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크랙 [1418652] · MS 2025 (수정됨) · 쪽지

2025-11-14 00:18:35
조회수 292

[칼럼 예고] 여기서 대학 라인 물어봐도 아무 소용 없는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526940

[반응 좋으면 바로 칼럼 연재 가겠습니다! 많은 반응 부탁드려요]

수능이 끝나면 오르비의 질문 게시판이 가장 먼저 폭발합니다.

“국82·수86·영1·탐79 이 점수면 어디 가나요?”

이런 질문이 하루 수백 개씩 올라옵니다.


하지만 단언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으로는 정확한 대학 라인을 얻을 수 없습니다.

오히려 잘못된 판단을 굳힌 채 원서를 틀릴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 이유는 단순합니다.

대학 라인은 점수가 아니라 구조로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1. “점수→대학” 방식은 절반만 맞고 절반은 틀립니다


대부분의 수험생은 “내 점수로 갈 수 있는 대학”을 묻습니다.

그러나 입시는 점수 하나로 판단되는 구조가 아닙니다.

입시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백분위·표준점수의 상대적 위치
  • 해당 점수대의 올해 지원자 분포
  • 학과별 충원율
  • 군별 선택 구조
  • 대학별 작년 대비 변동폭
  • 교차지원 흐름
  • 지원자 허수 비율



이 중 하나만 바뀌어도 결과는 크게 달라집니다.

따라서 점수만으로 라인을 물어보는 순간 전체 정보의 절반이 사라지게 됩니다.


2. 오르비 댓글로는 개인 라인을 산출할 수 없습니다


오르비 댓글은 보통 두 가지 유형입니다.

  • “작년 입결 보니까 여긴 안정입니다.”
  • “제 친구가 저 점수로 ○○대 갔습니다.”


문제는 두 가지 모두 정확도가 매우 낮다는 점입니다.

작년 입결은 절대 기준이 아니며, 개인 사례는 구조적 분석이 아닙니다.


입시는 매년 구조를 해석해야 합니다.

지원자 분포가 달라지고, 학과마다 충원율이 다르고, 특정 점수대는 유독 몰리거나 비는 구간이 생깁니다.

이런 맥락을 모르면 댓글은 단순한 ‘의견’에 불과합니다.


3. 실제 합격은 “점수”가 아니라 “전략”이 만듭니다


같은 점수라도 어떤 학생은 붙고 어떤 학생은 떨어집니다.

이 차이를 만드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모집군 선택의 정확성
  • 상향·적정·안정 비율 조절
  • 충원율 기반 학과 이동
  • 군별 배치 전략
  • 경쟁률 변화에 따른 대응력


이 전략적 선택을 하지 않으면 같은 점수에서도 결과가 극단적으로 달라집니다.

따라서 “저 점수면 ○○대 가능한가요?”라는 질문은 애초에 정확한 답을 할 수 없는 질문입니다.

입시에서 중요한 것은 점수의 높낮이가 아니라, 그 점수를 어떻게 배치하느냐입니다.



4. 가장 위험한 패턴은 점수는 알지만 위치를 모르는 상태입니다


현재 시점에서 수험생들이 가장 흔히 보이는 실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본인의 점수는 정확히 알고 있지만 그 점수가 전체 지원자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 모른다는 점

‘위치’를 모르면 라인을 산출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입시는 상대평가이며, 백분위와 지원자 분포가 핵심입니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이 부분을 확인하지 않은 채 판단을 내립니다.


그 결과, 안정이어야 할 대학을 소신으로 착각하거나

반대로 붙을 수 있는 대학을 버리고 지나치게 낮은 라인을 선택하는 일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실수를 막기 위해서는

본인이 직접 구조를 이해하고, 흔들리지 않는 기준을 세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앞으로 연재할 10편의 칼럼을 통해 그 기준을 잡을 수 있도록 도와드릴 예정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