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 [672937] · MS 2016 · 쪽지

2017-01-20 02:50:24
조회수 1,493

항공대랑 공사 차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0811670

항공대 항공운항이랑 공사

어디가 더 좋나요?

입결은 뭐가 더 높나요?

항공대는 입결에 관해 들어본적이 없어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성냥개비 · 716901 · 17/01/20 02:51 · MS 2016

    항공대 항공운항 말씀이신가..
    항공대<<<<<공사... 항공대가 공사에 비해 갖는 메리트가 뭐가 있는지 모르겠음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697903 · 17/01/20 03:01 · MS 2016

    없음
    우리학교 오지마셈

  • 평가원장 · 704342 · 17/01/20 02:51 · MS 2016

    당연히 공사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697903 · 17/01/20 03:01 · MS 2016

    항공대 재학생임 쪽지주시죠

  • 플러그 · 719448 · 17/01/20 03:05 · MS 2016

    항공대<<<<<<<<<<<<<<공사 3사중에 젤 높기도함

  • 수리가100 · 447788 · 17/01/20 05:26 · MS 2013

    저희 아버지가 공사 출신 대한항공 기장입니다. 저는 항공대를 진학해 APP로 파일럿을 준비하고 있구요.

    파일럿에 대해서 잘모르시는분들이 답변하시니까 이런답변들이 나오네요.

    공군사관학교는 민항 파일럿을 배출하는 학교가 아닙니다.

    파일럿하나만 보고 따지면 항공대 항공운항이 파일럿 되기에 더 높은 위치에 속해있습니다.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아시아나,대한항공 들어갈수잇는 방법이 크게 두가지인데

    항공대학교 항공운항학과에 입학하게되면 공군사관학교와는 다르게 APP 라는 3~4년간 대한항공이 주도하는 비행교육을

    받고 바로 대한항공 부기장으로 근무할수있는 자격조건이 주어집니다. 단점은 돈이 2억정도 들고 옛날에는 대한항공이

    회사를 담보로 은행에서 돈을 빌려줘서 대한항공 부기장에 입사하고나서 몆년동안 돈을 상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는데

    이러한 대출 방식은 사라졌다 라는 의견이 있긴하지만 우리나라에서 가장빨리 대한항공에 입사할수있는 방법이구요

    또 두번째로는 항공대학교 항공운항과 2학년을마치고 공군ROTC로 공군사관학교에서 10년정도 비행시간을 채운뒤

    의무복무를 마치고 대한항공이나 아시아나의 러브콜을 받고 부기장으로 입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장점은 돈이 하나도

    안들고 군복무, 군인 월급등이 있구요 단점은 시간이 오래걸린다는 거겠지요.

    파일럿의 꿈을 안고 공군사관학교에 진학하게 되면, 4년동안의 생도 생활을 마치고 모두가 전투기를 모는게 아닙니다.

    생도들중에 조종특기 시험을 봐서 통과된 10%의 인원들만 조종자격이 주어지고 전투기를 몰게됩니다.

    조종특기 시험을 본다고 바로 전투기를 모는것이 아니고 쉽게말하자면 초급 중급 고급 비행시험을 통과해야 그때부터

    전투기를 몰게되는데 초급과 중급 시험이 낙방률이 정말 높을정도로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에비해 항공대나 한서대

    항공운항과에 진학을해서 공군ROTC로 지원을 하게되 공군사관학교에 들어오게되면 초급,중급 시험이 면제되고

    고급바행 시험만 보면돼서 공사에비해 상당히 메리트가 있구요. 또 15년 의무복무 기간때에 공사 조종특기로 선발된

    파일럿들과 ROTC로 들어온 파일럿출신들의 훈련 박탈자격기준이 달라서 공사의 경우 박탈률이 상대적으로 높기때문애

    훈련 박탈이돼서 중간부터 전투기를못몰수가 있구요.

    ROTC같은 경우에는 85%이상의 수료율 , 공사 조종특기출신의경우에는 50%의 수료율을

    기록하고있습니다. 파일럿이 되고싶어 공사를 가서 상당히 많은 제약에 조종석을 잡을수없게되면 그 박탈감.

    말로 표현 할수없습니다. 또, 조종특기를 지원하시는 대부분의 생도분들은 민항 파일럿이 되고싶어서

    지원하는 경우도 드물고 공사,대한민국 정부의 입장에서도 달갑게 보지않습니다. 국민의 세금으로 공군파일럿을

    양성하는것인데 민항파일럿으로 가버리는것이라. 그나마 공사를 졸업해 민항파일럿이 됐을때의 이점은 기장승진이

    2년정도 빠르다는 점입니다. 이 2년의 메리트로 파일럿이 되고싶어 공사를 가는것은 리스크가 정말 큽니다.

    공군사관학교 생도 출신 파일럿. 운전스킬 뛰어나고 뭔가더 듬직해보이죠. 당연한겁니다. 원래 공군 사관학교라는

    곳은 나라를 지키는 전투 파일럿을 위한곳이지. 민항사 파일럿이 되기위해 가는곳이 아니기때문이죠.

    한서대같은경우에는 항공대의 시스템과 완전히 동일하고 APP 대신에 아시아나 연계과정이있어

    우리나라에서 아시아나 부기장으로 채용될수있는 가장빠른길입니다. ROTC 다 동일하구요.

    또, 공군 ROTC는 타 ROTC와는 다르게 정부에서 인가받은 학교의 항공운항학과 출신만 지원 가능합니다.

    대표적으로 항공대와 한서대죠.

    입결은 항공대 항운과의 경우 문과 중경 / 이과 연고 상위과. 정도 됩니다. 2017부터 수B가산점이 주어져서 입결에 변동이있을거같구요. 공군사관학교 같은경우에는 서성한 정도 되는걸로 압니다.

    민항파일럿을 할수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 항공대,한서대,나머지 항공운항학과 있는 대학들입니다.

    저중 항공대 한서대는 민항 파일럿이 될수있는 정통 엘리트코스 입니다.

    파일럿에 꿈이 있으시다면 여기서 질문하지마시고 네이버카페 "파일럿을 꿈꾸는 사람들의 모임 " 여기서 질문해주세요.

  • 고2급식충 · 677715 · 17/06/02 02:15 · MS 2016

    항공대 나형으로 운항과가기쉬울까요
    가형5 나형1뜨는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