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ULSE [995797] · MS 2020 (수정됨) · 쪽지

2025-11-01 17:21:38
조회수 327

[물1] 수능직전 꼭 봐야하는 기출논리_241119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315027

안녕하세요 IMPULSE 물리학1 저자입니다!


제가 예측한 올해 26수능 유형에 해당하고


예전 기출 중 꼭 다시 짚어봐야 할 논리가 있는


"등가속도 기본유형 _ 241119" 를 다뤄보겠습니다.


우선, 제가 물1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비값 눈풀" & "일관된 논리" 입니다!


또한, 제가 등가속도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일관된 논리는  "Δv = at" & "평균속도" 입니다. 




거두절미하고, 바로 241119 풀이 설명하면서 제가 강조하는 부분 녹여내보겠습니다!






----------Step 1----------


숫자단순화 합시다. 


문제에서 주어진 변수들 간 비율이나, 문자를 "숫자"로 정해버리는 것입니다. 보통 "2개" 변수까지 합니다. 


A,B 가속도 크기를 2, 3으로 놓습니다. 


B가 QR, RS 걸린시간을 1초, 2초로 놓습니다. 


B 가속도 방향은 왼쪽이겠네요. 같은거리 가는데 시간 더 걸리니깐요.


이렇게 문제에서 주어진 비율값인 2/3, 1/2를 다루기 쉽게 숫자화하여 다룰겁니다. 




----------Step 2----------


앞서 등가속도에서 가장 중요한 논리 중 하나인, 


Δ v = at 를 이용하여 각 지점에서의 "속도를 표현"해봅시다. 


편의상 VA = a, VB = b 로 놓읍시다.


A는 가속도가 2, 총 걸린시간이 3초(1+2)입니다. 


Δ v = at 의해 A의 속도 변화량은 6이고, 


따라서 A가 S를 지날 때 속도를 (a-6)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B는 가속도가 3, 걸린시간이 R에서는 2초, S에서는 1초입니다. 


Δ v = at 의해 B의 속도 변화량은 QR, RS구간에서 6, 3 입니다. 


따라서 B가 R, S를 지날 때 속도를 (b-6), (b-9)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a, t 숫자화 했고 Δ v = at 를 통해 속도 변화량 계산하여 속도 표현까지 했네요.




----------Step 3----------


이제 a,b 미지수 2개니까 식 2개만 더 놓으면 대학갑니다. 


마무리 식 작성은 앞서 등가속도에서 가장 중요한 논리 중 하나였던,


"평균속도" 를 이용해봅시다. 이때, 평균속도를 실제 문제풀이에 이용하는 방식을 이해해야 합니다. 


평균속도는 두가지 방식으로 계산이 가능하고, 두가지 계산으로 놓은 평균속도가 같다는 식 구조로 이용됩니다. 


" (1) 변위/시간으로 구한 평균속도 = (2) 구간 양끝속도 합의 절반으로 구한 평균속도" 입니다.




이제 그럼 평균속도 쓸 수 있는 구간을 두개 찾아봅시다. 


보이시나요? 


A, B 전체 구간 기준 (1) 방식으로 3 : 2 입니다. 같은시간동안 3L,2L 갔으니깐요. 


B 내부 구간 기준 (1) 방식으로 2 : 1 입니다. 1초동안 L, 2초동안 L 갔으니깐요. 


두 구간에서 잡을 수 있네요. 


마찬가지로 (2) 방식으로 평균속도 구해보면,


A, B 전체 구간 기준 (2) 방식으로 (a - 3) : (b - 9/2)


B 내부 구간 기준 (2) 방식으로 (b - 3) : (b-15/2)


자 이제 마지막 (1) 방식 구한 평균속도 = (2) 방식 구한 평균속도로 계산 마무리하면, 


3 : 2 = (a - 3) : (b - 9/2)


2 : 1 = (b - 3) : (b-15/2)


문자두개, 식두개 풀면 답 나옵니다. 


끝! 


---------------------------------------------------------


숫자단순화 셋팅 - > Δ v = at - > 평균속도로 마무리했네요.


제가 설명을 위해 이렇게 예쁜 문제만 고른 것이 아니겠지요?


모든 등가속도를 풀어보고 가장 범용성과 속도가 좋은, 일관된 논리를 설명 드리는 것입니다. 


물리1은 생각보다 정형화된 과목이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생1보다 더...


비값처리와 눈풀에 익숙하고, 반복되는 일관된 논리만 숙지한다면요. 펜을 버려야합니다.


남은 기간동안 매일 제가 생각하는 26 수능 예측 유형에 해당하는 기출을 이렇게 해설해보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제 교재의 해설 pg 올립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