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ewing [72210] · MS 2004 (수정됨) · 쪽지

2016-12-20 00:51:42
조회수 12,170

재미로 보는 의대 SCI 순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0193402

1. 전공의 때 논문 쓰라고 하면 대부분은 도망다니기 급급합니다. 전문의 시험에 필요한 최소한의 논문만 채우길 원하는 경우가 많은 게 현실입니다.


2. SCI 논문 잘 쓴다고 좋은 교수 아닙니다. 논문은 기가 막히게 잘 쓰는데 수술은 못하는 교수도 많습니다. (그 반대도 있습니다.)


3. SCI 순위로 매겨서 그저 논문 점수를 위한 논문이 많이 나온다는 비판도 많습니다. 

제가 쓴 논문 중 작정해서 써서 전공의 4년차 때 accept 된 논문은 2년 간 14번 인용된 반면 같은 시기에 쓴 어떤 논문은 고작 2번 인용되었습니다. 후자 같은 논문은 소위 논문 점수를 위한 논문이라 까일 만 하죠. 

그래서 요즘엔 피인용지수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일단 위 3가지 사항을 참고하시고 읽으세요. (큰 비중 두지 말고 심심풀이로 읽으라는 뜻입니다.)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09848


여기서 보면 국내 이런 건 무시하시고...(SCI도 IF 낮으면 까이는데 국내 학술지는 쳐주지도 않습니다.) 국제 SCI 실적만 봅시다.


소위 말하는 메이저 의대가 가장 높긴 한데 서울대/연세대/성균관대는 1인당 실적도 좋을 뿐 아니라 총 논문수도 많은 반면 가톨릭대/울산대는 1인당 실적은 조금 떨어집니다. 고려대는 전임교원 수가 적다보니 총 논문수는 적지만 1인당 논문수는 가톨릭대/울산대보다 앞섭니다. (사실 총논문수도 5개 의대에 밀려서 그렇지 7위와 큰 차이로 6위입니다. 이것만 봐도 고려대가 저평가 될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그 밑으로 가면 일단 상위 6개 대학과 격차가 확 벌어집니다. 그 중 좀 높은 몇 개 의대를 꼽아보면,


1인당으로 치면 의외의 강자는 영남대와 중앙대입니다. 그런데 둘 다 전임교원수는 적죠? 

그래서 총 SCI 수로 치면 순위가 확 밀립니다. 그래도 둘은 연구에 있어서는 

작지만 실속 있는 의대로 보시면 됩니다.


전통의 강호 경부전과 한양/경희는 적절한 전임교원수와 적절한 1인당 실적을 가지고 있어서 밸런스가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삼룡의대도 순위권이긴 한데, 여긴 전임교원 수가 워낙 많다보니 총 SCI 수가 많은 거지 1인당 실적만 놓고 보면 중위~중하위권입니다. 그 중 한림대가 1인당 실적은 가장 양호해서 총 SCI로는 7위에 해당합니다. 


그 외 SCI급이 100편이 넘는 곳은 아주대, 이화여대, 전북대 정도입니다. 


나머지 대학들은 1년 연구 실적이 수십편 정도 수준입니다. 


꼴찌는 모두 예상하는 그 대학입니다. 유일하게 한자리 실적이네요.



정리하면 제대로 연구하는 6개 의대, 


그나마 연구 인프라가 존재하는 10여개 의대,


1년에 SCI 논문 한편 안 쓰는 교수가 대부분인 나머지 의대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To_mato · 433978 · 16/12/20 01:20 · MS 201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하염없는 빛 · 629192 · 16/12/20 01:24 · MS 2015

    저 궁금한게 있는데 저희 아버지도 연대출신 의사시고 아버지 친구들중에도 세브란스 교수분들이 계신데 의사 학력에 관해 여쭤보면 크게보면 서울대와 비서울대. 조금 너그러워지면 설연까지와 나머지 이렇게 나누지 빅5가 큰 의미가 없다는식으로 말씀을 하시던데 글쓰신분도 그렇게 생각하시는지요. 보통 통계를 보면 빅5(+고대) 와 나머지의 격차가 큰경우는 많이봤지만 보통 위의 6개 내에서는 큰차이가 안나던데 왜 인식이 설연과 설연 미만으로 잡히는걸까요

  • nicewing · 72210 · 16/12/20 01:33 · MS 2004

    간단히 얘기해서

    일단 고려대는 빅5에 해당하는 대형병원이 없어서 병원 인지도가 떨어지고

    가톨릭대/울산대는 병원 인지도는 좋으나 종합대학으로서 인지도가 떨어집니다.

    성균관대는 빅5고 종합대학 인지도도 높은 편이나 생긴 지 20년 밖에 안된 신생의대입니다.


    결국 빅5병원 + 종합대학 인지도 + 전통 3박자를 다 갖춘 대학은

    서울대와 연세대 밖에 없습니다.

    그 점에서 서울대/연세대와 나머지 4대학 간 인지도 차이가 난다고 보면 됩니다.

  • sksmsdhfhql · 623498 · 16/12/20 01:42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sksmsdhfhql · 623498 · 16/12/20 01:55 · MS 2015

    총논문수=(1인단 논문수)*(전체 교수수) 오른쪽 구성요소 둘 다 중요합니다.
    1. 전체 교수수에 관하여: 교수 수가 많으려면 수익성이 담보되어 지속가능해야 합니다. 즉 교수수가 최고라는 것은 그 의대의 전체경쟁력이 높다는 걸 의미합니다. 아무 의대나 함부로 교수수 늘리지 못합니다. 글다가 망합니다.
    - 또 교수수가 많다는 것은 여타의 조건이 일정한 경우 시간에 따른 교수 결원의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그 의대생의 스태프 진출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nicewing · 72210 · 16/12/20 02:10 · MS 2004

    전임이 많으면 좋죠. 저기서 가톨릭대/울산대가 전임 수 1,2위입니다. 그런데 가대는 원래 지방 브랜치라 많고 울산대도 강릉아산/울산대병원 비중이 꽤 있을 겁니다. 아마 이런 지방 브랜치 전임교원의 일인당 논문수가 서울권 교원보다 낮기 때문에 평균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겁니다. 즉 서울아산이나 서울성모만 놓고 보면 1인당 실적도 나머지 빅5와 별 차이 없을 겁니다.

  • sksmsdhfhql · 623498 · 16/12/20 02:00 · MS 2015

    2. 1인당 논문수에 관하여: 물론 여타의 조건이 일정한 경우 1인당 논문을 많이 쓰는 교수가 경쟁력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자본주의 경제에서 교수들이 1인당 논문을 많이 쓴다는 것은 "능력 + 뺑이 정도가 크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교수들이 능력도 있지만 뺑이쳐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타의 조건 특히 교수들의 능력이 유사한 경우 노동의 질이 나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nicewing · 72210 · 16/12/20 02:06 · MS 2004

    배제할 수는 없죠. 근데 그럼 논문 안 쓰는 대학은 노동의 질이 좋을 가능성이 있는건가요?

    그리고 교수가 논문 안 쓰면 왜 교수 남나요? 교수면 당연히 논문 쓰고 많이 쓸 수 있으면 더 좋은 겁니다.

  • 읩읩 · 685353 · 16/12/20 02:17 · MS 2016

    나이스 윙님 이 분 유명한 카대 훌리입니다. 댓글들 보시면 압니다.

  • nicewing · 72210 · 16/12/20 02:19 · MS 2004

    아주 잘 압니다.

  • UUCM28th · 344962 · 16/12/20 03:09 · MS 2010

    ㅋㅋㅋㅋㅋ

  • sksmsdhfhql · 623498 · 16/12/20 02:06 · MS 2015

    2-1. 의대생 입장에서 보면 솔직히 어느 의대 교수가 되고 싶으신가요? ㅋㅋ
    뭐 의대 TO를 논할 때 "자교 보호"를 최고로 자랑하던데요.. 자교보호는 노력 하지 않아도 뺑이 치지 않아도 자교 인기과 그냥 들어간다는 거 아닌가요? 마찬가지의 논리로 1인당 논문수가 적은 의대 교수 되는 게 좋다는 것은 "자교보호"가 자랑인 정도 바로 그만큼 자랑할 만한 것이어야 합니다. 즉 문제의 본질상 "자교보호가 크다"가 자랑이 된다면 "1인당 논문수가 적은 의대교수가 참 편하고 안정적이다"도 자랑이 되어야 하지 않나요? ㅋㅋ

  • nicewing · 72210 · 16/12/20 02:15 · MS 2004

    글쎄요. 그냥 교수 자체가 되는 게 목표면 맞는 말인데 그런 교수 자리는 별로 선호 되지 않는 게 문제죠.

  • sksmsdhfhql · 623498 · 16/12/20 02:09 · MS 2015

    3. 결론 SCI 총논문수를 구성하는 (1인당 논문수)와 (전체 교수수) 모두 무시할 수 없는 경쟁력 요소이므로 어느 한 구성요소에 의존하기 보다는 SCI 총논문수로 의대의 종합 경쟁력을 평가하는 것이 타당하다.

  • nicewing · 72210 · 16/12/20 02:17 · MS 2004

    그런데 저 상황을 보고 가톨릭대가 교수들이 논문을 더 많이 쓰도록 정책을 바꾸고 있는 건 압니까?

    안다면 가톨릭대 관계자라는 뜻이고, 모르면 의대 교수 상황도 모르고 얘기하는 것이겠죠. 답해주세요.

  • sksmsdhfhql · 623498 · 16/12/20 02:29 · MS 2015

    총논문수 = (1인당 논문수)*(전체 교수수)
    전체 교수 수가 최고인 상황에서 그간 상대적으로 부진한 (1인당 논문수)를 높이려는 정책이라면 잠재력이 무궁무진한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1인당 논문수가 아주 많은 의대는 한계 생산성 체감의 법칙에 의해서 더 늘리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제 신분이 왜 궁금하죠?^^ 제가 예전에 가톨릭의대 관계자가 아니라고 했는데요?

  • nicewing · 72210 · 16/12/20 08:33 · MS 2004

    얼마 전 의사들이 쓰는 게시판에서 화제가 되었던 내용이고

    학회에서 서울성모 선생님 만나 자세한 내용을 직접 들었는데

    그게 잠재력이 무궁무진한 정책이라 포장해 줄 내용이 절대 아닌데요.

    일단 본인이 가톨릭 관계자나 의료 쪽 관계자는 아닌 거 같은데

    어떤 경우 이렇게 가톨릭 의대와 관련되어 집요하게 글 쓸 지는 추측되네요.

    (자세한 내용은 안 쓸랍니다. 이런 시기에 괜히 쓸 이유도 없고

    써봤자 수험생들은 이해도 못할 내용이니까요.)

  • Snake Doctor · 9680 · 16/12/20 10:15 · MS 2003

    1인당 논문수도 큰 의미가 없습니다.
    오히려 피인용 지수나 h-index g-index를 따져야죠.
    아무리 논문 100편이상 써봤자 인용이 안되면 그 논문들은 결국 실적용이지 과학발전에 기여한게 없죠.
    논문 impact factor도 해당 저널을 평가하는 방식이지 개개의 논문을 평가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네이처 같은 경우 impact factor가 38이어도 75%가 피인용 횟수가 38 미만이었습니다. 마치 떼돈 버는 일부사람이 평균 소득을 올라는것처럼 말이죠.

    제대로 비교를 하려면 논문 수뿐만 아니라 옆에다가 H-index, G-index까지 같이 표시를 해줘야합니다. 이 두가지를 쉽게 설명하면 얼마나 좋은 논문을 썼는가까지 고려해서 나온 수치라는거죠. 웬만한 특급논문들 보면 논문 한편이 다른 논문 3~4편 분량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대로 학계에서 인정 받는 사람은 논문한편이라도 규모를 키워서 특급 논문에 실으랴고 하는데 논문 숫자로만 평가하는데 신경을 쓰면 논문 한편을 3~4개로 쪼개서 출간하기도 합니다.

  • nicewing · 72210 · 16/12/20 10:36 · MS 2004

    그래서 SCI 논문 수로만 단순 평가하는 것을 지양하자는 말이 나오고 있죠.

    말씀하신 것처럼 쪼개 쓰기 문제도 있고, 인용도 제대로 안되는 논문도 쏟아지니까요.

    h-index나 g-index는 개인 평가용이라 대학 전체를 반영하긴 좀 어렵고 SCI 논문 수 뿐 아니라 현실적으로 IF나 피인용횟수를 따져봐야 한다고 봅니다.

    그런데 이런 것도 평가 지표가 되는 순간 사람들은 여기에 맞춰 논문을 쓸테니 또 문제가 되긴 할 겁니다. 그리고 IF나 피인용횟수가 기준이 되어버리면 분과 저널의 IF가 높은 과(내과 같은 과)는 상관 없는데 마이너과들은 분과 저널 IF가 대부분 한자리수이기 때문에 마이너과는 아무리 논문 써도 연구 실적이 별볼일 없게 되어버리는 문제가 생깁니다.

    개인적으로 SCI 순위는 순위 매기는 거에 의미를 두지 말고 내가 그 병원 교수로 남을 때 제대로 연구를 할 수 있냐 없냐의 참고사항으로 받아들이면 될 것 같습니다. 고기도 먹어본 사람이 더 잘먹는다고, 병원 교수로 들어갔는데 주변 환경이 연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연구 환경 처음 셋팅하는 게 그만큼 어려워지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