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NDY [373560] · 쪽지

2011-04-16 10:46:50
조회수 19,940

대한민국 직업 종결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048976





1. 2011년 김앤장 법률사무소(16명)



김아름(서울대 컴퓨터공학), 김영신(서울대 산업공학), 김재경(서울대 법대), 김진욱(경찰대 행정), 류경지(서울대 경영),
박지은(서울대 경제),송지연(서울대 법대), 신미진(연세대 법대), 신빛나라(서울대 법대), 이종민(카이스트),


장은호(연세대 법대), 장지웅(서울대 공학), 전지연(서울대 화학생물공학), 조건희(고려대 법대), 조효진(서울대 법대),


최지수(서울대 외교학)


 


서울대 11명 : 법대 4, 공대 4, 경영 1, 경제 1, 외교 1


연세대 2명 : 법대 2


고려대 1명 : 법대 1


경찰대 1명 : 행정 1


카이스트 1명


 


 


 


2. 2011년 법무법인 광장(21명)


김소연(서울대 법대), 김소영(서울대 법대), 김지인(서울대 법대), 나산하(연세대 법대), 우민지(고려대 영문),


유지현(이화여대 의학), 이길우(연세대 컴퓨터과학), 이인형(서울대 사회학), 이주영(서울대 법대), 장인정(서울대 법대)


 


강진구(서울대 법대), 김경래(고려대 법대), 김태욱(서울대 법대), 김태정(서울대 법대), 박정민(서울대 법대), 박현수(서울대 법대),  손경민(연세대 법대), 유재성(서울대 법대),  이주홍(고려대 법대), 최우영(서울대 전기공학), 김미현(서울대 법대)


 


서울대 14명 : 법대 12, 공대 1, 사회 1


연세대   3명 : 법대 2, 공대 1


고려대   3명 : 법대 2, 영문 1


 


 


 


3. 2011년 법무법인 태평양(24명)


김상민(서울대 법대), 김성환(서울대 경영), 김용균(한양대 법대), 박재영(서울대 법대), 윤석준(서울대 법대),


이수창(서울대 법대), 이정우 (서울대 법대), 전인환(고려대 법대), 허승진(서울대 법대)


 


고정현(서울대 법대), 고지훈(서울대 경제), 김세진(서울대 법대), 김형지(고려대 법대),민선홍(서울대 법대),


양민석(성균관대 법대), 윤지효(서울대 법대), 이덕우(서울대 경제), 이여원(서울대 법대), 이유진(서울대 법대),


임지영(연세대 법대), 조아라(서울대 법대), 조준연(고려대 법대), 허규현(고려대 법대), 홍영표(고려대 통계)


 


서울대 16명 : 법대 13, 경제 2, 경영 1


고려대   5명 : 법대 4, 통계 1


연세대   1명 : 법대 1


성  대    1명 : 법대 1


한양대   1명 : 법대 1



 


 


4. 2011년 법무법인 율촌(10명)


강선주 변호사: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곽태훈 변호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권성국 변호사: 경찰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김가영 변호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김나영 변호사: 한양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김시내 변호사: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박현아 변호사: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송대준 변호사: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이주영 변호사: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이충민 변호사: 부산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연세대 3명 : 법대 3


서울대 2명 : 법대 2


고려대 2명 : 법대 2


한양대 1명 : 법대 1


부산대 1명 : 법대 1


경찰대 1명 : 법대 1


 


 


 


5. 2011년 법무법인 세종(18명)


김원국 변호사 : 한국외대 영어과


문진구 변호사 : 서울대 법대


송동원 변호사 : 동국대 경찰행정


오새론 변호사 : 서울대 법대


윤재원 변호사 : 연세대 법대


이승재 변호사 : 서울대 법대


이혜정 변호사 : 연세대 법대


조성은 변호사 : 연세대 법대


최가진 변호사 : 서울대 법대


최윤호 변호사 : 서울대 경영


최정은 변호사 : 서울대 법대


한예선 변호사 : 고려대 법대


 


권성은 변호사 : 한양대 법대


김종수 변호사 : 서울대 법대


박준현 변호사 : 서울대 법대


송인철 변호사 : 한양대 법대


신정하 변호사 : 서울대 법대


이은철 변호사 : 서울대 법대


 


서울대 10명 : 법대 9, 경영 1


연세대  3명 : 법대 3


한양대  2명 : 법대 2


고려대  1명 : 법대 1


외   대  1명 : 영어 1


동국대  1명 : 경행 1


 


 


 


6. 2011년 법무법인 화우(8명)


김지혜 변호사 : 고려대 법대


박양진 변호사 : 서울대 경영


박주영 변호사 : 성균관대 법대


박지원 변호사 : 서울대 법대


이성수 변호사 : 한양대 법대


한광수 변호사 : 연세대 법대


홍소연 변호사 : 연세대 법대


 


김이근 변호사 : 서울대 경영


 


서울대 3명 : 법대 1, 경영 2


연세대 2명 : 법대 2


고려대 1명 : 법대 1


성균관 1명 : 법대 1


한양대 1명 : 법대 1


 


 


 


*** 2011년 6대 대형로펌 신입변호사 97명 출신학부 집계 ***


 


서울대 56명 [법대 41, 공대 5, 경영 5, 경제 3, 외교 1, 사회 1]


                [김앤장 11, 광장 14, 태평양 16, 율촌 2, 세종 10, 화우 3]


 


연세대 14명 [법대 13, 공대 1]


                [김앤장 2, 광장 3, 태평양 1, 율촌 3, 세종 3, 화우 2]


 


고려대 13명 [법대 11, 통계 1, 영문 1]


                [김앤장 1, 광장 3, 태평양 5, 율촌 2, 세종 1, 화우 1]


 


한양대 5명 [법대 5]


성   대 2명 [법대 2]


경찰대 2명 [법대 1, 행정 1]


KAIST 1명


이   대 1명 [의대 1]


부산대 1명 [법대 1]


외   대 1명 [영어 1]


동국대 1명 [경행 1]






대한민국 직업 종결자이자, 연봉 종결자

초봉이 세전 기준으로 1억 5천만원이 넘는다고 하네요.

물론 대형로펌 변호사가 되기 위해서는

사시합격 & 사법연수원 상위권 이라는 조건을 모두 갖추어야 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접은동민이 · 346094 · 11/04/16 10:51 · MS 2010

    전문직 연봉만따졌을때 종결자는.. 정형외과 의사일듯?
    관절경 할 줄 아는 os면 페이닥터로 세후로 월 2000정도는 받는데...
    연 2억4천이고 세전으로 따지면 3억정도 될듯?

  • EANDY · 373560 · 11/04/16 10:54

    '초봉' 기준인가요?
    '잘나가는' 정형외과 의사 기준인가요, 아니면 '일반적인' 정형외과 의사 기준인가요?

  • 접은동민이 · 346094 · 11/04/16 12:18 · MS 2010

    잘나가는 정형외과의사 아니구요 초봉맞구요 일반적인 os기준입니다.
    서울에서 하면 페이가 좀 더 낮고 지방 촌구석으로 가면 2500까지도 받는다고 알고있습니다.

  • 서울대경영학과 · 102893 · 11/04/16 11:00 · MS 2005

    하지만 얼마 안되서 짤린다는 페닥의 가장 큰 단점이 있죠;;ㅋㅋ언젠가는 개원해야 한다는 단점까지
    나이 40대 중반 넘어가면서 순수 개업이 아닌 월급쟁이로써의 전문직은

    로펌 파트너>회계법인 파트너>>>개원 상위 20% 정도 될겁니다 ㅋㅋ

  • 접은동민이 · 346094 · 11/04/16 12:19 · MS 2010

    로펌파트너는 변호사중 상위 최소 3%안쪽일텐데

    개원의 3%랑 비교하셔야죠

    아마 전문직으로 따지면 상위3%쯤은 치과의사나 한의사가 甲일겁니다.

    여긴 편차가 워낙 ㄷㄷㄷ해서

  • 접은동민이 · 346094 · 11/04/16 12:19 · MS 2010

    로펌파트너는 변호사중 상위 최소 3%안쪽일텐데

    개원의 3%랑 비교하셔야죠

    아마 전문직으로 따지면 상위3%쯤은 치과의사나 한의사가 甲일겁니다.

    여긴 편차가 워낙 ㄷㄷㄷ해서

  • 접은동민이 · 346094 · 11/04/16 12:19 · MS 2010

    로펌파트너는 변호사중 상위 최소 3%안쪽일텐데

    개원의 3%랑 비교하셔야죠

    아마 전문직으로 따지면 상위3%쯤은 치과의사나 한의사가 甲일겁니다.

    여긴 편차가 워낙 ㄷㄷㄷ해서

  • 쓰쓰쓰비아 · 255792 · 11/04/16 12:59

    대체 누가 페닥은 얼마못가 짤린다던가요 ㅋ 또 지인 의사분이 그러시던가요 제발 카더라 가지고 기정사실화좀 하지 말아주세요..

  • 쓰쓰쓰비아 · 255792 · 11/04/16 13:05

    카더라비추 ㄱㄱㄱ 힘내봐요 어차피 이글 다시 안볼건데 으잌ㅋㅋ

  • 뉴루뉴루 · 429207 · 16/06/04 20:27 · MS 2012

    ㅇㅈ..... 얼마못가 짤려도 얼마못가서 또 직장 구함 오히려 개원했다가 들어먹고 페닥하는 사람들도 많아여....

  • 뉴루뉴루 · 429207 · 16/06/04 20:24 · MS 201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LeBron · 29352 · 11/04/16 12:07 · MS 2003

    빅5 병원 수준에서 트레이닝 받은 OS의사는 저정도 받는다고 알고 있습니다. 사실 페이닥터 오래 못하는건 사실인데 그렇게 따지면 아마 김앤장급 로펌도 연차 지나면 짤릴 가능성 높긴 할겁니다.

    사실 뭐 돈 잘버는 직종이라 할지라도 평균 비교라는건 좀 무의미하죠. 개원만 해도 투석실 하면서 50억씩 버는 사람도 있고 입에 풀칠하느라 근근히 살아가는 사람도 있는건데. 개원도 그냥 개인병원인지, 중소병원급인지, 투석실 같이 특수한 개원인지 등등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개원' 은 의사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건데, 변호사의 로망인 법인 파트너와 동일비교한다는건 조금 무리수 같네요.

  • 마운틴듀 · 359934 · 11/04/16 13:08

    나이대를 생각해야죠. 사법고시 합격하고 바로 로펌으로 들어가는 변호사분들은 30대 초반이지만 군의관에 펠로우까지 끝낸 정형외과 선생님들은 30대 후반~40대 초반이죠. 수입이야 뭐 자기 하고 싶은 일 하면 되는거구요(사실 별다른 취미가 있는게 아니라면 월 2천만원 이상만 벌면 사는덴 불편함 없으니..) ㅎㅎ 로펌 초년차 변호사들의 로딩이 정형외과 레지던트들의 로딩에 비해 덜하면 덜했지 심하진 않을 것 같네요..

  • EANDY · 373560 · 11/04/16 13:51

    마운틴듀님의 말에 동감 ㅎㅎ 제가 하고 싶던 말을 해주셨네요.

  • korea화이팅 · 58640 · 11/04/16 10:55 · MS 2004

    근데 네임드 로펌 1~5년차면 출근이야 10시까지 해도 되지만, 퇴근은 기약이 없던데요. 광장 2년차인 형 보면, 일주일에 5일은 9~10시 출근, 빠르면 새벽1시, 늦으면 3시 퇴근.. 토일 중 하루는 꼭 출근... 전 그렇게는 못 삼..ㅋ

  • EANDY · 373560 · 11/04/16 10:56

    돈을 엄청나게 많이 주는데 당연히 그 정도 노동은 뽑아내야...ㅋㅋ
    그리고 대형로펌은 연봉 상승률도 장난이 아닌 곳이라서 ;;;

  • korea화이팅 · 58640 · 11/04/16 11:05 · MS 2004

    당연히기는 한데, 그렇게는 못 산다는거죠 ㅋㅋ 아무리 돈 많이줘도 ㅠ

  • 서울대경영학과 · 102893 · 11/04/16 10:58 · MS 2005

    보통 고법은 판검 쪽으로 많이가고, 미필합격자들이 많아서 먼저 군법으로 간다는 ㅋㅋ

  • 서울대경영학과 · 102893 · 11/04/16 10:58 · MS 2005

    보통 고법은 판검 쪽으로 많이가고, 미필합격자들이 많아서 먼저 군법으로 간다는 ㅋㅋ

  • EANDY · 373560 · 11/04/16 11:01

    그건 좀 아닌듯...
    판검 쪽으로 많이 가고, 미필합격자들이 많아서 군법으로 가는건 설법임 ㅋ
    군법의 80% 이상이 설법임 ㅋ
    그리고 대형로펌 이 자료는 군법 출신까지 포함된 자료에요.


    2011 검사 임용 대학별 수 (연수원 + 법무관 합산)

    서울대 34명
    연세대 21명
    고려대 20명
    성균관 10명
    한양대 10명
    이화여 6명

    2011년 40기 연수원 출신 검사 임용 대학별 인원 (여기서 법무관 출신 더하면 위와 같은 검사 임용 자료가 됨)

    서울대 22명 (법 10명, 비법 12명)
    연세대 17명
    고려대 12명
    한양대 8명
    성균관 7명
    이화여 6명

  • 예그리나 · 195649 · 11/04/16 11:05

    올해 법무관 마치고 검사 임관하신 분들은 서울대 12명, 고려대 8명, 연세대 4명, 성대 3명 순입니다.

  • 서울대경영학과 · 102893 · 11/04/16 11:11 · MS 2005

    예그리나님 말씀처럼 보통 미필들의 검사임관은 당해 자료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ㅋㅋ

    3년후에 합산되어 온다는 거죠. 그거까지 합치면 올해도 여전히 항상 그랬듯이 판검임용은 고법이 많습니다;ㅋㅋ

    로펌에서는 고법이 생각만큼 선전하지 못합니다만, 판검은 전통적으로 고법 TO 있는 곳이죠 ㅋㅋ

  • EANDY · 373560 · 11/04/16 11:16

    예그리나, 서울대경영//

    좀 많이 잘못 알고 있으신 것 같아서 바로잡아서 알려드립니다.

    제가 올린 검사 임용 대학별 자료는 법무관까지 포함한 자료입니다.

    40기 연수원출신 검사 임용자만 따지면

    서울대 22명(법 10명, 비법 12명) / 연세대 17명 / 고려대 12명 / 한양대 8명 / 성균관대 7명 / 이화여대 6명 순이었습니다.

    (아래 링크 참조)

    위에 서울대 34명 / 연세대 21명 / 고려대 20명 / 성대 10명 / 한대 10명 / 이대 6명 이라는 검사 임용 자료는

    연수원과 37기 법무관 모두 포함한 자료라는 것을 잘못 알고 있으셔서 바로 잡아서 알려드립니다.

    http://news.lec.co.kr/gisaView/detailView.html?menu_code=10&gisaCode=L001002006200026&tblName=tblNews&menuName=&pressNum=627&photoYN=Y

  • 서울대경영학과 · 102893 · 11/04/16 11:04 · MS 2005

    2010년 판검"(연수원, 법무관) 대학별 TO (출처 서로연)

    판사(연수원 +법무관) : 서울대 77명 / 고려대 23명 / 연세대 8명
    검사(연수원 +법무관) : 서울대 45명 / 고려대 20 / 연세대 15명

    합계 : 서울대 122명 / 고려대 43명 / 연세대 23명

    http://cafe.daum.net/snuleet/MYwZ/697?docid=1ApWV|MYwZ|697|20100708124256&q=%B4%EB%C7%D0%BA%B0%20%C6%C7%B0%CB%BB%E7%20%C0%D3%BF%EB

    맞는듯요?ㅋㅋㅋ

  • EANDY · 373560 · 11/04/16 11:14

    2011년 자료가 나왔는데 옛날 자료인 2010년 것을 끌고 오시는건 뭐하자는건지 ;;;

    <2011년 판검사 + 대형로펌 대학별 (연수원 + 법무관)>

    설법 = 대형로펌 41명 + 검사 32명 + 판사 33명 = 106명

    고법 = 대형로펌 11명 + 검사 20명 + 판사 14명 = 45명
    연법 = 대형로펌 13명 + 검사 21명 + 판사 9명 = 43명

    한법 = 대형로펌 5명 + 검사 10명 + 판사 5명 = 20명
    성법 = 대형로펌 2명 + 검사 10명 + 판사 4명 = 16명
    이법 = 대형로펌 0명 + 검사 6명 + 판사 3명 = 9명
    경찰법 = 대형로펌 1명 + 검사 2명 + 판사 6명 = 9명

    부산법 = 대형로펌 1명 + 검사 2명 + 판사 1명 = 4명
    중앙법 = 대형로펌 0명 + 검사 3명 + 판사 1명 = 4명
    경희법 = 대형로펌 0명 + 검사 1명 + 판사 2명 = 3명
    서강법 = 대형로펌 0명 + 검사 2명 + 판사 1명 = 3명

    ---------------- 이상 3명 이상 전국 법과대학 ---------------

  • 서울대경영학과 · 102893 · 11/04/16 11:21 · MS 2005

    이거 저한테만 나는 냄새 아니죠? ㅋㅋㅋ
    왠지 로스쿨과 사시 이야기만 나오면 떠올리게 되는 어륀지=서연성가울=몽쉘의 기운이 ㅋㅋㅋ

    네~연법의 우수함은 덕분에 잘 알았습니다ㅋㅋ

  • lazer · 334307 · 11/04/16 11:22 · MS 2017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EANDY · 373560 · 11/04/16 11:22

    어륀지는 누군지 모르겠고,

    잘못 알고 있으시길래 지적을 해드렸습니다 ㅋ

    제대로 모르면서 막 던지는 분들 많더라구요 오르비에~

    판검사 임용이 군법 포함인지 아닌지 여부도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더라구요~

    누군지는 지적을 안하겠습니다만...ㅋㅋㅋ

  • lazer · 334307 · 11/04/16 11:21 · MS 2017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죽댓 · 331229 · 11/04/16 11:34 · MS 2010

    인구의 1프로도 안되는거 나와 무관

  • 닉네임에한글열다섯자쓸수있어요 · 248159 · 11/04/16 11:35 · MS 2008

    훌리들 뭘 하든 상관 안 하는데 생활관에서는 싸우지 마요 좀

  • 경화수월 · 301892 · 11/04/16 11:44

    뭐 어쩌라고

    오르비다운 글이다

  • ☞하라남편☜ · 123456 · 11/04/16 12:35

    뭐 어쩌라고

    오르비다운 글이다 2

    종결은 무슨.. 오버 쩌네요. 무슨 기준으로 멋대로 종결인지.

  • 건어물 · 373447 · 11/04/16 12:47

    엄청 큰 식당 운영해서 한달에 몇 천씩 버는 식당주인이나 성공한 사업가들

    이 돈은 더 잘 버는데??

    연봉이 아무리 쎄도 자기사업해서 대박난 사람 못 따라감.

    글쓴이가 무슨 기준으로 직업종결자라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돈으로 따진거라면 훨씬 잘 버는

    사람 깔렸음.

  • EANDY · 373560 · 11/04/16 12:51

    대형로펌 변호사는 연봉 + 명예 + 권력 3박자를 모두 갖추고 있죠.

    김앤장 같은 경우는 권력의 갑 이라고 말하기도 하구요.

  • lazer · 334307 · 11/04/16 13:01 · MS 2017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빌리언 · 317568 · 11/04/16 13:01 · MS 2009

    권력글쎄요 ㅋㅋ 특정분야 아니고서야 돈이 곧 권력인게 우리나라임.
    강남에 성공한 사람들 대부분이 사업가들이고 떵떵거리면서 잘사는데 뭐 갠적으로 저는 권력 이런거에
    별로 끌리지 않아서.. 그리고 대형로펌 변호사가 권력이 있나요? ㅋ 돈으로만 치면 사실 노동대비로 쳤을때
    성공한 중소기업 사장들이 훨씬 많이 버는데요, 개인적으로 대형로펌 변호사가 최고직업이라는데에는 이견이 많을거같아서
    적어봄. 무슨기준을 갖다 대더라도 최고와는 거리가 먼데요. 판검도 아니고.

  • boxerzz · 312331 · 11/04/16 13:05 · MS 2009

    변호사가 명예랑 권력이라뇨 ㅋㅋ...
    뭐...김앤장 가서 억대연봉을 꿈꾸시는 분들한테는 그렇게 보일 수 있는데
    그쪽에 관심없는 저나 많은 사람들로썬...돈 많이 버는건 인정하는데 명예랑 권력이라니 ㅋㅋ...
    이상한 환상을 가지고 계신듯.....
    주변에 변호사 분들 봐도 별로 돈 많이 번다는거 빼고는 아무런 느낌 안들던데..
    시대가 어느시댄데 아직도 그런 사고를...
    차라리 검사나 판사보고 명예,권력 하면 모르겠다..
    그냥 돈받고 법률 사건 해결해주는 사람들인데 ?....한마디로 고객님/의뢰인님들을 어떻게든 받아서 밥벌어 먹는
    직업 같은데요 ㅋ

  • 잔월효성™ · 279522 · 11/04/16 19:49 · MS 2009

    저번에 로펌변호사 현직 계신분의 글을 입법고시 커뮤니티에서 봤는데 돈명예는 그렇다쳐도 권력은 아닌듯
    그분말에 의하면 공무원이 갑 의뢰기업이 을 본인들은 병이라고...

  • 빌리언 · 317568 · 11/04/16 12:56 · MS 2009

    연훌몽쉘똥똥이었네

  • EANDY · 373560 · 11/04/16 12:58

    저렴하게 훌리 드립은 치지 마시구요.

    위에서도 어떤 분이 몽쉘똥똥 이러던데 누구길래 그러는지 참...

    저는 님을 처음 보는데 온라인이라고 막말하지 마시고 초면에 예의 좀 지키면서 말해주세요.

  • 빌리언 · 317568 · 11/04/16 13:05 · MS 2009

    추천제가 드렸음. 죄송요 (누가 비추햇네여)

  • 사나다유키무라 · 271387 · 11/04/16 13:35 · MS 2008

    현재 군법무관이고, 4대 펌 중에 한 군데에 가기로 했는데...

    대형로펌 초봉이 일반적인 기준으로 볼때, 매우 높은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연봉인상률 생각만큼 크지 않구요(금액적으로 따면 크다고 할 수 있지만, 비율로 보았을때...).

    잘 나가는 전문의들이 대체적으로 더 많이 버는 것도 사실입니다(대형로펌에 가는 사람들도 나름 잘나가는 사람들이니, 잘 나가는 전문의와 비교하는 것이 맞겠지요).

    하지만 전문의들은 의대와 인턴을 마친 후에도, 레지던트, (펠로우) 등을 거쳐야 함에 반해서, 대형로펌 변호사들은 사법시험 합격 후에 연수원 2년 마치고 바로 펌에 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전문의들보다는 적게 버는 것이 합리적인 것 같습니다. 더 '초짜'에 가까우니까요.

    현재 대형로펌 변호사들이 초봉을 많이 받는 이유는, 판사나 검사로 갈 수 있음에도 그것을 포기하고 가는 것이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앞으로 로스쿨제도와 법조일원화가 정착되어서, 신입법조인들이 더 이상 판검사로 갈 수 없게 되면, 초봉은 크게 낮아질 것 입니다.

  • 톰톰­ · 302853 · 11/04/16 13:39

    언제부터 변호사가 명예없는 직업이 된거지

  • EANDY · 373560 · 11/04/16 13:53

    변호사에게 열폭하는 분들에게는 명예없는 직업으로 보이는듯요

  • 청학동불방망이 · 184 · 11/04/16 13:48 · MS 2002

    누구 맘대로 로펌이 직업종결자?

  • 풀개미'ㅅ' · 339449 · 11/04/16 14:14

    읭 우주최강 법무법인 대정이 없네여 으헝'ㅅ'

  • 한별조경심 · 348180 · 11/04/16 14:58 · MS 201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한별조경심 · 348180 · 11/04/16 15:06 · MS 201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EANDY · 373560 · 11/04/16 15:08

    여기에 고딩들만 오나요? 대학생들도 많이 옵니다.

    지난번에 올린게 뻘글이라면 사진관에 있는 글들 대부분은 다 뻘글이게요?

    한별조경심님, 어디서 굴러들어온 사람인지는 모르겠지만, 인터넷이라고 막말하지 마시고, 말조심 하세요.

    그리고 이 글은 사시합격생-대형로펌 코스를 간 분들인데, 로스쿨 준비생 얘기가 왜 나오나요?

    어이돋네요.

  • 한별조경심 · 348180 · 11/04/16 17:40 · MS 201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창조의 원리 · 9274 · 11/04/16 15:11 · MS 2003

    주 3~4 근무하고 세후 1000 받는 장신과의사가 갑이제....

  • sAcRi · 51003 · 11/04/16 15:24 · MS 2004

    여담이지만 한의사 상위 5% 안쪽 정도 되시는(?) 아는 저희 선배 한의사의 경우 한달 매출이 3억 정도 됩니다.
    부원장 한명 쓰고 간조 4명 쓰니깐 한달 순수입이 적어도 2억 5천은 되실듯..
    어느 전문직이든 상위권은 상상이상으로 잘나갑니다.

  • 뿌뿌뿌뿡 · 369416 · 11/04/16 16:37

    설마 매출이 3억이면 순이익이 2.5라고 생각하는 건가요?
    님이 아시는 선배님은 세금도 안내고 직원들도 무상으로 일하나봐요

  • 수능홀릭 · 220891 · 11/04/16 16:47 · MS 2007

    월 매출 3억에 순익 2.5억 가져가는 사업이 어딨습니까 ㅋ 세금, 월급, 인테리어비, 마케팅비, 재료비 기타 등등 쳐도 절반 이상은 훌쩍 나감

  • 내여자의남자친구 · 214820 · 11/04/16 22:58 · MS 2007

    한달에 몇억을 범?? 와 진짜 짱이네 ㄷㄷㄷ 사기다

  • 닉네임에한글열다섯자쓸수있어요 · 248159 · 11/04/16 18:45 · MS 2008

    저는 인생의 패배자고 님은 인생 종결자임
    그러니까 인생 패배자들하고 상종하지 말고 좀 딴데로 가요 괜히 어그로 끌지 말고

  • 내여자의남자친구 · 214820 · 11/04/16 23:02 · MS 2007

    애초에 설법은 넘사벽이고, 고법은 쪽수도 많고 연법에 비해 합격자 수도 상당히 많은데 이정도면 연법이 선방한듯

    워낙 연법은 쪽수가 적었다가 요근래 많이 뽑기 시작해서 그래도 그럭저럭 많이 격차를 좁혀감, 특히 아주 근래에 들어

    물론 고법이 선배들도 많이 진출해있고 더 좋은건 맞는데 어설캐아 서울대가 개쩌는듯

  • 하늘나라로 · 285895 · 11/04/17 04:06 · MS 2009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 공대도 이쪽 관련일을 하나요?

  • 와놬 · 283576 · 11/04/17 14:39 · MS 2009

    역시 서울대가 가장 많군요 모교로서 자랑스럽네요 ㅎㅎ
    타대학들도 은근히 많은듯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