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대공부] 치대 오기 전에, 상식선의 영단어 2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0607819
캐버티(Cavity)
캐비티나 캐버티나 아무튼, '와동'이라는 뜻입니다.
이것도 두가지 의미로 쓰이는데, 치아우식(decay)에 의해 치아에 뚫린 구멍을
와동이라고 하기도 하고,
프렙으로 치아에 형성한 특별한 모양을 와동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보통 5~6가지 유형으로 나누는데, 5가지 유형은 치대 오시면 배우실거에요.
레진(Resin)
일종의 플라스틱이라고 생각하면 쉬울 것 같아요.
보통 bis-GMA라는 단량체가 중합되어 단단해지는데,
자가중합형(화학중합형) = 놔두면 저절로 굳음
광중합형 = 파란 빛을 쬐어주면 굳음
이중중합형 = 놔두면 저절로 굳는데 파란 빛 쬐어주면 더 굳음
열중합형 = 가열해야 굳음
이런 유형이 있고, 레진 안에 단단한 알갱이(필러, 충전재)를 넣어
물성을 개선시킨 것을 복합레진(Composite resin; 콤포짓 레진)이라고 해요.
에칭(etching)
산부식이라는 뜻이에요. 레진 수복 하려면 레진이 치아 사이로 박혀야해요.
그래야 마찰력등에 의해서 잘 떨어지지 않고 유지가 되거든요.
그렇게 만들어주기위해서 치면(치아의 면)을 부식시켜요.
언더컷(Undercut)
첨와라고 번역하는데, 그냥 언더컷이라고 하는게 편해요. 다 알아들어요.
오히려 첨와라는 한글이 좀 어색할 정도..
언더컷이란 어떤 물체가 윗쪽의 풍융한 부위에 의해서 가려지는 아랫부분을 말해요.
고려청자 생각해보면, 아래로 갈수록 볼록해지다가 다시 쏙 들어가죠?
그 쏙 들어간 아랫부분이 언더컷이에요.
가장 볼록한 부위는 '최대풍융부 ; Height of contour'라고 해요.
오클루젼(Occlusion)
교합이라는 뜻입니다. 하악의 근골격계과 측두하악관절의 상호작용에 의해 만들어지는
하악의 운동양상 및 치아의 맞물림등을 나타냅니다.
오버젯(Overjet)
수평피개라고 번역합니다. 이를 앙 물었을 때 앞니끼리 앞뒤로 얼마나 벌어져있는지를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정상교합에서는 윗니가 아랫니보다 앞쪽에 있습니다.
오버바이트(Overbite)
수직피개라고 번역합니다. 이를 앙 물었을 때 앞니끼리 얼마나 겹쳤는지를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딥바이트(deep bite)
이를 앙 물었을 때 수직피개가 정상(대개 1~2mm)보다 심한 경우를
과개교합이라고 합니다.
오픈바이트(open bite)
이를 앙 물었을 때 수직피개가 없는 경우를 개방교합이라고 합니다.
크라우딩(crowding)
'총생'이라고 번역합니다.
치아가 나와야하는데 공간이 부족해서 치아가 앞뒤로 막 튀어나오고 들어가고
서로 막 낑겨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말이에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생원 수특 풀다가 보이는데 차이가 뭔지 잘 모르겠어요 잘 아시는분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