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근 쓸모있는 사문도표 풀이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246032
나름 도표문제 숙달 된 사람들은 공감할 풀이임. (아마두...?)
난 도표문제 9할은
전체인구를 100으로 두고
나머지 계층, 수혜자 같은 집단을
백분율로 나눠서 계산함.
아래는 수완 p.75, 07번 문제임.
내가 풀이하는 과정 구경해줘. (아 얘는 이렇게 푸는구나 하고 관망하는 느낌으로다가 ㅎㅎ...)
A/B/C는 각각 상층, 중층, 하층 계급 중 하나이다. t년 계층 구조는 피라미드형이며, 하층인구 구조는 t년과 t+20년이 같고, 상층인구는 t+40년이 t+20년의 2배이다.
| 구분 | t년 | t+20년 | t+40년 |
| A+B/C | 7/3 | 1 | 9 |
| A+C/B | 2/3 | 7/3 | 3/7 |
이런 미지수간 비로 나타난 표가 나오면
해당 비의 분모, 분자의 합을 100으로 만들어줌.
t년의 경우, A+B/C의 비가 7/3이니까 70/30으로 만들어주고
A+C/B의 비는 2/3로 40/60으로 나타낼 수 있음.
그럼 자연스럽게 총인구 100 기준으로
A : B : C의 비가 10 : 60 : 30이 나옴.
위 발문 조건 따르면 A가 상층, C가 중층, B가 하층으로 나오겠지?
이런 느낌으로 t년, t+20년, t+40년 모두
전체인구를 100으로 두고 비를 나타내주면 돼.
만약 문제에서 인구수와 같은 정량적인 값을 묻지 않는다면
가중치 계산을 안해도 되지만, 위 문제같이 '~년대비 ~년의 인구는 N배이다.'
라는 표현이 나오면 대부분 정량적 값을 요구하는 문제라 가중치 계산을 해줘야 함.
위 풀이 방식대로 상층, 중층, 하층 인구 비율을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음.
| 구분 | t년 | t+20년 | t+40년 |
| 상층 | 10 | 20 | 20 |
| 중층 | 30 | 50 | 10 |
| 하층 | 60 | 30 | 70 |
| 계 | 100 | 100 | 100 |
| 구분 | t년 | t+20년 (x2) | t+40년 (x4) |
| 상층 | (10) | 20 (40) | 20 (80) |
| 중층 | (30) | 50 (50) | 10 (40) |
| 하층 | (60) | 30 (60) | 70 (280) |
| 계 | (100) | 100 (200) | 100 (400) |
가충치라고 해서 어려운 말이 아니라,
그냥 특정 연도를 기준으로 나머지 연도에 x N을 해주면 됨.
내가 이 풀이를 선호하는 이유가 정량적 값이 한 눈에 보일 뿐더러
가끔 '상층대비 하층의 인구비(하층/상층)는~'같은 문제가 나올 때 값 판단하기 수월함.
20번 고정 유부노 문제도 이런 느낌으로 풀면 됨.
유부노까진 피곤해서 못 쓰겠다.
잡글 읽어줘서 고마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ㅇ 2 0
ㅡ
-
스카 1 0
카페머신 점검 ㅜㅜ 나의 카페인ㅜㅜㅜ 카페인 없이는 못사는데
-
자이스토리 문학 2권, 독서 1권 빨더텅 반절 올오카 아수라 댓들 달아주세여 더 할까욥
-
원래 모고 보면 2~3등급 나오는데 또선생꺼 풀면 평균 90점 나와. 이거 시험지가 쉬운편이야?
-
물리 지구 고2 2 1 3모 2 2 5모 2 3 6모 2 3 9모 4 4 서프 현장...
-
그래보임<< 내가요즘 미는말임 7 0
그래보임이라는 나쁜댓글은 ㄴㄴ
-
OZ모 후기 2 0
전체적으로 식센모보단 좀 더 쉬운느낌인거 같음 식센모는 이훈식의 기괴한 철학이라고...
-
안녕하세요 뉴비에요^^ 6 0
여긴 어떤 사이트인가요?
-
제가그증거입니다.
-
산책나오니까 춥다 0 0
피방갈까
-
저는 그 친구 보고 glorified construction worker 라고 딜교중
-
오랜만에마셔서그런가3모근마셨는데기분이개좋음캬캬캬ㅑ캬캬캬캬막걸리1병샀는데언제다마시낰ㅋㅋㅋ
-
인스타 알고리즘 ㄷㄷ 6 0
-
오늘 하루도 화이팅 1 1
응원 해주세여
똑같이 풉니당
근데 실제 인원 구하는건 걍 물어볼 때 걔만 구하는 정도?
ㅇ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