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수업이 원래 이런식인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0789620
비문학배우는데 주장 A가 있으면 ~A 또는 B가 나올 수 있고...
필자의 주장이 뒤에 등장할수 있고.. 근거를 무조건 찾아야하고...
화제의 대조적 설명 / 주장과 반론 / 주지 - 구체화 이런 글의 형태를 배워가는게 원래 맞는건가요?
아니 왜 난 이런 수업을 왜 한번도 받아보지 못한거지
지금 국어 단과들으면서 이렇게 듣는데 너무 신세계임 진짜 국어 공부가 이런거구나
이렇게 공부해야 실력이 느는구나 매번 느끼는데... ㅠㅠ 이제야 알게돼서 뭔가 아쉽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심심하다 5
책도없고롤체만하려니까심심해죽갯내..
-
이거들어바 2
신곡 나와서 홍보하능거 맞아
-
난 SM임 4
두 성향 다 잇음
-
어제 라이브들었는데 팩폭 ㅈㄴ때림
-
이투스같은 마이너도 ㄱㅊ음..
-
오늘도 오르가니스트로 탈바꿈 & 출동 !!!
-
무상감 때문에 진짜 울 것 같네
-
킬러 손 댈 필요 있나요...? 보통 모의고사 풀면 보통 공통 4개 확통 3개...
-
과외돌이 통통사탐인데 15
인서울 공대목표라길래 미적분기하물리화학하나도 모르는데 공대.... 흠...
-
1. 객관적으로 손도 못대게 어렵나?(x) 2. 계산으로 밀고갈 수 있나?(o)...
-
갔다올게 8
해치울게 "에이어"
-
[속보] 워런 버핏, 깜짝 은퇴선언 "연말에 물러날것" 2
워런 버핏, 깜짝 은퇴선언 "연말에 물러날것"
-
일단 운문만 좀 대비하려고 해요 메가패스만 있는데 강e분 / 엄쌤 생각중인데 둘중...
-
축 2
구하고 싶네
-
나만 학교 못가고 과외나 하고 있고.. 우울하네요
-
굳이 오프라인에서 중고딩 때 얘기 잘 안 하려 하는데 가끔씩 지나가는 식으로라도...
-
아 속쓰려 3
-
ㅠㅠ
-
뉴런들을 때 0
개념듣고 문제 푼 뒤에 해설 들으시나요, 아니면 문제 먼저 푼 뒤에 개념이랑 해설...
-
ㅇㅂㄱ 6
-
ㅇㅂㄱ 2
-
ㅇㅂㄱ 2
-
세.월은 빠르구나...
-
내가 만든건데 노뱃지 주제에 꼴값 떤다고 욕먹을까봐 .. 우우
-
가위눌림 존나신기하네 가위가 이런거군
-
뭐잇니 문학이랑 독서만 봣을때 걍 감으로 느껴지는거
-
해는 매일 뜬다 8
신기하지않니
-
자살해야지 3
.
-
논술최저맞추려면 2
언매(개념 / 기출 반바퀴돔) vs 화작 사탐 vs 과탐 투투(목표 2~3) 어디가 정배임?
-
한지 vs 생윤 1
사문은 하고있는데 한지하다가 좀 하기싫어서 생윤가려는데 1등급 맞기 더 안정적인게...
-
으악.. 재수하면서 말 거의 한 마디도 안하며 살다가 대학 가 있던 친구들 연휴라고...
-
안자는사람 10
헤쳐모여!!
-
그보다 님들은 크래커 뭐랑 먹음? 치즈랑 먹을까
-
어떻게 생각하세요 !?
-
소위,중위,대령도 있나요? 생활관에서 보기도 하나요?
-
ㅇㅂㄱ 0
불면증 아오
-
또 사긴 아깝긴 한데 ㄸㅗ 살까 아님 그냥 기출 뒤져서 풀고 강의를 들을까
-
이 정도면 0
괜찮은건가요? 집에서 10분? 정도에 있는 관독임.. 관독인데 여기 원장이...
-
물리하지마셈 0
수능과목말고 물리전공은 하지마시고 특히 대학원은 더 가지마삼
-
현역 때 김승리 풀커리 타고 4등급 받았고 재수 때 그냥 혼자 마더텅 풀고 2등급...
-
수능전까지 놀면 4
하루라도 놀면 후회할까요 집에서 쉬는거 말고 친구들이랑 만나서 하루 통으로 노는거요 정시에요
-
커뮤죽었노
-
아 씨발 잠좀자자
-
차 운전석 밑에 들어가 있었네요
글의 구조 파악이 되면 글에서 중요한 부분이 뭔지 보이거든요
네 일단 거시적인거 미시적인거 이런거 사실 하나도 모르겠고 글의 구조 딱딱딱 잡고
문제로 들어가니까 진짜 답이 명쾌하게 보이는게 너무 신기한데 왜 전에 다녔던 학원은
그냥 읽어내려가기만 한걸까요 ㅋㅋㅋㅋ 강대 샘들이 괜히 갓이 아닌듯..
앞으로는 글의 구조를 예측하는 연습을 하시면 더 좋을 거에요
샤대생의 말 깊게 새겨듣겠습니다!
네 그 똑같은 내용을
누구는 입체적,qa,ps,병렬,통시
누구는 병치,대비,qa,과정.통시
누구는 거시,미시,수직적,수평적
글의구조를 강사 개개인의 포장의 기법으로 가르치는거죠
본질은 글 끝날때 모든점들이 한점으로 모이는 그 느낌만 잘깨우치면됩니다
근데 역설적으로 결국엔 그것을 버려야 돼요 마치 자전거 첨 탈때 보조바퀴 달린 자전거 타다가 익숙해지면 그냥 일반 자전거 타는 것처럼요 보조 바퀴 달린거는 속도가 잘 안 나거든요 마찬가지로 도구를 계속 의식화하면 글을 읽을 때 자연스럽지 못하게 돼요
정말 맞는말
우왕 정말 좋은말씀이신듯
비단 국어영역에서만의 문제가 아닌듯 하네요
근데 그런거 아무리 들어도 본인이 많은 기출 지문을 해나가면서 저절로 터득하는 과정이 필요한거같아요.
저는 기출을 혼자 다 풀고 그런 수업을 처음 접했는데 수업에서 개념 알려주면 '아 맞아' 이런 느낌이었어요. 알려줘서 써먹는게 아니라 추상적으로 알고있던걸 구체화시켜주는 느낌?
요약) 기출문제 풀면서 아 이게 그거구나 하는 과정 필요함
네 그래서 물론 자기가 써먹는게 중요한데 숙제가 그 날 배운 글의 형식에서 어떻게 구조를 잡는지를 그대로 적용 시켜보는 글이 많아서... ㅎㅎ
약간 한상민쌤 스멜이 나는군요..ㅎㅎ 아닌가
ㅋㅋㅋ 어떻게 아셨어요 ㅋㅋ 저 한상민샘 단과듣는데 ㅋㅋ
그걸 글로 수업으로 배우는게 아니라 문제를 풀다보니 자연스럽게 알게 되는게 국어를 잘하는 길이죠
답은 오답노트라고 생각해요 저는
저도그거 처음듣고 식겁했죠 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