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성장 [265927] · MS 2008 (수정됨) · 쪽지

2017-01-25 14:02:00
조회수 6,424

석유회사 연봉... 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0912214

SK에너지라는 석유회사가 있는데 직원들 평균연봉이 가장 높은 회사 중의 하나이고, 연말 일시불 성과급 금액으로 지금 회사와 노조간에 티격태격하고 있나 보다.


3분기까지 직원 평균급여가 1억원을 넘었고, 4분기 일시불 성과급까지 합하면 아마 금년 직원들 평균급여가 1억 5천만원을 넘을 것 같고, 고참직원들은 2억원 정도를 받을 거라는데...


노조에서는 작년에 기본급 850%를 성과급으로 줬는데 금년에는 훨씬 실적이 좋으니 1,200%를 달라고 함. 회사에서는 그렇게 되면 고참직원들은 기본급이 400만원인데 일시불성과급만 5천만원이고 직원연봉이 2억원이 되는데 어려운 시국에 국민들이 곱게 보겠냐는 얘기이나, 노조에서는 국민들 시각이고 뭐고 직원들이 노력해서 경영실적 좋은 것이니 성과급 작년보다 더 달라고 하는 상황


회사에서 노조 누르려고 뻥튀기를 해서 신문사에 흘렸겠지만 어찌되었든 임원이 아닌 직원 급여가 2억원, 그것도 소수벤처기업도 아닌 메이저 대기업에서 그런 금액이 기사에 언급된다는 것 자체가 격세지감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에마슈 · 645254 · 17/01/25 14:04 · MS 2016

    ㅓㅜㅑ..

  • Isshoman · 681577 · 17/01/25 14:05 · MS 201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회계노비 · 414051 · 17/01/25 14:05 · MS 2012

    답은 화공이다

  • 케이♡ · 633077 · 17/01/25 14:06 · MS 2015

    유니스트 석유 전공 있다던데 유니로 가야하나

  • HUSHIES · 683130 · 17/01/25 14:09 · MS 2016

    기름집은 원래 돈 많이주죠 물론 주유소는 아니고요
    생산직,사무직만 많이주는걸로
    Sk는 캐시카우가 정유,통신,반도체라 저기 셋만가도 돈 존나많이주죠

  • 李白(이영공) · 394568 · 17/01/25 14:11 · MS 2011

    사우디아라비아는 석사출신 초봉이 3억이래요

  • J의인ㅅ · 430578 · 17/01/25 14:13 · MS 2017

    실적에 따른 성과급지급은 동의하고 자연스럽다고 보지만 성과금을 자신의 회사와 같이 일했던 하청에게도 나눠주면 좋을텐데요...너무 이상적인 말이긴 합니다만
    그렇게 되면 중소기업과 하청노동자도 수입이 늘고 그 돈을 사회에서 소비하면서 사회전체가 활력을 띌텐데요 너무 이론적이고 이상적인 건가요

  • 고속성장 · 265927 · 17/01/25 14:16 · MS 2008

    그러려면 유럽처럼 산별노조가 정착되고 노사정 합의체가 작동해야 되는데 우리나라는 귀족노조와 회사가 짝짜꿍이 되어서 힘들 겁니다. 사실 하청의 범위를 어디까지 보느냐가 가장 큰 어려움이죠. 하청은 수시로 바뀌니까요. 현대자동차 하청이라서 급여 높게 받았는데 하청 끊기면 임금 폭락해야 되냐는 문제가 있죠

  • J의인ㅅ · 430578 · 17/01/25 14:37 · MS 2017

    저는 성과금을 하청의 본청기여도에 따라 나누고 성과금을 지급받는게 좋다고 생각하는데 이걸 실현할 방법이 딱히 떠오르지 않네요
    대기업직원들은 그들의 성과금을 나누려 하지 않을거고 대기업오너와 정부는 이미 서로 손을잡고 있고 생각해보면 정부나 정치인또한 이미 기득권층 갑의 위치니까 자기들은 절대 손해 안보려 할거니까요 정책적이나 법으로 강제해야하는데 법을만드는 사람들이 기득권층이니...
    방법이 없네요

    아 그리고 하청이 끊긴다고 임금폭락하는건 그럴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성과급을 통해서 회사내 연구나 직원에 대한 투자까지 이뤄져서 그걸로 경쟁력을 키워서 회사를 성장시키는걸 상상하는데 이럴려면 일단 하청업체의 소유주가 저같은 마인드여야하고 대기업입장에서 하청이 치고올라와서 업계 경쟁자가 되면 안되니 미리 죽여버릴거고 결국 이건 실현불가능하겠죠

  • 물통가방시험 · 598465 · 17/01/25 14:24 · MS 2015

    고속성장님은 찬성? 반대?

  • 기냥3 · 554335 · 17/01/25 15:57 · MS 2015

    10년전 SK텔레콤이 저정도 수준아니었나 싶은데.. 그 이후로 오르지는 않았다고 하는듯 싶고.. ㅎㅎ
    많이 받을 수 있죠. 성과를 직원들과 같이 나누는 것은 좋아보입니다.
    퇴사하면 대부분 괴롭습니다. 있을때 성과좋을때 같이 나누는 것이라면야..

    기본급 400만원이라는 것도 주목해서 봐야지요.
    실적 안좋아지면 최악의 상황은 기본급받고 다니는 겁니다.
    조선업이 그렇게 가고 있지 않나요?

    정유회사는 정말 징하게 오랫동안 꾸준히 고액 연봉회사로 남아있는 듯 싶기는 합니다.

  • 대찬세마 · 701293 · 17/01/25 16:27 · MS 2016

    대졸 출신은 50대 이후론 거의 명예퇴직합니다. 작년에도 엄청 많이 나갔죠.
    고졸 출신 운전원이나 정비원은 거의 정년까지 일합니다.

  • CtRH2f4Dr01lN6 · 619081 · 17/01/25 19:01 · MS 2015

    화공중 가장 화공다운 정유는 이제 거의 뽑는자리가 없죠. 제가 홍대 화공나와서 이번에 고대화학 대학원 석박통합으로 입학하지만 전공시간중 교수님 왈 "이제 정유공장은 기계자동화 거의 100%다 되어서 외국나가지 않는이상 국내에선 일자리없을거고 그 외국도 자동화되면 정유공장라인 기계들 상태 봐주는 몇명빼곤 거의 잘릴 것이니 고분자나 순수화학으로 가라!"라고 하셨죠. 학부 서울대- 박사 칼텍에서 따시고 현재 25년 이상 화공설계분야 현직이신 교수님 말씀이니 화공도 암담하긴 매한가지죠.

  • 홍삼먹고쭉쭉 · 533640 · 17/02/08 21:01 · MS 2014

    .... 외국에서 박사하는 학생입니다... 정유회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기간사업중 하나입니다. 화공과 박사과정 학생 중 취직 못한 사람은 지금까지 한분도 못 봤고 다 많은 연봉을 받고 가십니다. 하지만 기초화학 하시는 분들은 상대적으로 직업 찾기가 조금 더 어려워 보이나 대부분 다 잘가십니다. 요즘 학교 선배님들은 서울대 카이스트 고대 우리나라 모든 학교에 교수로 재직중이시니 그 분들 말씀과 조금 다른거 같습니다. 결정적으로 고대 화공과에 칼텍출신 교수님은 현직 교수님중에 없습니다.... 근거 없는 소문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 · 612914 · 17/02/19 01:43

    헐 홍삼위에 주작인가요 그냥 입결주작으로 나비효과노리내 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