흄흄 [623419] · MS 2015 (수정됨) · 쪽지

2025-11-14 08:10:58
조회수 152

26학년도 수능 동아시아사(동사) 분석(문항 1~문항 5)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537374

*풀이(해설)는 교과 외 내용(지식)은 배제하고
철저히 교육과정(교과서, EBS 연계 교재 내용)에 근거해서만 하겠습니다.


문항 1.


새끼줄 무늬(조몬)만 잡았다면 순조롭게 정답을 쉽게 도출할 수 있습니다.



문항 2.


[23 수능]


[26 6모]


기출을 꿰고 있다면 쉽게 정답을 도출했을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어려웠을 문항입니다.

동사에서 '동서로 분열된 국가=북위'라고 무지성 암기해도 무방합니다.

26 6모를 철저히 분석했다면, 정답을 쉽게 찾을 수 있는 문항이었습니다.




문항 3.


[26 9모]


26 6모를 철저히 분석하고,

추가로 흉노 개념만 익혔다면, 거저 먹는 문항이었습니다.




문항 4.


[26 6모]


26 6모에서 처럼. 율령 파트가 수능에도 나올 거라 보였습니다.

자료 지문은 독해가 크게 어렵지 않으나

선지가 율령 파트에서도 외우기 성가신

지엽적인 관제 개념이 나와, 제대로 못 익혔다면 헷갈릴법 했습니다.



[25 9모]



[21 9모]


그러나 이전 기출 자료, 선지들을 철저히 분석했다면, 정답 도출이 아주 크게 어렵지는 않았습니다.

‘선우 도호부’는 굉장히 낯선 개념이지만

‘도호부’ 설치는 당에 대한 내용으로만 알면 됩니다.


‘행성’, ‘대장성’, ‘남추밀원’, ‘의부’ 등 굉장히 지엽적인 관제를 선지로 구성해서

출제진이 변별력을 확보하려는 의지는 보였습니다.



[26 6모]



26 6모를 철저히 분석했다면, 거저 먹는 문항에 가까웠습니다.


[24 6모]


[24 9모]


[24 수능]


[25 9모]


이번 6모가 아니더라도, 포르투갈에 대한 기출 문항은 너무 누적돼서

기출 분석한 사람한텐 문항 1번과 동급인 수준이었을 겁니다.




[참조]

> 26학년도 수능 동아시아사 총평 [링크]

> 26학년도 수능 동아시아사 분석(문항 6~문항 10) [링크]

> 26학년도 수능 동아시아사 분석(문항 11~문항 15) [링크]

> 26학년도 수능 동아시아사 분석(문항 16~문항 20) [링크]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