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황분들 질문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935853
그가 그녀를 생각했을 법하다
여기서 ‘법하다’는 의존명사 ‘법’에 접미사 ‘하다’가 붙어서 만들어진 용언이고,
이때 앞에 있는 ’생각했을‘은 관형어로서 뒤에 있는 ’법하다‘라는 용언을 꾸며주는 것인가요?
원래 관형어는 용언 못꾸며주는데
갑자기 개념이 흔들리는 느낌이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무나 가조건 확인좀 ㅠㅠ
-
적중예감 파이널 8 0
작년에 비해 ㅈㄴㅈㄴㅈㄴㅈㄴㅈㄴㅈㄴㅈㄴㅈㄴ 어려운고같운데 걍 기분탓인가요..?...
-
? 어좁모가 아니라 어좃모였어? 11 0
어깨 좁은 머시기인줄
-
현역 43243 정도 뜰정도면 13 0
아직 수능 보진 않았지만 재수가 거의 확정이거든요 이러면 안되긴하는데.. 저정도...
-
이렇게 된 이상 이 방법밖에 없다 23 5
연세대 미래캠 진학 후 연뱃 받고 오르비언들에게 구라치기 오래 고심햇다
-
집공할때 어떻게 독하게 함? 7 0
집이라서 그런가 자꾸 초심을 잃고 공부를 안하게 되는데 다들 어케 참고 버티셨나요?
-
남 가르치려고 좀 들지마라 6 4
오늘 나한테하나 배운거다
-
비추 2 0
비오는 날의 노래 추천
-
어떰? 풀이까지 싹 정리하는걸로
-
너무 배불러서 4 0
문에 끼어버렷어
-
다시 수능쳐서 갈게
-
내신 4.84면 어디감?? 4 0
서울대 진학 순위권에 드는 일반고 기준
-
현 고3 노베고 6모 이후로 마음을 다잡고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중2 때까진 공부...
-
놀고 먹다가 6 1
바보가 되면 어쩌지
-
커플이 너무 많아요! 3 0
꼴보기 싫어요!
-
ㅇㅇㅇㅇ
-
그립군...
-
니게tv 개국 347일차 3 1
G.o.a.t.
원칙적으로 못 꾸미는 게 맞아요. 그래서 예외적인 경우입니다
'법하다', '듯하다', '성싶다' 등이 보조용언이라서 그래요. 의존명사+하다/싶다 구성이 어원인 것은 본래
할 법 하다
하는 듯 하다
이렇게 쓰였는데 국립국어원에서 '법하다', '듯하다' 등을 한 단어 즉 보조용언으로 취급하면서 관형사형과 어울린다는 즉 용언의 특성과는 어긋나는 경우가 생긴 겁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역시 예외였군요
아 참고로 국립국어원에서는 관형어가 아니라 본용언+보조용언이라 괜찮다고 설명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관형어가 안긴 문장이 아니라 본+보의 홑문장입니다
헉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