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XEL [1393852] · MS 2025 (수정됨) · 쪽지

2025-07-20 21:54:45
조회수 314

7월 더프 수학 / 물2 분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906260

재밌었던 문제만 올렸습니다


15번

현장풀이


분석

I 처럼 치환합니다 (25학년도 9모 30번도 이런 식으로 출발합니다)

II 에서 f(1)<0 이므로 F(1)은 함수의 감소부분에 위치함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와중에 {0} k 이라면 개수가 홀수개가 되므로 0을 x축으로 넣어주어야 합니다.

그러면 4의 위치를 고민하게 되는데, 삼차함수 특성상 후반부에서의 기울기가 더 가파르므로 조금이라도 빨리 6과 7이 나와야 F(7)-F(6) 이 최소를 갖게 될 것입니다. 자동으로 4가 F(x)의 한 인수가 되며 마무리됩니다.


21번

현장풀이

(현장에서 조금 뻘짓을 했는데, 위에 있는 두 그림은 무시하세요)


분석

글만 읽어봐도 될 것 같습니다. 3과 5에서 f(x)와 mx가 만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지점에서 f'(x)=0 이 됨을 이용해야 문제가 풀립니다.


(물2는 그림 그리기 힘든 관계로 시험지 풀이를 지우고 다시 적었습니다)


11번

속도가 같으므로 각속도에 변화가 생기고, (나)에 적용하면 A만 있을 때 작용하는 구심력은 2F 일테고, B가 나머지 F를 채워주어야할 것입니다.


15번

빗면에서 운동하는 두 물체의 포물선 운동은 직교 분해보다는 축을 회전하여 보거나 위치벡터를 도입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A의 등속도 진행 벡터 끝자락에서 빗면에 정사영을 하면, B가 빗면 가속도로 내려온 거리가 되므로, B는 등속도로 해당 위치까지 올라갔을 것입니다. 삼각비로 마무리하면 됩니다.

(이건 7모 문제인데, 축까지 돌려서 봐주면 됩니다. 조금 더 복잡합니다 - 자세한건 이전에 쓴 ‘7모 물2 손풀이’ 를 봐주세요)


17번

2차원 돌림힘은 맨날 이렇게 밖에 안나오는 것 같습니다.

본능적으로 빗면에 접해있는 점을 회전축으로 보게 됩니다.

실 r은 A를 mg로 당기게 된다는 것을 눈치채면 끝입니다.


(물2 20번은 현장에서 비율보고 찍었어서 풀이가 아직 없습니다. 풀고 나서 심심할 때 올려보겠습니다)


업로드가 늦었지만 유익했으면 좋겠습니다


[모아보기]

7모 물2 손풀이

https://orbi.kr/00073783434

수완 수학 다른 시선에서 보기

https://orbi.kr/00073548881

6모 수학 후기

https://orbi.kr/00073343868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