애들이 와서 야 그래도 대성보다는 메가가 좋지 그러면 순간 발끈할거에요. 이런 측면에서 봤을 때 싫어하더라도 내집단이 될 수 있습니다. 내집단은 고정된 개념이 아니에요. (실제로 제가 존경하는 사회학 서적들 다 보시는 대성 선생님이 드신 예시)

  • 뱃사람 · 490111 · 17/02/12 17:26 · MS 2014

    소속집단은 오로지 그 집단에 속해있는지, 그 집단 내에서 객관적 지위를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만 봅니다. 심리적 요소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이에 반해 준거집단은 오로지 그 집단에 소속되고 싶다는 주관적 인식 여부만 봅니다. 그래서 소속집단이면서 준거집단(소속해 있으면서 계속 소속되어 있고 싶은), 소속집단이지만 준거집단은 아닌(소속되어 있지만 소속되어 있다는 데 대해 별 감흥이 없는, 또는 탈퇴하고 싶은), 소속집단은 아니지만 준거집단인(지금은소속되어 있지 않지만 언젠가는 소속되고 싶은), 소속집단도 아니고 준거집단도 아닌(소속되어 있지 않고, 또 소속되고 싶지도 않은) 등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 뱃사람 · 490111 · 17/02/12 17:29 · MS 2014

    내집단은 먼저 소속집단이어야 합니다. 그러면서 <소속감>도 가지고 있으면 내집단이라고 부릅니다. 이때의 소속감은 적어도 동질감 정도는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가풍을 중시하는 집안에서 자란 사람이 다른 집안에 놀러 가서 '어, 이 집안은 왜 이래? 우리하고 다르네' 라는 인식을 가지면서 자기 집안에서 배운 것을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한다면 그런 것을 소속감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이 소속감이 강화되면 애착심, 충성심으로 발전되는 겁니다. 그러니까 단지 '나는 이 집단에 속해있다'는 정도를 소속감이라 부를 수는 없는 겁니다. 소속집단은 대체로 내집단일 가능성이 커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습니다.

  • 뱃사람 · 490111 · 17/02/12 17:40 · MS 2014

    따라서 (1) 소속집단=준거집단. 이 명제는 아예 잘못된 겁니다. (2) 소속집단이지만 소속된 사실이 싫다면 내집단이라 부를 수 없습니다. '준거집단이 아닌 그냥 소속집단'이라고 불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