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허수 [1262251] · MS 2023 · 쪽지

2025-11-14 03:41:34
조회수 464

한지 실전 풀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535538

현역 2026 수능 한국지리 50점입니다.

만표는 72점이네요.ㅋㅋㅋ


뭔가 문제가 색다른 느낌이 납니다.

잠이 안 와서 문제 보고 현장에서 어떻게 풀었는지 적어보겠습니다. (재미용, 참고용으로만 봐주세요. 틀릴 수 있습니다.)


1번

틀리신 분들은 조건 3때문에 틀리셨을 거 같습니다. 저는 양구 경도가 128이고 부산 경도가 129인 것을 바탕으로 B를 제외했습니다.


5번 

일단 인구 많은 순서대로 (가) (나)를 잡고,  (다),(라) 인구 비교가 잘 안돼서 둘 중 성비 높은 것을 서산당진에 두었습니다.


6번

강수량 차 큰게 여름입니다. 겨울 강수량으로 ABCD 다 나오는 허무한 문제였습니다.


8번

정 때문에 툭 걸릴 수 있는데 금강하굿둑은 군산 서천에 있습니다.


9번

9모 13번인가? 와 상당히 유사한 문제입니다.

 호우가 가장 적은 (나)가 안동이고 가장 많은 (다)가 남해입니다. 밀양과 춘천 중 한파가 많은 것을 생각해주면 빠르게 답이 나옵니다. 선지 구성 방식에서도 힌트를 얻어갈 수는 있었습니다.


10번

이모다같은 것에서 볼 만한 문제입니다..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구미에서 출하액 많은 B가 전자입니다. 따라서 (나)는 화성이고, A는 자동차. 공업 출하액이 많은 (가)는 울산이 됩니다. 실전에서 C D를 어떻게 구별해야할지 몰랐습니다.ㅋㅋ 기상쌤이 외워두라고 했는데 안 외웠다가 그만.. 그래서 결국 경우 나누고 귀류쳐서 풀었습니다.


11번 


외국인은 인구에 비례한다 라는 개념으로 풀면 뭔가 쎄합니다. 유학생 인구가  많은 것은 대구가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외국인 수는 인구에 비례한다 라는 개념으로 (가)를 대구로 두지 않고 유학생 수를 이용해 (나)를 대구로 둔 후, 딱히 나머지 두 자료에서는 특이점이 없으니 인구 많은 전남을 (가)로 두었습니다.


14번

신유형이긴 한데 천천히 읽으면 쉽게 풀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조건에서 (나)의 도착지점이 강남인 것만 알면 됩니다.


17번 

이것도 새로운 자료를 주었습니다.

노인 비율을 통해 (라), (다)를 잡아준 후, 20-39여성 인구비율은 경산이 거제보다 높다는 것으로 나머지를 처리해주면 됩니다.


20번

수도권 집중도가 심해지는 순으로 연도를 배치하고, 선지들을 일일히 체크해주면 답이 나옵니다.



사탐도 실모를 많이 푸는게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