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w.j [1364827] · MS 2024 · 쪽지

2025-09-25 23:02:41
조회수 252

9모 지구1 14번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811600

14번문제 문제에 그림은 “어느 시점부터” 나타냈다고 나와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그래프에 나와있는 8000만년이 실제 나이가 8000만년이 아닐수도 있다는 것이지요. 출제자가 적었던 어느시점이 주계열성이 막 되었을때가 아닐수도 있단 말입니다. 예를 들어서 주계열성이 된 이후 300억년 지난 후부터의 수소 함량비를 그렸다고 가정을 한다면 300억8천만년에 주계열이 끝난 것이니 어느 시점부터란 말이 틀리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볼 경우 태양의 주계열성의 나이가 100억년 정도인데 이 행성은 그렇다면 주계열성나이가 엄청 많은것이고 ㄴ은 틀린 선지가 되는것이죠. 아니면 그래프 보시면 0년부근에서 수소가 대략 10프로라 치면 8000만년 지나는데 고작 10프로 사라지는 겁니다. 그렇다는건 보통 주계열성 되었을때 수소가 70프로정도 있으니 저 행성은 8000만년보다 훨씬나이가 많다고 할수 있죠(물론 이건 저 0이 세로축에만 해당되는 0이라 생각하면 타당하지 않은 이유라 볼수도 있겠죠. {근데 보통 가로축 세로축 만나는지점에 숫자를 쓰면 가로 세로 둘다 해당이 되지 않나요?? 실제로 다른 기출을 보더라도 가로축 세로축이 만나는 지점이 둘다 0일 경우에는 다 이번 14번 처럼 표현하는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이번 14번 ㄴ이 틀렸다고 볼수도 있지 않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렌즈형은하 · 972978 · 09/26 00:35 · MS 2020 (수정됨)

    (주계열 단계의) 어느 시점부터 라고 적혀있습니다
    주계열단계의 라는 관형어가 어느 시점이라는 명사구를 꾸미고있으니 시간축의 맨 왼쪽의 나이를 정확히는 알 수 없지만 주계열단계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x축에 나이 라고 기재되어있으니 8천만년이 실제나이 8천만 입니다
    지구과학1에서 나이는 영년주계열부터 나이를 계산합니다
    x,y축 둘다에 0을 표기한게 아닌 y축에 0을 쓴것이고 x축의 맨왼쪽은 0이 아닙니다

  • 어지럽다후 · 1335912 · 10/28 13:45 · MS 2024

    만약 글쓴이님말대로 스케일이다르고 가로축이 시작이0 이고 8천만년동안의 그래프를 떼어준것이라고보면 , 그거대로 답을고를수있습니다 8천만년동안 10퍼센트정도 수소를소비했다고볼수있구요 그것의 7.5배정도가 시작포인트일것이기때문에(수소첨에75퍼있으니까) 그것의 7.5배면 약6억살정도되는 별을 생각해볼수있는데요 A0형 주계열수명이 5억살이고 질량이 태양질량 3배정도니까 6억살되는별은 당연히 태양질량 2배를 넘어섭니다 그래서 질량이큰 주계열성을 생각해볼수있고 정답이 바뀌지않습니다.


    물론 주계열 나이를 8천만년으로보고 질량이 어마어마하게큰별로보는게 제대로된풀이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