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금 올린 퀴즈 해설(?) 및 수능 문학에 대한 주저리주저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262713
우선 답부터 말하면
<보기>를 통해 따로 종이에 대해 설명하지 않았다면
종이에서 생명력을 느낄 수 없어서 답은 X고요
이 문제가 좀 사설틱하다고 느껴질 수 있는 게
평가원에서 꽃,나무는 시들어가는 게 아닌 이상
+적인 요소로 활용돼서
나무나 꽃이 나오면 거의 반사적으로 +인 느낌을 받을 수 밖에 없음
심지어 형형색색? 이건 무조건 +일 수 밖에....
이와 반대로 종이는 평가원에서 딱히 사용하는
상징적 소재가 아님( 종이를 만들려면 나무를
벌목해야 되니까 굳이 따지자면 -일 듯)
기출 학습을 통해 시어에서 느낄 수 있는 학습된 감정이 아니란 말이죠
(플러스적인 요소를 본다면 고향.나무,꽃,어부,백구 등)
(마이너스적인 요소를 본다면 현대사회,공장,일제강점기 등...)
그래서 우리가 사설 문학을 보면서
사설틱하다고 느끼는 부분이 요런 거 아닐까 싶습니다
----------
그리고 요즘 평가원문학 기조에 대해 얘기해보자면
평가원에서 문항의 난이도를 올리기 위해
‘종이' 같은 Fact를 통한 판단보다
’형형색색에서 느껴지는 생명력‘ 같은
Meaning을 통한 판단을 자주 물어봤었는데
24수능부터 기조가 좀 바뀌어서 평가원에서도
Fact를 통한 판단 쪽으로 기울어졌어요
(이를테면 문학의 독서화?)
-----------
그래거 문학에 대한 기출 학습을 한다고 하면
1.특정 시어나 상황에 대한 일정한 평가원의 시선,태도
2.지문에 나온 객관적 사실에 의거한 선지 판단
3.문학개념어 숙지
정도가 있겠네요
---------
파이널에 다시 평가원 기출로 돌아가라고
많은 강사와 전문 저자 분들이 얘기하는 이유가
‘문학에서 나탸나는 일정한 평가원의 시선과 태도’를
좀 더 날카롭고 예민하게 반응하기 위해서인 거 같네요
---------
그래서 지금 시기에 수험생이라면
1.EBS 연계 꼼꼼히
2.문학의 감을 날카롭고 예민하게 가다듬기
를 추천합니다
사실 저는 뭐... 전문가도 아니고
이걸로 밥벌어먹고 사는 사람도 아닌 사람인지라
전문성이 다소 부족하지만 제가 공부히면서 느끼고
배웠던부분이 누군가에게 참고나 도움이 됐으면 하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9등급제 -> 5등급제 0 0
9등급제 내신 성적이 2028학년도부터 어떻게 된다는 소식 같은게 있나요? 08이...
-
살려주세요 0 0
지구 3 맞아야되는데 이제 매개완 스텝2 끝났어요 유자분할까여?ㅠㅠ 아님 문제를...
-
내일 할거 0 0
아이디어 확통 2회독 완강하기(연습문제 제외)
-
고2 10모 0 0
고2 10모 화학 1컷이 44가 떠버리네용 ㅋㅋ 내년 표본은 물?
-
와 지금 서울 눈옴 6 0
뭐지
-
오늘 작두 신작뜬다 0 0
그거 보고 자야지 ㅎㅎ 내 일주일을 버티게 해주는 버팀목♥︎♥︎
-
10억 일시불 상환 0 0
심우준을 용서합니다
-
선착순) 예쁜사람만. 35 1
우웅
-
혹시 똥 먹어보신 분 계신가요? 12 7
어제부터 먹기 시작했는데 굳혀서 먹는 방법과 날로 먹는 방법중 어떤 방법을...
-
그시간인가.. 12 3
-
자습시간에 폰 뺏으면 불법임? 0 0
폰 1주일 강제로 걷으면 걷은 사람은 법적으로 처벌 안받나? 학교 자습감독이...
-
다들 힘내요!! 17 3
너는 짱이에요!!!!!
-
독학반수라서 입시판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이 오르비뿐인 나 0 0
왜 내 샤프질은 멈추지 않는 걸까? 딴 딴, 딴 딴,
-
꿈이어케생기겠음.
-
이미지 써주세요(헛소리 금지) 20 0
헛소리 쓰지 말고요
-
수능 시험장에 가면 당연히 더욱 신중해질 수밖에 없죠 지문은 평소처럼 읽는다...
-
)작년에 여고로 배정되어서 12 0
합법적으로 여자화장실 쓸 수 있었음... 여고에 남학생시험장을 배치하는 경우가...
-
엄마 아빠 7 2
미안해 못나서



완전히 틀려버렸네...
개인적으로 24학년도 이전에도 Meaning보다 Fact를 통한 판단으로 정오를 명확히 가를 수 있게 설계되어 있었다고 생각했는데 혹시 어떤 이유로 그렇게 판단하신건지 여쭤봐도 될까요?
우선,수능 국어는 Fact를 통해 정오를 명확히
가를 수 있도록 설계된 게 맞습니다
다만, 예전에 비해 문제에서 Fact를 통한 판단을 요구하는
정도가 예전에 비해 까다롭고 깊어졌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평가원 문학 기조가 Fact를 통한 판단 쪽으로 기울어졌다고 쓴 건데,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 부족했던 거 같습니다
22수능 23번 <보기> 문제 정도의 깊이를 요구하는 문제가
24수능 ‘박태원-골목 안’을 기점으로 점점 자주 나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