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태섭 영어] - 2-4등급 -> 1등급으로 도약하기 위한 발걸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0496807
반갑습니다. 오르비 및 이곳저곳에서 활동하고 있는 염태섭 강사입니다.
오늘은 다름이 아니라, 생각보다 높은 점수를 받아야 할 학생이 높은 점수를 받지 못했는데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칼럼을 작성합니다. 학생의 수준은 고 3 / 2 - 3등급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1. 원인 분석 [ 구문독해 ]
1. 강의 대충 들은 구문독해 실력으로 본인이 구문독해의 고수인 줄 알고 있다. 구문강의를 대충 들었고, 이해를 못한다면 다시 한 번 복습하기.
While this is obvious enough in some realms ― for example, consider how much information is potentially relevant for estimating the value of Microsoft stock ― even when the information set seems less cluttered, information overload, a state of confusion and decision avoidance, can still occur.
-> 이 문장구조 분석해보세요. ( 부사절 s" v", 주절 s v찾기, 그리고 수식어구 이해하기)
2. 하나의 덩어리를 이해하지 못한다.
( 덩어리를 이해하지 못하니 문장의 정 주어ㆍ동사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The researches of evidence which [has / have] been used for finding useful information [ has / have] made people [realize/realized] the fact which [ is / are ] very difficult for them to realize that it is free.
-----------------------------------------------------------------------------
정답
1. While this / is , information overload / can still occur.
s" v" s v
2. evidence (which has been used for finding useful information.) = 하나의 덩어리
the fact (which is very difficult for them to realize that it is easy.) = 하나의 덩어리
를 하나로 이해하셨나요? 이해하지 못했다면 개인적으로 구문 분석 실력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 [원인분석] 다양한 단어의 의미
1. I was moved when he proposed.(나 감동 받았어 / 그가 청혼했을 때)
2. I moved to London. ( 나 런던으로 이사 왔어.)
3. It is extremely expensive( 이것은 매우 비쌈.)
하나의 단어는 문장에서 여러 뜻으로 쓰입니다. (move는 이동하다 / 감동시키다(사람의 마음을 이동시키면)
3. extremely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극도로’ 알고 있는데, 이는 very 어감이 매우 유사합니다.
제가 전하고 싶은 포인트는
우리는 단어의 뜻을 많이 알고 있지만 이것이 실제로 문장 속에서 정확히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모르고 있습니다.
Your request was demanding. 한 3등급 학생은 demand의 뜻이 ‘요구하다’로만 알고
있더군요.
그러면 이렇게 의미가 다른 단어의 뜻을 어떻게 파악하나요?
리얼 많이 읽어보면 됩니다. 즉 문제 많이 풀고 제가 위에 제시한
문제풀이 비법 따라서 하루에 일정량을 푸시면 됩니다.
(문풀 비법을 보면 알겠지만, 절대 문제만 많이 푸는 것이 아닙니다)
‘어? 내가 이 단어는 이 뜻으로 알고 있었는데, 이렇게도 쓰이네?’ 하나 더 알았다. 개이득!
이런 식으로, 단어가 쓰이는 의미를 머릿속에서 계속 축적해나가면 됩니다.
3. 독해[ 글의 흐름을 이해하자]
이 부분이 리얼 중요합니다. 보통 하나의 문제를 풀 때 학생들은 단어 / 구문 / 글의 흐름 / 주제를 정리합니다. 근데 중요한 것은 글의 흐름을 정리하는 방법을 모르는 학생이 정말 많다는 것입니다. 오늘 이 칼럼보고 앞으로 이렇게 지문을 한 번 분석해보세요.
여기서부터 글 읽기가 살짝 복잡해질 수도 있습니다. 천천히 한 번 읽어보세요.
The essence of science is to uncover patterns and regularities in nature by finding algorithmic compressions of observations. But the raw data of observation rarely exhibit explicit regularities. Instead we find that nature’s order is hidden from us, it is written in code. To make progress in science we need to crack the cosmic code, to dig beneath the raw data and uncover the hidden order. I often liken fundamental science to doing a crossword puzzle. Experiment and observation provide us with clues, but the clues are cryptic, and require some considerable ingenuity to solve. With each new solution, __________________. As with a crossword, so with the physical universe, we find that the solutions to independent clues link together in a consistent and supportive way to form a coherent unity, so that the more clues we solve, the easier we find it to fill in the missing features.
* cryptic: 비밀스러운
① the depth of scientific experiments keeps us in awe
② we glimpse a bit more of the overall pattern of nature
③ the code-breaking process becomes increasingly mysterious
④ the regularity of nature is revealed in its entirety to the observer
⑤ we crack the cosmic codes one by one, replacing an old solution with the new one
이렇게 분석을 해야 한다.
1. The essence of science is to uncover patterns and regularities in nature by finding algorithmic compressions of observations
-> 과학의 본질은 패턴과 규칙성을 발견하는 것이다.
-------------------------------------------------------------------------
2. the raw data of observation rarely exhibit explicit regularities
-> 이 문장은 왜 나왔지? ( 가공하지 않은 데이터는 -> 규칙성을 찾기가 힘들다. 첫 문장을 보면 과학의 본질이 패턴을 발견하는 것이란다. 그러면 (규칙성을 찾기가 힘들다는 것)은 과학의 본질을 발견하지 못한 것이다. 첫 문장에 근거해봤을 때 나와도 논리적으로 어색함이 없는 문장)
3. Instead we find that nature’s order is hidden from us, it is written in code
-> nature's order은 우리에게 숨겨져 있다. 첫 문장에 근거해봤을 때 나와도 논리적으로 어색함이 없
는 문장. ( 규칙성이랑 패턴을 발견하지 못한 상태 = 왜? 숨겨져 있으니까)
---------------------------------------------------------------------------------------
4. To make progress in science we need to crack the cosmic code, to dig beneath the raw data and uncover the hidden order.
->첫 문장과 연결해본다면, 진보하려면 당연히 패턴과 규칙성을 발견해야겠지?
그렇다면 cosmic code를 crack(부수다)는 뭐죠?(패턴과 규칙성을 발견하는 것)
-> dig beneath the raw data는 뭐죠?(패턴과 규칙성을 발견하는 것)
===================================================================
5. I often liken fundamental science to doing a crossword puzzle
-> 이거를 crossword puzzle이랑 비교함. 여기서 fundamental science가 갑자기 튀어나왔다고 해서 쫄 필요가 없다. 내가 강조했다시피 모든 문장은 연결되어있다. 여기서 fundamental science가 나오건 실용 과학이 나오건 무슨 과학이 나오건, 그 과학의 본질은 무엇이다??
-> ‘규칙성이랑 패턴을 밝혀내는 것이다’라는 내용이 나올 것이다. 그러니까 갑자기 쌩뚱 맞은 문장이 나와도 글의 흐름을 보면 어떤 문맥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
----------------------------------------------------------------------------------------
6. Experiment and observation provide us with clues, but the clues are cryptic, and require some considerable ingenuity to solve.
-> clue는 cryptic 비밀스럽다( 비밀스럽다는 것은 pattern / regularity를 발견하지 못한 상태)
-------------------------------------------------------------------------------------
7. With each new solution, __________________
-> 일단 정답은 2번임, 정답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글의 흐름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바라보도록..
-------------------------------------------------------------------------
8. As with a crossword, so with the physical universe, we find that the solutions to independent clues link together in a consistent and supportive way to form a coherent unity, so that the more clues we solve, the easier we find it to fill in the missing features.
-> 여기서 physical universe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갑자기 physical universe가 왜 나왔는데??.
-> 이해하라고 이제, physical universe랑 같은 문맥은 당연히 science가 되겠지?, 그러면 아까 crossword랑 비교한다고 했으므로 crossword나 physical Universe나 본질을 찾으려면(The essence of science)
패턴이랑 규칙성을 찾으면 되지?, 문맥을 보면 이 해결책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더 많이 찾을수록 더 많은 잃어버린 특징을 찾을 수 있다고 했으므로
-> 해결책(규칙성, 패턴)을 많이 찾을수록 과학의 본질에 가까워진다는 내용이 나와야 적절
-> 따라서 빈칸에 들어갈 정답은 2번
-> 하나의 지문에서 쓸데없는 문장은 나올 수가 없습니다. 전체적인 흐름 속에서 각각의 문장들이 왜 나왔는지를 생각해보세요. 그러면 글의 흐름 / 주제뿐만 아니라 갑자기 쌩뚱 맞은 문맥이 나와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까 말했다시피 fundamental science의 자리에는 기초 과학이건 실용 과학이건 오징어 짬뽕 과학 아무거나 다 들어갈 수 있는 문맥입니다. 오징어 짬뽕 과학의 본질은 무엇이다? = pattern / regularity를 밝혀내는 것!)
------------------------------------------
글의 흐름 / 전개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런 연습을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안 하는 사람도 많을 거라 생각합니다. 하나의 지문을 보면, 그 다음 문장이 논리적으로 왜 나와야하는지 생각을 해보세요. 이 연습을 하다보면 고난도 3점 문제도 결국 전체의 흐름 속에서는 간단한 논리라는 것을 판단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대충 해석만 보고 흐름 보기를 무시한다면. . 논리력이 부족으로 고득점 문제에서 털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빈칸 80개 ~ 100문제 / 주제 100문제 모아놓고 풀면서 연습해보세요. (평가원 /ebs기준으로)
구문독해+단어를 보완한 상태에서 글의 흐름을 완벽하게 잡는 연습을 한다면 정답률 10%문제가 나와도 대비할 수 있을 거라 저는 생각합니다.
----------------------------------------------------
Sometimes the results of scientific inquiry are unsatisfactory. This may be due to our expectations: They may be unrealistic. For example, if you asked a biologist to tell you what a goby fish eats, I am certain that any ichthyologist, a biologist who studies fish, could let you know the favorite meals of the goby quite easily. If, however, you produced a goby from a bowl and asked an ichthyologist to tell you what this specific fish ate yesterday, you would have a different story. The sentences would be full of "probably" and "likely" meals for the fish. Science is pretty good at describing and predicting trends for larger groups, but the more specific you get, the more problems there are. Things get fuzzier the more specific your demands. It is the same for planets, plants, and people. Astronomy, too, is much better at ________________
We can say more confidently, for example, how planets come to be than how our planet, the Earth, came to be.
1. applying rules to strange phenomena
2. explaining the general than the specific
3. finding alternative solutions to a problem
4. making hypotheses than solving problems
5. tracing the origins of events in heavenly bodies
여기서 We can say more confidently, for example, how planets come to be than how our planet, the Earth, came to be. 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댓글로 달아주세요. 이 사례가 왜 나왔는지 이해했다면 여러분의 독해능력은 'Good!'
--------------
< 염태섭 Orbi(오르비) BEST 게시물 >
1. 수능 영어 이 칼럼으로 종결시키겠습니다.
http://orbi.kr/0007392071
2. 수능 영단어 이 칼럼으로 종결시키겠습니다.
http://orbi.kr/0007820023
3. 2-4등급이 범할 수 있는 최악의 실수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ㅇㅂㄱ 0
애초에 자지도 않았음
-
골좀넣어봐
-
bxtre.kr/
-
인생 진짜 좃된거같다 그걸 깨달음 놀고있을때가 아닌거야
-
여기 물리 많이쓰이나요? 로드맵에는 딱히 물리같은거없고 코딩 소프트웨어...
-
그날 해야 하는 공부들이 있는데 다 못 끝냈을 때의 스트레스가 너무 심해요. 생활...
-
전문의 따고도 남을시간 아닌감…
-
D-210 0
영어단어 수특 1~13강 복습 사회문화 일탈이론 복습 관료제,탈관료제 복습 수학...
-
bxtre.kr/
-
얼버기 4
얼리버드가 벌레를 잡는다
-
자야지 3
-
돌멩이는 신임 4
돌멩이: 수익률 0%정백: 수익률 -9.2% ㅅ ㅣ발
-
윤사 생윤만 봐도 너무 어렵던디 그리고 경우의수 잼병이라 확통은 ㄹㅇ 엄두도...
-
6년동안 읽은책 저거밖에없는데 많이심각한거임?
-
전교권 n수생 대치동 과학고 -> 과탐 1~3등급 다 차지함?
-
다음 주 화수목금 하루 한 과목씩 10시에서 1시 사이에 치는데 오후 5시 취침...
-
bxtre.kr/
-
공대는 물리가 필수인건 다들 알고 있을거고 쨋든 현역으로 공대를 꼭 가고 싶다면...
-
아무거나 질받 ㄱㄱ
-
얼마를 잃은거지 ㅅㅂ..
-
얼버잠 1
네
-
오르비 안녕히계세요 11
2000모으고오겟습니다 화이팅
-
20일에 혼자 머라도 하고 집와야겠다
-
아직까지 못 자고 있냐..
-
미대입시해서 평소에 미술학원만갔다오고 뻗어서 방학때도 하나도 안하기도했고 고1부터...
-
외국인도 있네
-
좀비 등장
-
자취러 여친생기면 꿀팁 22
가을에 한 11000-12000원이면 흰다리새우 생물로 1키로 사는데 한...
-
작년보다 어려운 시험지 기대하겠습니다
-
8시 기상 도전 2
실패시 오만덕 뿌림
-
스케줄 비워놨으니까 딴데 가지마
-
평범하게 살고싶은 밤인데
-
불면증 아 4
기껏 11시반에 잠들었는데 말짱히 깨는거 뭔데
-
잼얘할 사람 7
흐흐
-
거래대금 순위가 이게 맞냐고 3배 레버리지 3배 곱버스가 1,2등하는건 너무하잖아...
-
오늘1교신데 6
이번학기첫자체휴강각인가
-
왜 아빠가 더 노력하지 않는걸까..
-
[13/15문제] 5번 밀도는 심층으로 갈수록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것도 숙지 못함...
-
내 꿈은 5
롤드컵 우승임 반농담 반진담임
-
반박시난봉꾼
-
땅울림할게요 8
민족말살정책
-
오늘 일 클래스 1주차 강의 듣고있는데 "이정도는 다 되잖아" "당연히 이거지"...
-
올해 두 번째로 덮치는거에요?
-
지금은 요리가 취미인 의사가 되고싶어
-
B의 Ep랑 Ek랑 비율 관계가 10대 2고, B와 A 질량비 2대 3이니까 A...
-
1) 코구선수 2) 자택경비원
-
28예비 18번 같은거는 f-x가 g-x로 나누어떨어지는걸 눈치까라는말인데 그럼...
-
감기인가 코로나인가 구분이 안 가네 학원 일 할 땐 마스크 끼긴 했는데 아 설마
좋아요는 글을 쓰는 원동력입니다.
혹시 4번이 안되는 이유가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