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에는 상상력이 요청된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700550
안녕하세요. 소테리아의 길 입니다.
우리는 흔히 “읽는다”라는 행위를 문자 그대로 받아들입니다. 책이나 지문에 적힌 단어와 문장을 해석하는 것, 그것이 전부라고 생각하곤 하지요. 그러나 진짜 독해(讀解)는 단순한 해석을 넘어섭니다. 글 속에 드러난 의미뿐 아니라, 글에 드러나지 않은 배경(배경지식)과 맥락, 그리고 그 이면의 함의까지 상상해내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무리 훌륭한 글이라도 모든 것을 다 적어낼 수는 없습니다. 언어는 본질적으로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작가는 자신의 생각 중 극히 일부만을 단어로 표현할 뿐이고, 나머지는 독자의 해석과 상상에 맡겨집니다. 따라서 글을 읽는 독자는 주어진 언어만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그 언어가 가리키는 바깥의 세계까지 확장(위계 낮추기)해 나가야 합니다.
예를 들어, “소년은 운동장을 달렸다”라는 짧은 문장을 읽는다고 해봅시다. 표면적으로는 소년이 달렸다는 사실만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독자의 상상력이 개입하면 전혀 다른 그림이 펼쳐집니다. 그는 무엇을 향해 달렸을까요? 친구들과의 시합일 수도, 혼자만의 도전일 수도 있습니다. 또, 그의 달리기 속에는 기쁨, 두려움, 혹은 자유에 대한 열망이 담겨 있을 수 있습니다. 바로 이때, 글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의미의 확장으로 나아갑니다.
제가 학생들에게 강조하는 독해는 바로 이런 상상력을 통한 의미 확장입니다. 단순히 글자를 해석하는 것을 넘어, 글이 지닌 맥락과 배경을 짚어내고, 나아가 글쓴이가 드러내지 않은 부분까지 추론하는 힘을 기르는 것입니다. 이것이야말로 진짜 ‘읽기’이며, 사고의 지평을 넓히는 공부입니다.
읽기는 더 이상 수동적 행위가 아닙니다. 글자가 지닌 한계를 넘어, 독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해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창조 행위입니다. 그래서 진정한 독해에는 반드시 상상력(표상화)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상상력이야말로 학생들이 사고의 깊이를 키우고, 나아가 세상을 이해하는 눈을 기르는 원천이 됩니다.
진심으로 읽기라는 행위를 통해 삶을 바꿀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꾸벅.
제 독해 철학이 담긴 국어 독학 교재
문명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395013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395013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395013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395013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395013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시만 하고 정시는 안하는 친구랑 수학 실모 대결을 했는데 내가 개쳐발림 나:88점...
-
이래놓고 수능때 뒤통수 ㅈㄴ 쌔게 때릴거 같으면 ㄱㅊ!! 0 0
일단 수학 공통 2021 10모 처럼내고 미적분은 2023 4모 처럼 내면 등급컷...
-
닥쳐 화2얘기그만하 0 0
본나 우울해지니깐
-
RIP 화학2? 0 0
ㅈㄱㄴ
-
제곧내
-
이직로그를 보는 무직로그 나 1 0
뿌직
-
고2 정시 탐구 뭐할까요? 2 0
사회문화 하나랑 지구과학1이랑 한국지리 생각중인데 지구는 고2 모의고사 1등급...
-
화작 확통 등급컷 어찌될까요 0 0
ㅠㅠ
-
영화보고왓는데 1 0
솔..직히 인싸면 애니영화보지말아야된다고생각해요
-
생1이 1등급받기 젤쉬움 1 0
가계도 돌연변이 기출수준까지만 공부하고 나머지 파트에 올인해서 마스터한후에 모고풀때...
-
심찬우 두출발 후기글 0 4
올라오는 이유->이거후기쓰면 심찬우 프패 추석기간동안 사용가능
-
이 시점에서 생각해보면 0 0
수학 6모처럼 나오면 1컷 몇일까요… 미적2틀 88까지 생존일까요?
-
수능때 어부지리 노리기에는 딱 좋은 점수차임
-
아족같다 0 0
그머냐 9덮보는데 국어 공통4틀 언매1틀 88임
-
미적 1컷 88이 ㄹㅇ이라고? 개웃김 이왜진 … 사실 안웃겨
-
화이트 다 써버림... 1 0
하필 필요할 때...
-
생명과학 좀 잘하고싶다 1 0
아무리 해도 안돼 44그만
-
원솔멀텍 파이널 vs 구원특강 0 0
3등급 초반인데 어려운 문제만 보면 접근 방법이 잘 기억 안납니다 기출도 다시 보고...
-
고2 69모 기준으로 국영수생1사문 21213 나오는데 (국어는 낮~중간2 수학은...
-
진지글)롤 아이디 빌려주실분 2 0
골드,플레구간구해요 티어올려드림
독해할 때 이미지 생각내면서 하는 것도 ㄱㅊ나여
네 ㄱㅊ나여
그게 표상화 방법 입니다.
언어가 가리키는 바깥의 세계까지 확장하는 것을 위계 낮추기로 정의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저는 사고의 확장으로 단순한 정보가 아닌 더 넓은 범위의 생각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계 높이기라고 생각했습니다.
위계를 높이면 안그래도 문장이 어렵고 현학적인데...
어떻게 이해하나요. 나아가 어떻게 위계를 높이나요 !
"라면"을 읽으면 더 많은 생각이 펼쳐지나요
아니면 라면과 비슷한 종류지만, 어려운 음식의 종류인
"라그만" "카우쇠" "판싯 깐톤" 이런 단어들을 보면 더 생각을 깊게 할 수 있나요?
위계를 낮춰야 더 넓은 범위의 생각을 할 수 있고, 배경지식이 있어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선생님 문장단위 명료화과정에서 한 문장에 최대 어느정도 시간까지 소비하는게 맞을까요?(의미가 해석되지 않는 어려운 문장일 경우)
최대한 많이요.
다만 그럼에도 어렵다면, 체크하고 넘어가는 게 필요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