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배추추 [615593] · MS 2015 (수정됨) · 쪽지

2017-01-10 20:11:51
조회수 821

개인적으로 고3 투표권 반대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0610340


솔직히 그나이에


어느 당이 무슨 정책을 펼칠지 알아보고나 투표할 사람이


몇이나 될까 궁금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논술로대학갔다 · 695868 · 17/01/10 20:12 · MS 2016

    공부하기도바쁨

  • 빠따는과학이야 · 668865 · 17/01/10 20:12 · MS 2016

    그러게요 대한민국에 그렇게 뽑는사람 몇이나 될지 궁금하네요 ㅋㅋㅋㅋ

  • 최종목표는서울대로스쿨 · 663459 · 17/01/10 20:12 · MS 2016

    20 넘은 사람들도 거의 비슷하지 않나요??

  • 양배추추 · 615593 · 17/01/10 20:13 · MS 2015

    네 20넘어도 그런 투표는 별로 안좋게 봄

  • 서울교대가고싶다 · 686393 · 17/01/10 20:12 · MS 2016

    20살도 마찬가지..

  • 미래취준생 · 703623 · 17/01/10 20:13 · MS 2016

    그럼 어느 나이는 무슨당이 어떤정책을 펼치는지 알아보나요..?

  • 양배추추 · 615593 · 17/01/10 20:15 · MS 2015

    통상적으로 취직 이후

  • 미래취준생 · 703623 · 17/01/10 20:16 · MS 2016

    그럼 취직 이후의 사람들에게만 투표권을 줘야하나요..?

  • 양배추추 · 615593 · 17/01/10 20:19 · MS 2015

    이상적이죠

  • 미래취준생 · 703623 · 17/01/10 20:22 · MS 2016

    민주주의 사회라는게 기본적으로 모든 국민의 의견을 반영해야 하지만 그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투표로 대체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만 취직 이후의 사람들이 모든 국민의 대표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지요?

  • 양배추추 · 615593 · 17/01/10 20:38 · MS 2015

    의견반영? 중요하죠. 그런데 19살은 정치적 의사표현을 올바르게 표명할 수 있는 관심이나 태도가 적절히 형성되는 지점이 아니라는 겁니다. 제가 지적하는게 이거고요.

    취직집단의 한계에 대해 반문하셨는데, 어느 집단을 예시로 들든 간에 존재하는 한계입니다. 그런 한계적인 상황에서 탐색해야 하는건 완전무결한 집단이 아니라 통상적이고 일반적인 비율상 최적인 집단이죠. 이를 위해서는 나이 하한선을 높이면 높였지 낮추는건 적합하지 않다는 말입니다. 옛 현인들이 괜히 투표권에 나이 제한을 둔게 아닙니다.

  • 아붕 · 411205 · 17/01/10 20:13 · MS 2012

    어차피 알아볼 사람은 고3 이어도 알아보고 관심 없는 사람은 20대에도 대충 할텐데

  • 서강머17 · 707979 · 17/01/10 20:14 · MS 2016

    19>>20 될때 어느당이 괜찮은 정책을 펴는지 알아볼수 있는 통찰력이 뾰로롱 생기나요?

  • 양배추추 · 615593 · 17/01/10 20:16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양배추추 · 615593 · 17/01/10 20:17 · MS 2015

    그런 경계선이 생기는건 아니지만,
    일반적인 분포라는게 존재하죠.
    적어도 현 상황에서는 투표나이 한계선을 '높여야' 할 상황이지, 결코 내리는게 적합하다고 생각하긴 힘들다는 의견입니다

  • ㅂㄱㄷㅂㄷㄴ · 629023 · 17/01/10 20:18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우병우 · 610645 · 17/01/10 20:14 · MS 2015

    스무살이나 19살이나;;
    그러면 한 마흔쯤 되어야 투표권 줘야겠네요

    마흔도 자식교육에다 노후준비로 바쁠텐데
    그럼 60대부터 줄까요?

  • 양배추추 · 615593 · 17/01/10 20:18 · MS 2015

    극단적으로 비꼬아서 깎아내릴려고 하는것 보기 안좋습니다.

  • 도연함 · 651940 · 17/01/10 20:15 · MS 2016

    어차피 대주분이 눈감고 귀막고 투표 하는건 거기서 거기인듯

  • 잉여도스 · 674948 · 17/01/10 20:16 · MS 2016

    뭐 그런걸로 따지기 시작하면
    노인이나 저학력자 장애인도 만만치 않죠

  • 재미있는인생 · 719410 · 17/01/10 20:16 · MS 2016

    전 이관데도 정치에 관심이많아서..

  • 고른햇살 · 549535 · 17/01/10 20:17 · MS 2014

    한국인이라고 외국인에 비해 정신적 정서적 발달이 늦을 것 같진 않은데요 태생적으로 미개한 건 아닌것 같고

  • 하늘과바람과별과시 · 700318 · 17/01/10 20:17 · MS 2016

    오히려 투표권을 주면 청소년들에게 정치에 대한 관심을 환기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는데...
    무리일까요?ㅠㅠ

  • 축복의아리와디돌고래 · 706661 · 17/01/10 20:18 · MS 2016

    전 반대로 고2부터 투표해도 괜찮을거라 생각

  • Delta · 674837 · 17/01/10 20:23 · MS 2016

    띠용.. 그냥 고3은 수험하느라 투표에 관심두기힘들다 표현했으면 동의할순있는데
    나이적 성숙함을 예시로 드니까 별로

  • 루소 · 665924 · 17/01/10 20:24 · MS 2016

    그건 어른도 똑같음

  • 형수님저흥분데요 · 525296 · 17/01/10 20:30 · MS 2014

    출마가 25세부터이니 투표도 25세부터

    나도 저번 총선에서 투표하긴 했는데 국가의 미래를 나같은 사람한테 맡긴다는게 좀 우려스러웠음

  • 2058 · 506419 · 17/01/10 20:36 · MS 2014

    그건 어른도 똑감음22222몇몇 나이드신분은 정책보다는 특정당을 투표하시잖아요..

  • 양배추추 · 615593 · 17/01/10 20:39 · MS 2015

    비율적인 차이는 자명합니다...

  • 수학과물리와예술 · 640644 · 17/01/10 20:39 · MS 2016

    윤리, 정치, 경제, 사회(시사)
    국가 공인 시험 만들어서 이거 패스한 사람만 투표하게 해야함.
    귀찮아서 시험 안 볼 수 있으니까 패스하면 어드벤티지 주고 시험 안 보면 패널티 주면 됨.
    아예 판단 능력 자체가 없이 투표하는 사람이 많아서...

  • 서강대17 · 647528 · 17/01/10 21:52 · MS 2016

    지금은좀나아졌지않나요? 저포함 대다수아이들이 정치엔 1도 관심없었지만 작년에 엄청난 일들을 겪고 관심을점차가지고있습니다. 실제 제학교 친구들이 서로모여 광장에서 모이기도하고 연설하고 뉴스에서 인터뷰도하던데 마냥 부정적이아니라 저는 차츰 상황이 좋아질것같습니다

  • KGuMxAU9BCm2rh · 600465 · 17/01/10 22:17 · MS 2015

    솔직히 고3에게 투표권 확대는 명분이 부족함. 참정의 관점에서 고3과 성인의 갭은 큰데 고3과 고2와의 갭은 크지않음..... 결국 고3에게 투표권이 주어지면 고2, 더나아가 고1 투표권 확대얘기까지 나올수 밖에 없어요.

  • leecy1120 · 585934 · 17/01/10 22:53 · MS 2015

    그런데 진짜 19세와 20세의 느낌이 다르다고 생각이 들긴해요.
    일단 이미 내가 성인이 되었다는 것부터 마음가짐이 달라지고, 세상을 바라보는 시간도 있어지기때문이죠. 윗분말처럼 나이 낮춰지면 한도끝도없이 낮아질수밖에 없어요... 차이가 그리 크지않아서.;;
    갑자기 초6때 뭣도모르고 학교 선생님 손에잡혀 광우병 시위나갔던거 아직도 이불킥하네요.

  • Dr.Ryune · 705055 · 17/01/10 23:26 · MS 2016

    222 저는 여기에 동감!

  • Dr.Ryune · 705055 · 17/01/10 23:26 · MS 201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의대가고싶었다.. · 574779 · 17/01/10 23:42 · MS 2015

    저희 부모님은 대구분이신데 그런거 안보시고 그냥 일단 새누리 ㄷㄷ 심지어 두분다 대학도 나오셨는데도 그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