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지리 1컷 47점이 시사하는 것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465984
과학탐구 47점과 세계지리 47점을 같은 선상에 놓는 것부터가 문제의 본질을 흐리는 것이다. 사람들은 그저 '47'이라는 숫자에 매몰되어 현상을 단순하게 재단하지만, 그 이면을 들여다봐야 한다. 과학탐구의 고난도 문항과 세계지리의 고난도 문항은 그 태생부터가 다르다. 평가원이 난이도 조절에 실패한 것이 아니라, 현재의 시험 형식 자체가 세계지리라는 과목의 진정한 변별력을 담아내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에 봉착했다고 봐야 한다.
과탐의 킬러 문항은 왜 무서운가? 그건 대체로 지식 이상의 '능력'을 요구하는 파워 테스트임과 동시에, 정확한 논리와 지식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합답형 구성 상 ㄱ, ㄴ, ㄷ 선지 세 개를 모두 정확히 꿰뚫지 못하면 한순간에 오답의 나락으로 떨어진다. 하나만 알아서는 어림도 없고, 두 개를 알아도 마지막 하나에서 미끄러지면 끝장이다. 여기에는 '어설픈 앎'이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다.
그런데 세계지리는? 자연지리에서 원리적인 부분을 끌어올 수 없는 이상 현실은 이미 '유의미한' 지식적 차원의 변별력 확보라는 게임이 끝나버렸고, 발전할 만큼 발전한 나머지 더 이상 현재의 선지 구성과 출제 원리로는 학생들을 날카롭게 가려낼 수 없게 된 것이다. 그래서 컷이 잘 내려가지 않는다.
또한, 오지선다, 혹은 ㄱㄴㄷㄹ 합답형이라는 형식은 응시자에게 너무나도 관대한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모르면 패스는, 암살자가 아니라, 다섯 명의 용의자 중 진짜 범인 한 명을 고르라는 것과 같다. 내가 범인이 누군지 정확히 몰라도, 알리바이가 확실한 용의자만 제쳐도 정답에 도달할 수 있다. 평가원이 아무리 지엽적인 개념을 선지에 하나 끼워 넣는다 한들, 나머지 네 선지가 평이하다면 그 문항은 변별력을 잃는다. 응시자는 그 생소한 개념을 몰라도, 아는 것을 바탕으로 오답을 지워나가 정답을 '맞힐'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시험은 '지리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 '오답 소거의 기술'을 겨루는 장이 되어버렸다.
사실 세계지리의 위기라고 하지만, 정확히 얘기하자면 세계지리라는 학문을 평가하는 '시험 형식의 위기'이고, 깊이 공부한 학생들의 '노력의 가치 하락'이며, 최상위권 변별이라는 '시험의 목적 상실'이라고 봐야 한다. 문제는 평가원과 출제자들이 이 시험 형식을 인질로 삼고 그 위기를 모면하려 한다는 점이다. 어떻게든 1컷이 50점을 찍는 것을 방어하기 위해 작년 12번 단 한 문제처럼 1컷만 낮추고 모두가 역변별 당하는 악의적인 문제를 설계하는 데 골몰한다. 이것이 과연 학생들의 지리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것인가, 아니면 그저 등급컷이라는 숫자를 맞추기 위한 행정 편의주의적 발상인가? 알 수 없는 노릇이다.
다른 질문을 해보자. 유능한 탐정이란 무엇인가? 정의할 수 있나? 어린 조수가 "선배님, 유능한 탐정이란 무엇입니까?"라고 물으면 "음... 사건의 단서들을 귀납적, 연역적으로 추리하여... 범인을 특정하는 능력을 가진 자..."라고 답해 줄 건가? 아니다. 수많은 사건 현장을 함께 누비며 "저 단서를 봐. 저게 바로 범인이 남긴 결정적 실수야"라고 가르칠 것이다. 그 조수는 수많은 경험을 통해 '진짜 단서'를 알아보는 눈을 몸에 체화하게 된다. 정의를 내릴 순 없어도, 무엇이 결정적 증거인지 아닌지는 구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세계지리에 대한 깊은 이해도 이와 비슷하다. '왜 이 지역에서는 커피가 재배되고 저 지역에서는 밀이 재배되는가?', '왜 이 도시는 쇠퇴하고 저 도시는 번성하는가?'에 대해 단순무식하게 줄임말로 암기하는 것은 쉽다. 그러나 진짜 실력은 원인과 결과를 꿰뚫어 보는 통찰력, 즉 몸에 체화된 '지리적 내공'에서 나온다.
문제는 상당수 세계지리 응시자들이 이런 내공을 쌓기보다, 포로가 되기를 자처한다는 점이다. 그저 "이 나오지도 않을 지엽을 외우면 1등급을 받을 수 있겠지", "나는 이렇게 지엽적인 것도 아는 고수다"라며 골방에서 마스터베이션을 하는 것으로 수험생활을 보낸다. 이러니 지리 지식을 현실에 응용할 줄 모르는 ‘줄임말 암기왕'을 왜 뽑겠는가 말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3일동안본 기출목록 1 0
97page.pdf 목차 독서 (비문학) [ ] [Page 2]: [8~11]...
-
짝수 젤 적은 번호로 밀ㄹ기 1 0
안통하나요? 영어같은경우에 유형별로 찍는거있잖아요 예를들어 빜칸은 1,2 번 이런거...
-
내일몇시에일어나지 1 0
모의수능봄
-
이거 어케들어감? 도움좀 제발
-
15번이면 ㅁㅌㅊ임 1 0
자리
-
수능 응시 도중에 화장실 가면 2 0
금속탐지기 쓴다던데;; 자는 금의 은밀한 곳까지 보고 싶지는 않아요... 어떻게 하져?
-
고사장 멀면 장점 2 0
있음? 기분 개잡치는데...ㅈ같아서 공부를 못하겠음 고사장 멀리 가보신 분 후기나...
-
묵묵히 사수
-
랄로가 이 기분이었을까 2 0
주변 사람들은 프로경기 뛰는데 혼자 방구석에서 기울어진 마라탕 들이키면서 일겜 매칭 돌리는...
-
실시간 수능 문제 유출 뭐임? 3 0
어그로 끌어서 죄송해요 ㅠ ㅠ 짝수형 자리 20번 어디쯤인가요?
-
오늘따라 담배연기는 묵직해 1 0
금방이라도 땅이 꺼질듯해
-
1. 의자체크 - 삐걱거리는지 너무 삐걱거리길래 국어 보기 전에 감독관에개 말해서...
-
수능성적표 언제나와요? 1 0
ㅈㄱㄴ
-
생각보다 3수4수 진짜많네여 3 0
ㅈ반고인데 n수면 본인확인 서명하는데 3수4수생 개많아서 놀램 커뮤에만 많은게...
-
영어 듣기 낚시 ㅈㄴ 할예정 3 0
일부러 답 아닐때 종이 넘겨서 허수 낚을예정 ㅇㅇ
-
수능 자리 명당 정리 ㅇㅇ 3 0
자리표고 나 23번인데 과학 눈풀 되냐 저자리 몰라 걍 하고 걸리면 OMR봤다도르 할란다
-
예비소집 자리보러왔는데 아직 들어오면 안된다는데 뭐죠?? 3 0
시험실 번호 나온 것도 1시에 붙일거라고 1시이후부터 들어올 수 있다는데?? 걍...
-
지구 킬러 찍특 1 0
선지에서 뭔가 좀 특이한 숫자 나오면 걍 맞는선지임
-
예열 하나 안 하나 똑같아서 안 하려다가 걍 이감 화작이나 들고 가려고 함
-
시험장에스트레스볼 가져가도됨? 2 0
ㅠ


개추를벅벅 ㅠㅠ
딱 작성자님이 말씀하시는 안좋은 방법대로 공부하고있어요~ ㅠㅠ
오르비 염탐하다가 화들짝 놀란 이기상이면 개추 ㅋㅋ
전공하는 입장에서 할말이 많긴 한데 어느 정도 대부분 공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